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대학교 병원 수술실 사례보고서(A+)
본 내용은
"
조선대학교 병원 수술실 사례보고서(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3
문서 내 토픽
-
1. 화상화상은 열에 의해 피부세포가 파괴되거나 괴사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열손상, 방사선, 부식성 화학물질, 전기 등에 의해서 신체 조직이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국내 화상환자의 발생은 매년 약 13000명 이상이 입원 가료하고 있으며, 약 23만명이 외래환자로 병의원에서 치료되고 있다. 화상으로 인한 손상의 치료 한 방법으로 Split-Thickness Skin Graft가 행해지며 이는 피부를 떼어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로 감염 등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수술 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등 여러 문제가 나타날 수 있기에 이번 case를 통해 STSG 수술 방법과 수술 전ㆍ후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2. 피부의 구조 및 기능피부는 외부 환경에 대항하는 첫 번째 방어선으로, 감염성 미생물, 기생충, 방사성 에너지,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피부에는 통증, 압력, 온도와 접촉 등의 감각을 받아들이는 여러 형태의 감각수용체가 있어 감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피부는 땀샘을 통해 물과 소량의 염분을 배설하여 혈액과 전해질의 조절을 돕고, 햇빛이나 자외선을 쬐면 피부는 칼슘 흡수에 필요한 비타민 D를 합성한다.
-
3. 화상의 깊이1도 화상은 피부가 붉게 되고 따끔거리는 통증이 있으며 며칠 안에 증상이 없어진다.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에 영향을 미치며 홍반, 동통, 부어오름, 물집이 생긴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피하까지 영향을 미쳐 피부가 검게 되거나 반투명백색이 되고 피부표면 바로 아래에 있는 혈관을 응고시킨다.
-
4. 피부이식술(Skin Graft)피부 이식술은 창상이 넓어 일차적으로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 표피와 진피의 일부를 공여부로부터 취하여 혈류공급이나 부착된 모든 것이 단절된 상태에서 수혜부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피부이식은 종에 따른 유전학적 분류와 이식 피부편의 두께에 따른 분류가 주로 이용된다. 피부제공부위는 신체의 어느 부위도 선택이 될 수 있으나 이식할 피부의 색깔이나 공여부에 발생하는 흉터 등을 고려해야 한다.
-
5. 수술 전 준비수술 전 환자 준비 과정에는 환자 확인, 수술 동의서 확인, 금식 확인, 수술 전 투약, 장신구 제거, 화장 제거, 환의 착용, 수술 전 검사, 수술부위 표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수술 전 환자의 Hb/Hct/WBC/Plt, Glocose, Albumin, AST/ALT, PT/aPTT 등의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6. 마취와 소독수술 전 수술부위를 10% Betadine과 Ethanol로 소독하며, 마취는 General anesthesia로 기관삽관을 시행한다. 수술 중 사용된 약물에는 Hartman, Midazolam, Flumarin, Ambroxol, Botropase, Vitamine K, 0.9% NS, Tridol, Peri Olimel, Denogan 등이 있다.
-
7. 수술 과정수술 과정에서는 dermatome, Bovie, Visistat 등의 기계와 기구를 사용하였다. 절제 부위는 양쪽 다리의 화상 부위였으며, 피부 공여부위는 오른쪽 뒤 허벅지와 양쪽 엉덩이였다. 5-0 Ethilon과 Visistat을 사용하여 피부 이식 부위를 봉합하였다.
-
8. 회복실 간호회복실 도착 시 PAR score는 9점이었고, 퇴실 시 10점이었다. 회복실에서의 간호 중재에는 피부 상태 관찰, 체온 측정, 배액 및 소변 관찰 등이 포함되었다.
-
9. 간호 문제 및 계획간호 문제로는 피부보호막의 소실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술 환경과 관련된 저체온의 위험성, 화상 손상 및 외과적 중재와 관련된 피부손상, 흉터와 관련된 불안 등이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간호 계획으로는 피부 사정, 감염 위험 감소, 피부 치유 촉진 등이 포함되었다.
-
1. 화상화상은 피부와 조직에 열, 화학물질, 전기 또는 방사선 등의 외부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입니다. 화상의 정도는 피부 손상 깊이에 따라 다양하며, 심각한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화상 환자의 치료와 간호에는 화상의 깊이 평가, 감염 예방, 통증 관리, 수액 및 영양 공급, 피부이식술 등 다양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됩니다. 화상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위해서는 의료진과 환자 가족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
2. 피부의 구조 및 기능피부는 우리 몸을 보호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큰 기관입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표피는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진피는 콜라겐과 탄력섬유로 구성되어 피부의 강도와 탄력을 제공합니다. 피하조직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체온 조절, 충격 흡수 등의 기능을 합니다. 이처럼 피부는 매우 복잡하고 중요한 기관으로, 화상 등의 손상 시 이러한 구조와 기능이 크게 훼손될 수 있습니다.
