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라리아(Malaria)와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본 내용은
"
말라리아(Malaria),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1
문서 내 토픽
-
1. 말라리아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얼룩날개 모기류(Anopheles species)의 암컷 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얼룩날개 모기(Anopheles sinensis)가 말라리아 원충을 전파시킵니다. 말라리아 원충에는 3일열 원충(Plasmodium vivax), 난형열 원충(Plasmodium ovale), 4일열 원충(Plasmodium malariae), 열대열 원충(Plasmodium falciparum)의 4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증상을 유발합니다. 말라리아의 증상은 오한, 발열, 발한 등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며, 빈혈, 두통, 혈소판 감소, 비장 비대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열대열 말라리아의 경우 중증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 진단을 위해 혈액도말 검사, 아크리딘 오렌지 염색, 혈청학적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는 원충의 약제 내성을 고려하여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일본뇌염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작은 빨간집 모기(또는 뇌염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이 모기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 조류나 포유류의 피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이 모기가 다시 사람을 물면서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주로 돼지의 체내에서 증식하므로, 돼지가 바이러스의 증폭 동물 역할을 합니다. 일본뇌염 감염 시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의식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특이적인 IgM 항체 검출이나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 IgG 항체 양의 4배 이상 증가로 가능합니다. 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한 일반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심각한 후유증이나 사망률이 높습니다. 예방을 위해 생후 12~24개월에 일본뇌염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
-
1. 말라리아말라리아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감염성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발열, 오한, 두통,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말라리아는 적절한 치료와 예방 조치를 통해 관리할 수 있지만,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서는 모기 방제, 예방약 투여, 조기 진단 및 치료,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말라리아가 주로 저개발국가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이 매우 중요합니다.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노력은 전 세계 공동의 과제이며, 이를 통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일본뇌염일본뇌염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심각한 바이러스성 뇌염입니다. 이 질병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며, 발열, 두통, 구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일본뇌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이지만,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일본뇌염 퇴치를 위해서는 백신 접종 확대, 모기 방제, 조기 진단 및 치료,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본뇌염이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본뇌염 퇴치를 위한 노력은 전 세계 공동의 과제이며, 이를 통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감염병 역학 조사 6페이지
감염병COVID - 19MERSSARS신종플루→ 감기·바이러스와 같은 인자→ 독감 증세→ SARSCOVID-2 명칭MEMiddle East*중동지역RSRespiratorysyndrome*호흡기 증후근SASevere Accute*심각한, 급성의-SARS COVID→ Novel Swine(돼지) ? origininfluenza A →H1N1AIDSAI, 광우병→ 후천성 면역결핍증→ 만성 감염병→ 조류독감→ by. 소‘특정 단어’의 명칭→혐오감을 불러 일으킴(ex. 신종플루-돼지, AI-조류, 우한폐렴-중국)→who 특정 지역, 특정 단...2020.10.09· 6페이지 -
법정 감염병 분류체계 8페이지
2020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법정 감염병 분류 체계와 신고방법이 시작되었다. 거의 60년 만에 이루어진 전면적인 개정이다. 새로운 법정 감염병 분류체계에서는 기존의 법정 감염병과 신종 감염병을 질환의 심각도, 전파력, 관리 방안 등을 고려하여 위험도 중심으로 재분류를 하였고 전문치료 체계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수감시 감염병은 제1급, 제2급, 제3급으로 분류하였고, 표본감시 감염병을 제4급으로 구분하였다.◆ 제1급 감염병(17종): 제1급 감염병은 바이러스성 출혈열, 생물테러 가능 질환, 신종 감염병 등으로 치명률이 높...2021.11.17· 8페이지 -
2020 법정감염병 분류체계 7페이지
2020 법정감염병 분류체계과목담당 교수학과학번이름제출일목차1. 제1급감염병과 관련 병원 미생물2. 제2급감염병과 관련 병원 미생물3. 제3급감염병과 관련 병원 미생물4. 제4급감명병과 관련 병원 미생물5. 각 급별 신고기간 분류6. 참고문헌과학과 의료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질병도 더욱 빠르고 치명적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에 해가 되는 치명적인 감염병을 경계하기 위해 법이 생겼고 관리와 예방하기 위한 필요한 사항을 규정해서 국민 건강에 도움이되어야 한다.2020년부터 법정감염병 분류체계가 새로 개편된다. 긴급성을 강...2020.06.09· 7페이지 -
간호학) 법정전염병 21페이지
REPORT-법정 전염병-1. 법정전염병이란?2. 법정전염병의 분류1) 제 1군 법정 전염병(1)콜레라 (Cholera)(2)페스트 (Pest)(3)장티푸스 (Typhiod fever)(4)파라티푸스 (Paratyphiod fever)(5)세균성이질 (Bacterial dysentery)(6)장 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E.coli O157:H7)2) 제 2군 법정 전염병(1) 디프테리아 (Diphtheria)(2) 백일해 (Pertusis)(3) 파상풍 (Tetanus)(4 )홍역 (Measles)(5) 유행성 이하선염 (Mumps...2013.07.02· 21페이지 -
인수공통전염병 정의및 분류와 주요 병 6페이지
- 목 차 -1. 인수공통전염병 정의2. 인수공통전염병의 분류3. 원인체별 인수공통전염병4. 주요 인수공통전염병5. 세균성 인수공통 전염병6. 바이러스성 인수공통 전염병인수공통전염병1. 인수공통전염병의 정의야생동물과 가축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는 인수 공통(人獸共通) 전염병 (zoonoses)을 말한다. 특히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감염되는 병을 말한다. 사람과 동물의 양쪽에 중증의 병을 일으키는 탄저(炭疽) ·페스트 ·광견병 ·우결핵병(牛結核病) 등 외에, 동물에서는 비교적 경증 또는 불현성 감염(不顯性感染...2015.06.05·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