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와 물질이동 (원형질분리) 실험보고서
본 내용은
"
삼투와 물질이동 (원형질분리) 실험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9
문서 내 토픽
-
1. 삼투 현상달팽이가 소금과 만나면 달팽이는 거품을 일으키다 점점 쪼그라든다. 이때 거품이 나는 이유는 달팽이가 일종의 자기 보호를 하는 것이지만 결국 달팽이는 말라 비틀어져 죽는다. 이 현상은 농도가 낮은 물질의 수분이 농도가 높은 물질로 이동하는 삼투압의 원리 때문이다. 달팽이는 자신의 몸체의 농도가 소금보다 낮기 때문에 투과성이 좋은 얇은 피부를 통해 몸체의 수분이 소금으로 이동되어 자신은 말라 비틀어지게 되는 것이다.
-
2.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세포에는 선택적 투과성을 띠는 세포막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아미노산이나 화학 물질은 통과할 수 없지만 입자가 작은 물은 통과할 수 있고 이런 원리를 통해 물은 두 물질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
3. 삼투 현상에 따른 세포의 변화삼투 현상이 일어난 세포는 세가지의 다른 특성을 띨 수 있다. 세포 자신보다 낮은 농도의 물이 유입이 되면 그 물은 비교적 농도가 높은 세포로 이동하여 세포는 팽윤하게 된다. 이 상태를 저장성 용액이라고 한다. 반대로 자신보다 높은 농도의 물이 유입되면 소금을 만난 달팽이처럼 세포 자신의 수분을 세포 바깥으로 빼앗기게 되며 세포는 수축이 일어나 쪼그라들게 되고 이것을 고장성 용액이라고 한다. 세포와 비슷한 농도의 물이 유입되면 세포는 팽윤이나 수축을 전혀 하지 않는,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을 등장성 용액이라고 한다.
-
4. 식물 세포의 원형질분리식물 세포의 저장성 용액에서는 세포가 팽팽하게 부풀어오르지만 용혈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식물 세포는 고장성 용액에서 세포의 수분을 빼앗기게 되면 세포벽의 존재로 인해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가 된다. 이것을 원형질분리라고 한다. 원형질분리가 일어날 때는 세포벽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세포막은 세포벽에서 떼어져나와 주로 구 모양으로 쪼그라든다.
-
5.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삼투 현상과 같이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물질 이동이 일어나는 수송을 수동 수송으로 분류하며 확산 및 침투 등이 있다. 반대로 농도를 역행하며 ATP를 사용하는 수송을 능동 수송이라고 한다. 그 주된 예시로 Na+/K+ pump가 있으며 이 펌프는 ATP를 ADP로 분해하며 Na+ 3개를 세포 밖으로, K+ 2개를 세포 안으로 수송하며 세포 밖은 Na+의 농도를 높게, 세포 안은 K+의 농도를 높게 유지한다.
-
6. 양파 표피 세포의 원형질분리 관찰설탕 용액의 농도가 0.4M부터 시작해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표피 세포의 세포막이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점점 동그란 형태를 띠는 것이 발견됐다. 이것은 원형질분리라고 하며 식물 세포에 유입된 물의 농도가 세포 자체의 농도보다 낮을 때 세포의 수분을 세포 밖으로 빼앗겨 세포막이 수축하며 세포벽에서 떨어지는 현상이다.
-
7. 동물 세포 적혈구의 변화 관찰순수한 적혈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튜브 형태로, 양면이 오목하고 바깥쪽보다 가운데가 얇은 작은 접시모양을 하고 있다. 0M의 NaCl (순수한 물)이 유입된 적혈구는 물의 수분 농도가 적혈구 내의 농도보다 낮기 때문에 적혈구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된다. 1.5M의 용액에서는 적혈구의 표면이 동그랗고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해지거나 눌린 우유곽처럼 비틀어지고 납작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5M의 용액의 적혈구들은 대부분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모두 수축되어 있었다.
-
8.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의 차이식물 세포는 동물 세포와 달리 세포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세포 자체 농도보다 낮은 물을 유입해도 세포가 터지지 않는다. 동물 세포는 세포벽과 같이 모양을 유지하는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면 세포는 터질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을 용혈 현상이라고 한다.
-
9. 식물 세포의 원형질복귀고장성 용액에서 용매를 잃은 세포는 다시 농도가 낮은 용액에 넣으면 세포막이 원상복귀 되는데, 이것을 원형질복귀라고 한다. 식물 세포에서 물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식물에 물을 주지 않으면 세포외액이 등장성 또는 고장성 용액이 되어 물이 식물에서 그 바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것은 식물을 시들게 한다.
-
10. 기생충과 원생생물의 수축성 액포기생충이나 세포벽이 없는 원생생물인 아메바는 수축성 액포를 가질 수 있다. 수축성 액포는 과량의 물을 흡수하고 배출하며 원생생물 세포가 저장액에서 수분을 흡수할 때 세포가 용해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11. 동물 세포 적혈구의 파괴동물 세포의 적혈구의 경우에는 세포가 수축하면 적혈구의 세포질은 쪼그라들고 세포 소기관들은 농축되어 적혈구는 파괴된다. 파괴된 적혈구는 되살아나지 않으며 이들은 적색 펄프 대식세포 (red pulp macrophages)에 의해 완전히 파괴된다.
