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생물 자원과 해양 바이오 산업
본 내용은
"
고등학생 통합과학, 과학탐구, 지구과학 및 생명과학 세특 보고서(해양에서 나는 화학물질, 의약품 관련) (주제 - 해양 생물 자원과 해양 바이오 산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0
문서 내 토픽
  • 1. 주목받고 있는 해양 생물 자원
    지구 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지구 전체 생물종의 80%가 서식하고 있는 해양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며 다양한 이용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해양 생물자원의 기후조절 및 오염물질 자정 능력만 계산해도 그 가치가 26조 달러에 이르며, 이는 육상생물의 2배에 달한다. 바닷속 생물은 차세대 의약품의 원천으로 손꼽히며, 암은 물론 에이즈, 알츠하이머병 등 현대의학의 불치병을 치유하는 신물질을 해양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해양약리학은 해양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을 조사하고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분야로 새롭게 주목되고 있으며, 해양생물공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여 각종 해양생물로부터의 특수물질 및 생리활성물질 추출 이용이 점차 활기를 띠어가고 있다.
  • 2.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해양 생물 자원
    우렁쉥이에서 분리된 천연물질인 엑티나시딘은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청자고둥에서 추출된 물질은 진통제로 사용되고 있다. 카리브해의 부채산호와 연산호류에서 추출된 물질은 각각 소염제와 주름개선 화장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미역과 다시마의 꽃인 '톳'에서 나오는 물질 '후코이단'을 항암치료나 염증의 항생제로 개발 중이며, 해면동물에서 추출된 '아라-A'와 '아라-C'는 항바이러스 및 항암 작용을 입증하여 실제 의약품으로 개발되었다. 복어의 독성분인 테트로도톡신은 근이완제나 진통제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상어의 간에서 발견한 스쿠알렌, 참치의 눈알에서 추출한 EPA와 DHA 등 바다에서 발굴한 생물자원이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화장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바다이끼벌레에서 추출된 항암제 브라이오스타틴, 조개나 산호충에서 발견되는 맹독성 물질, 교각의 말뚝에 있는 미생물에서 추출한 물질, 원뿔달팽이 독 등이 주목받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목받고 있는 해양 생물 자원
    해양 생물 자원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생물 자원 중 하나입니다. 최근 들어 이러한 해양 생물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기존의 육상 생물 자원이 점점 고갈되고 있어 새로운 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둘째, 해양 생물 자원이 가진 고유의 특성과 잠재력이 점차 부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해양 생물은 극한 환경에 적응하며 발달해왔기 때문에 독특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어 의약품 개발, 신소재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양 생물 자원은 식량 자원, 에너지 자원 등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해양 생물 자원에 대한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활용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해양 생물 자원
    해양 생물 자원은 의약품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양 생물은 육상 생물과는 다른 독특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의약품 개발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 생물은 극한 환경에 적응하며 발달해왔기 때문에 항암, 항염, 항바이러스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현재 개발 중인 많은 의약품 후보물질들이 해양 생물에서 유래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양 생물 자원은 접근성이 낮고 개발 과정이 복잡하여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많지 않은 편입니다. 따라서 향후 해양 생물 자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는 관련 기술 개발, 규제 정비, 생태계 보전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