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기흥구 보건소 사례보고서
본 내용은
"
A+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기흥구 보건소 사례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1
문서 내 토픽
-
1. 연령/신체적 상태에 대한 부적절한 운동형태/양기흥구 주민의 걷기 실천율을 46.2%→48.2%로,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을 60.1%→62.1%로 각각 2%씩 증가(목표 8,400여명씩)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고취시키는 홍보, 걷기 챌린지, 걷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
2. 예방적, 치료적 건강관리 제공 곤란기흥구 50세 이상 주민(130,000여명) 중 치매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희망률을 24.0%→26.0%로 총 2%(목표 2,600여명) 증가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치매 조기검진, 치매 예방교육, 인지 강화 프로그램, 뇌 건강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
3. 흡연/담배 사용기흥구 흡연인구(63,000여명) 중 금연 시도율을 11.3%→14.3%로 총 3%(목표 1,900여명) 증가시켜서 건강증진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찾아가는 금연클리닉, 온라인 금연 프로그램, 금연 캠페인 등을 운영한다.
-
1. 연령/신체적 상태에 대한 부적절한 운동형태/양연령과 신체적 상태에 따라 적절한 운동 형태와 양이 달라져야 합니다.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저강도의 운동이나 재활 운동 등이 더 적합할 것입니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와 능력을 고려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합니다.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개인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운동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
2. 예방적, 치료적 건강관리 제공 곤란예방적이고 치료적인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실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의료 자원의 부족, 의료 접근성의 문제, 경제적 부담 등 다양한 장애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또한 예방 교육, 건강검진 등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나아가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 형평성 있는 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
3. 흡연/담배 사용흡연과 담배 사용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타인의 건강에도 심각한 위협을 가합니다. 흡연은 각종 암,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이 되며, 간접 흡연 또한 큰 위험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흡연과 담배 사용을 줄이기 위한 강력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금연 캠페인, 담배 가격 인상, 금연 지원 서비스 확대 등 다각도의 접근이 요구됩니다. 또한 청소년과 어린이에 대한 흡연 예방 교육도 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흡연이 건강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인식시키고, 금연을 통해 국민 건강을 증진시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