-
1. 주제2: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세포막은 세포 내외부의 물질 교환을 조절하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은 세포가 필요한 물질은 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배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세포는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는 세포 생물학, 약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
2. 주제4: 식물 세포의 원형질분리식물 세포는 세포벽과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어 삼투압 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 고장액 속에 있는 식물 세포는 수분이 빠져나가 세포막이 세포벽에서 분리되는 원형질분리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식물 세포의 원형질분리에 대한 이해는 농업, 원예,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
3. 주제6: 양파 표피 세포의 원형질분리 관찰양파 표피 세포는 삼투압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원형질분리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 삼투 현상, 세포의 부피 변화 등 다양한 세포 생물학적 개념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파 표피 세포의 원형질분리 관찰은 세포 생물학 실험에서 널리 활용되며,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중요한 실험 기법이 됩니다.
-
4. 주제8: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의 차이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는 구조와 기능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식물 세포는 세포벽과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만, 동물 세포는 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식물 세포는 세포 분열을 통해 증식하지만, 동물 세포는 유사 분열을 통해 증식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세포 유형의 고유한 생명 활동과 적응 전략을 반영합니다.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의 차이에 대한 이해는 세포 생물학, 생명공학,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
5. 주제10: 기생충과 원생생물의 수축성 액포기생충과 원생생물은 수축성 액포를 가지고 있어 삼투압 조절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합니다. 수축성 액포는 세포 내 과잉의 물과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생충과 원생생물의 수축성 액포에 대한 이해는 기생충학, 원생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
삼투와 물질의 이동 실험보고서 6페이지
생명과학실험 보고서1. 실험제목 : 삼투와 물질의 이동2. 실험목적 : 동물세포와 식물세포를 이용해 세포막을 통해 일어나는 세포의 삼투현상을 확인하고 세포 밖의 용액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세포의 모습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한다.3. 실험도구 : USB 현미경, 양파, 면도칼, 고장애기 등장액, 저장액,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 슬라이드글라스, 커버글라스, 란셋4. 실험방법 : 양파표피세포와 적혈구세포 관찰? 면도칼을 이용해 양파에 #모양의 칼집을 내고 내표피를 벗겨 슬라이드글라스 한쪽에 올린다.? 양파표피세포에 등...2021.05.26· 6페이지 -
[아주대] 생물학실험1 삼투와 물질이동 실험보고서 A0 8페이지
삼투와 물질이동 실험보고서동물세포와 식물세포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종류와 투과량을 결정한다.세포의 세포질 조성은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에 의해 세포 밖과 다르다. 즉 세포막은 일부의 작은 분자와 이온은 받아들이는 반면 나머지는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세포막을 통과하는 중요한 결정인자는 세포막 지질이중층에 용해되는 정도이다. 지질에 잘 녹는 지용성 물질, 비극성 분자는 소수성이므로 막을 쉽게 통과한다. 하지만 막의 소수성 중심부는 친수성인 이온과 극성분자가 막을 가로질러 직접 통과하지 못하게 막는다. 극성분자는 지...2021.01.14· 8페이지 -
아주대학교 생물학실험1 (A+보고서) 삼투압 11페이지
생물학 실험 보고서삼투와 물질이동 1조실험 목적식물세포 동물세포막이 저장액, 고장액, 등장액속에서의 원형질 막의 거동을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추정하며 삼투압, 선택적 투과성 등의 개념을 이해한다. 또한 혈액의 용혈현상을 관찰 하여 식물세포와 비교 분석한다.실험 이론삼투(Osmosis): 삼투현상은 용질의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선택적 투과성 막을 통해 물이 이동 하는 현상이다. 여기서 물이 이동하는 이유는 분자량이 큰 용질이 용해되어 있을 때, 선택적 투과성 막을 두고 물 분자는 용질에 비해 작아 쉽게 통과하지만, 크기가...2024.02.12· 11페이지 -
충북대 일반생물학실험_5_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14페이지
[별첨] 실험보고서 표지실험보고서Experiment Report교과목명일반생물학의 이해 및 실험실험제목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제출월일2016년4월15일담당교수제 출 자성명:학과:생명과학부학년:1학번:충북대학교 생물학과Department of Bi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Ⅰ.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확산, 삼투, 수동수송, 능동수송 등) 현상을 이해하고, 세포의 생리적인 변화를 관찰한다.Ⅱ.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1. 세...2024.07.18· 14페이지 -
[충북대 A+, 보고서 점수 2등]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보고서 13페이지
실험보고서Experiment Report교과목명일반생물학 및 실험실험제목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제출월일년월일담당교수제출자성명:학과:학년:학번:충북대학교Chungbuk National University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확산, 삼투 수동수송, 능동수송 등) 현상을 이해하고, 세포의 생리적인 변화를 관찰한다.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1. 세포막(cell membrane)1-1. 세포생명의 기본 단위인 세포(cell)는 생존에 필요한 구조와 분자 구...2024.05.31·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