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진리관(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배경, 목적, 비판적 시각, 내용)
본 내용은
"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진리관(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배경, 목적, 비판적 시각, 내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3
문서 내 토픽
-
1.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배경20세기 후반의 현대철학에 토대를 둔 교육철학으로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을 들 수 있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사회와 문화적인 패러다임으로 주로 1990년대 이후로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기존의 전통적 교육철학이 가진 교육 및 교육연구에 대해 비판하였다.
-
2.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목적포스트모던 교육철학에서는 정초주의적인 가정에 입각한 교육의 개념 및 목적을 거부하고 있다. 포스트모던에서는 기존의 지식이 가진 한계점을 인식하면서 새로운 지식의 창조할 수 있는 과정에 참여 가능한 인간을 형성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은 창의적인 인간, 주체적인 인간, 협동적인 인간을 말한다. 한마디로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개방적이고 다원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3.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비판적 시각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기존의 교육체계를 비판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기존교육이 가지고 있는 인간중심 및 서구중심을 비판하고, 가부장적인 특징을 지닌 남성중심의 교육을 비판하였다. 교육이 지닌 지식적이고 과학적인 틀을 거부하고 상류계층이나 수도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교육내용을 비판하였다.
-
4.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내용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후기현대철학에 입각하여, 기존의 지식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지식에 참여 가능한 인간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전인적인 교육 및 홀리스틱 교육을 강조하면서 학습자의 모든 면을 관여하도록 시도하는 새로운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환경교육과 함께 양성평등적인 교육을 강조하면서 다문화주의적인 교육도 포괄하고자 하였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에서는 기본적으로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대화적인 협동학습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는 특징을 지니며, 교육 내에서도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학습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1.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배경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사상적 흐름으로, 근대 교육철학에 대한 비판적 반성에서 출발했다. 근대 교육철학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이러한 관점에 의문을 제기했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지식과 진리가 상대적이며, 개인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보았다. 또한 근대 교육철학이 권력과 지배 구조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
2.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목적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주요 목적은 기존 교육 체계의 권력 구조와 지배 관계를 비판하고,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지식과 진리가 상대적이며, 개인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보기 때문에, 획일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방식을 거부한다. 대신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인정하는 교육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기존 교육 체계에 내재된 권력 관계와 지배 구조를 해체하고, 보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교육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
-
3.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비판적 시각포스트모던 교육철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첫째,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이 지나치게 상대주의적이라는 점이다. 지식과 진리가 완전히 상대적이라는 관점은 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 둘째,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이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다 보니 교육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간과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셋째,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이 기존 교육 체계에 대한 비판에 집중하다 보니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비판들은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이 보다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4.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내용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과 진리의 상대성을 강조한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지식과 진리가 절대적이고 보편적이지 않으며, 개인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본다. 둘째,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한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기존 교육 체계가 특정 집단의 지식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고 비판하며,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인정하고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셋째,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한다. 포스트모던 교육철학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며, 교육 과정에서 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교육철학및교육사_1.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교육관이 무엇인지에, 교육관을 유아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교육관이 유아교육에 적용된 실천 사례 1가지를 제시하고, 교육관을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실천 사레에서 나타나 교사 역할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오, 유아교육에 적용된 실천 사례에서 9페이지
교육철학 및 교육사1.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교육관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교육관을 유아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3.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관이 유아교육에 적용된 실천 사례 1가지를 제시하고 설명하시오4.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관을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실천 사레에서 나타나 교사 역할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오5.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관이 유아교육에 적용된 실천 사례에서 부모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오.수업명:담당교수:학번:이름:차 례1.서론2.포스트모더니즘 교육관...2021.11.17· 9페이지 -
다문화미술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6페이지
다문화 미술 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1. 1990년대 이후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대두1) 시대적 배경(1) 1960년대 전후 여러 국가의 이민자 증가(멜팅 팟, Melting pot)(2) 이로 인한 사회통합문제가 교육문제로 대두(3) 1990년대 이후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문화 간 존중을 기반으로 하는 기류 형성2) 목적(1) 사람은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다른 문화의 가치도 존중을 기반으로 하는 기 류 형성콩던문화적 다양성 증진 및 지지스터지역, 국가, 국제 사회 등 모든 사회 구준 내에서 개인 간 힘과 자원의 평등 부여뱅...2021.02.19· 6페이지 -
간호학개론 간호 철학사조 및 간호윤리 11페이지
REPORT간호 철학사조 및 간호윤리과목 : 간호학개론담당교수 : 교수님제출일 :학과/반 :학번 :이름 :목 차Ⅰ. 간호학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사조11. 경험주의(empricism)22. 실증주의(positivism)23. 합리주의(rationalism)24. 실용주의(pragmatism)25. 현상학(phenomenology)26. 실존주의(existentialism)27. 포스트모더니즘38. 페미니즘(feminism)4Ⅱ. 간호의 철학적 접근41. 간호의 본질에 대한 탐구42. 간호지식의 특성과 탐구 방법53. 간호의 윤리...2020.09.16· 11페이지 -
교육철학 )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세요. 6페이지
교육철학1.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세요.2.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에 관하여 설명하세요.교육철학1.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세요.2.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에 관하여 설명하세요.목차1. 서론2. 본론1) 포스트모던 철학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2) 프레이리의 교육이론3. 결론4. 출처 및 참고문헌1. 서론인간의 삶은 배움의 과정이다. 배움이란 기본적으로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존재한다. 우리가 교육을 하면서 왜 교육을 해야 ...2020.01.21· 6페이지 -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5페이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Ⅰ. 서론Ⅱ.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1. 포스트모더니즘 등장의 시대적 배경2. 모더니즘 사회와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의 비교3.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사회Ⅲ.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입장1.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Ⅳ. 포스트모더니즘과 지식론관1.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론 형성2. 상대주의적 지식관3. 상황적 지식관Ⅴ.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관1.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교육관 비교2.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필요성3.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방향 새로운 교육체제의 요구1) 실용성과 교육2) ...2011.09.27·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