성인 ER 케이스 요로결석 (urinary stone) 급성통증
본 내용은
"
성인 ER 케이스 요로결석 (urinary stone) 급성통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7
문서 내 토픽
  • 1. 요로결석의 정의와 원인
    요로결석은 콩팥요로계의 어느 부위에서나 형성될 수 있지만 가장 흔하게 형성되는 부위는 콩팥으로 이를 신결석이라고 부른다. 요로결석은 한 가지뿐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로 인하여 형성된다. 요중 침전물, 요의 산도, 억제제와 항억제제, 약물, 요정체, 퓨린대사 등이 요로결석 형성의 원인이 된다.
  • 2. 요로결석의 병태생리
    요로결석은 결석의 형태와 관계없이 일반 원칙에 따라 형성된다. 초기단계에서는 과포화된 소변에서 형성된 핵이 결정을 이루고, 작은 결정은 응집에 의해 보다 큰 결정이 형성된다. 결정의 형성 과정은 그대로 계속되거나 혹은 요로를 통해 흘러나오다가 어떤 좁은 지점에 걸리게 되면, 이를 결석을 형성하기 위한 병소로 사용한다.
  • 3. 요로결석의 증상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갈비척추각 부위에 예리하고 심한 통증의 갑작스런 발생이다. 이 통증을 콩팥산통 혹은 요관산통이라 한다. 콩팥산통은 허리부분 깊은 곳에서 시작하여 허리 옆에서 주위로 방사된다. 남성은 고환을 향해 밑으로 방사하고, 여성은 방광으로 방사된다. 통증이 심해지면 환자는 고통스러운 모습을 보이며 대개 오심, 구토, 창백, 발한과 함께 아주 불안해한다.
  • 4. 요로결석의 진단
    콩팥요관방광 단순촬영술(KUB)와 복부단순 X-선 촬영으로 결석을 확인하며 크기가 2mm이상인 칼슘결석과 struvite 결석인 경우 X-선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급성기인 경우 혈중 BUN과 크레아티닌, CBC, 요분석검사와 요배양 검사를 실시한다. 신결석은 재발이 흔하므로 예방을 위해 결석성분분석이 중요하다.
  • 5. 요로결석의 치료
    신체 외 충격파 쇄석술(ESWL),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 투약, 경피적 신쇄석술, 전기수력학적 쇄석술, 결석 제거술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다. 결석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한다.
  • 6. 요로결석 환자의 간호
    통증 조절, 감염 예방, 약물 요법, 식이요법, 체외 충격파 쇄석술 간호 등 다양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환자 교육을 통해 통증 관리, 전환요법, 절대안정 등을 실시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요로결석의 정의와 원인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등 비뇨기계 내에 발생하는 고형 물질로, 주로 칼슘, 요산, 시스틴 등의 물질이 과포화 상태에서 결정화되어 생성됩니다. 요로결석의 주요 원인으로는 탈수, 고염식이, 비만, 유전적 요인, 요로감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소변 내 결석 형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거나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면 결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로결석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저염식이, 체중 관리, 요로감염 예방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2. 요로결석의 병태생리
    요로결석의 병태생리는 크게 결석 형성 과정과 결석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결석 형성 과정은 소변 내 결석 형성 물질의 농도 증가, 결석 형성 억제 물질의 농도 감소, 결정화 촉진 요인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결석은 요관을 막아 요폐색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요로감염, 신장 손상, 요로 폐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로결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결석 형성 과정과 합병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3. 요로결석의 증상
    요로결석의 주요 증상으로는 급격한 요통, 혈뇨, 배뇨통, 오심 및 구토 등이 있습니다. 결석이 요관을 막으면 요폐색으로 인한 급격한 요통이 발생하며, 결석 표면의 요로 점막 자극으로 인해 혈뇨와 배뇨통이 나타납니다. 또한 요폐색으로 인한 신장 부종과 감염으로 오심 및 구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결석의 크기, 위치, 이동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의 정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결석의 심각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4. 요로결석의 진단
    요로결석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영상 검사 등이 활용됩니다. 병력 청취를 통해 결석 발생 시기, 증상 양상, 기저 질환 등을 확인하고, 이학적 검사에서 요통, 압통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검사로는 단순 복부 X선 촬영, 복부 초음파, CT 등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결석의 크기, 위치, 성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CT는 결석 진단에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진단 방법을 통해 요로결석의 원인, 위치,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5. 요로결석의 치료
    요로결석의 치료는 결석의 크기, 위치, 증상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작은 결석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충분할 수 있는데, 이는 수분 섭취 증가, 약물 치료, 체중 감량 등을 통해 결석 배출을 돕는 것입니다. 그러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체외충격파쇄석술, 내시경적 수술, 개복 수술 등 다양한 수술 방법이 사용되며, 결석의 특성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요로결석 치료에는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 6. 요로결석 환자의 간호
    요로결석 환자의 간호에는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재발 방지 등이 포함됩니다. 급성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 투여, 온찜질 등의 중재가 필요하며, 요폐색으로 인한 신장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수분 섭취 증진, 감염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결석 성분에 따른 식이 요법,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면밀히 관찰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 맞춤형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나아가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 관리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한 간호 중재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