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학실습 치료적의사소통 (+SBAR 포함) 상황 참고자료로 유용합니다 A+맞음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실습 치료적의사소통 (+SBAR 포함) 상황 참고자료로 유용합니다 A+맞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1
문서 내 토픽
-
1. 치료적 의사소통간호학생이 체온측정을 위해 3살 아동에게 갔다. 아이는 주사에 대한 아픈 기억때문에 체온측정을 하는것에 대해 겁을 먹은 상태이다. 간호학생이 아이의 불안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기구를 직접 보여주고 직접 만져보게 하여 체온계에 대한 불안을 낮춰주었다. 간호사는 자기노출, 정보제공, 개방적 질문, 공감 등의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여 아동의 불안을 해소하고 체온 측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
2. 치료적 의사소통 문제7세 여아 '김00' 어린이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해 입원하였으며, 환아의 어머니가 보호자로 옆에서 간호하고 있다. 환아가 항생제를 수액으로 맞고 있던 중 환아의 어머니가 간호사에게 환아가 주사 부위를 아프다고 말했지만, 다른 업무가 밀려있는 상황이라 바쁜 간호사가 괜찮다고 말하였다. 이는 환아와 보호자의 우려를 충분히 경청하지 않고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치료적 의사소통의 문제 상황이다.
-
1. 치료적 의사소통치료적 의사소통은 환자와 의료진 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함께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적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경청, 공감, 명확한 설명 등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치료가 가능해지며, 치료 결과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2. 치료적 의사소통 문제치료적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하면 환자와 의료진 간의 신뢰 관계가 훼손되고, 치료 과정에서 오해와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치료 효과가 저하되고 환자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적 의사소통 문제의 원인으로는 의료진의 시간 부족, 환자의 이해 부족, 문화적 차이, 언어 장벽 등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 환자 교육 강화, 통역 서비스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기관 차원에서 치료적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