-
3. 화상의 깊이화상의 깊이는 피부 손상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로 구분됩니다.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되어 붉어지고 통증이 있는 경우이며, 2도 화상은 표피와 일부 진피층이 손상되어 수포가 생기고 심한 통증이 있습니다. 3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층 전체가 손상되어 피부가 검게 변색되고 통증이 없는 경우입니다. 화상 깊이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화상 깊이 평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화상 깊이 평가 시 환자의 증상, 외관, 통증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필요 시 추가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
4. 피부이식술(Skin Graft)피부이식술은 화상 등으로 손상된 피부를 복구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이식할 피부는 환자 자신의 건강한 피부(자가이식)나 타인의 피부(동종이식)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부이식술은 화상 환자의 회복과 재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식 피부가 잘 생착되면 상처 치유가 촉진되고 기능 회복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이식 실패, 감염, 반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 전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피부이식술 환자의 상처 관리, 감염 예방, 통증 조절 등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5. 수술 전 준비화상 환자의 피부이식술을 위해서는 수술 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 시 영양 상태 개선, 감염 치료 등의 선행 처치를 해야 합니다. 수술 부위의 상처 상태를 확인하고 세척, 드레싱 등의 처치를 통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수술 전 준비 과정에서 간호사는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6. 마취와 소독피부이식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되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체 징후와 반응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수술 부위는 철저한 소독 과정을 거쳐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소독 시에는 화학적 소독제나 물리적 소독 방법을 사용하며, 소독 범위와 방법은 수술 부위와 상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마취와 소독 과정에서 간호사는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관련 지침과 절차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
7. 수술 과정피부이식술 수술은 크게 공여부 준비, 이식편 채취, 수여부 준비, 이식편 이식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공여부에서 건강한 피부를 채취하고, 수여부의 상처 면을 깨끗이 준비한 뒤 이식편을 옮겨 붙입니다. 이 과정에서 이식편의 생착을 위해 혈액 순환과 영양 공급이 중요합니다. 수술 중 출혈, 감염, 이식편 괴사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과정에서 의사를 보조하고, 환자의 생체 징후와 상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
8. 회복실 간호피부이식술 후 환자는 회복실에서 집중 관찰을 받게 됩니다. 이 시기에 간호사는 환자의 생체 징후, 출혈, 감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한 대응을 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 수액 및 영양 공급, 상처 관리 등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회복실 간호의 목표는 환자의 안정적인 회복을 도모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간호사는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
9. 간호 문제 및 계획화상 환자의 피부이식술 후 간호에는 다양한 문제와 과제가 있습니다. 통증 관리, 감염 예방, 상처 관리, 수액 및 영양 공급, 운동 및 재활 지원 등이 주요 간호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사정하고,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의사, 물리치료사 등 다학제 팀과 긴밀히 협력하여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화상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도모하고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대표 간호진단 1개 간호계획 6개)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A+받고 교수님께 칭찬받은 케이스) 14페이지
수술실 사례보고서수술실 사례보고서제출일: 이론분반: 학번: 제출자:수술명:Clipping of aneurysm수술 전 진단명:Cerebral aneurysm, nonrupted진료과:NS(신경외과)수술 후 진단명:Cerebral aneurysm, nonruptured성별: M / F나이: 세몸무게: kg키: cm사전학습■ 해부와 생리(Anatomy & Physiology)뇌동맥류는 뇌동맥 일부가 약해져서 그 부분이 풍선이나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을 의미한다. 뇌동맥류는 주로 혈관이 큰 분지부에서 발생한다. 뇌동맥의 혈관 벽은 ...2025.02.14· 14페이지 -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Acute renal failure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38페이지
4. 대상자 사례연구 지침임상실습보고서사례연구보고서임상 실습 사례연구 보고서-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1. 자료수집 (Data Collection)1) 개인력(인적사항)이 름 : O O 성 별 : M 나 이 : 생년월일 :주 소 : 직 업 : 무직입원일시 : 2019. 01. 02 입원경로 : 외래 응급실 ? 기타 눕는 차진 단 명 : Acute renal failure,Cerebral infarction due to unspecified occlusion or stenosis of cerebral정보제공자 : 보호자2) 현병력 (발...2020.12.11· 38페이지 -
수술실, 잠복고환 14페이지
조선대학교 병원 OR 사례보고서- cryptorchidism -과목명실습기관담당 교수실습기간제출일이름목 차1. 문헌고찰 ----------------------------------2.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 -----------------------3. 수술 절차 및 간호 ---------------------------4. 마취 과정 ----------------------------------5. 수술에 사용된 물품 및 기구 확인------------------6. 참고문헌 ----------------------------...2019.07.12· 14페이지 -
SDH CASE NICU 성인간호학실습 14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성인간호학실습 III-? 실습기관: 조선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중환자실? 실습기간: 2016. 05. 09 ~ 05. 20? 제출일자: 2016. 05. 20? 수간호사: 정인희 선생님? 지도교원: 노소영 교수님? 송원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A반 1431901번? 성명: 강 성 인목 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1. 원인 및 병태생리2. 증상 및 징후3. 기전 및 호발부위4. 치료 및 간호Ⅲ. 간호과정1. 간호사정1) 개인력2) 건강력3) 간호력4) 신체검진5) 진단을 위한 검사6) 치료 및 경과...2016.06.04· 14페이지 -
응급실케이스 A+받은거 9페이지
간호사례보고서 1(조선대학교 응급실)Day실습기간: 2015.03.16-20 day환자성명: 이** 나이 : 22 성별: F 직업: 학생1. 병원에 오게 된 동기 (사고원인 및 경위)LOC2. 사고 및 발생 당시부터 응급실 도착하기 까지의 경위( 도착일시 2015.년 3월 18일 09:08 AM)쓰러질때의 기억x, 관찰시 입술에 포진오늘아침 아침식사후 화장실에 다녀오신다음 다시 잔뇨감 느끼시고 화장실 가려고 하시다가 갑자기 쓰러졌다고 하심. 집에 직계가족 있으셔서 아버지 자가용타고 바로 응급실로 오심과거 수술병력없음.3. 응급실에 ...2016.03.17·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