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일반물리학실험1] 탄동진자 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A+][일반물리학실험1] 탄동진자 실험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0
문서 내 토픽
-
1. 충돌에서의 운동량 보존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이번 실험은 0.066kg의 강철 공과 0.010kg의 플라스틱 공을 발사하여 회전된 진자의 각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발사체의 속력을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에서 발생한 충돌의 종류는 '완전 비탄성 충돌'로, 충돌 전과 충돌 후의 운동량이 보존된다. 또한 진자와 발사체가 합쳐진 상태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인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발사 장치의 단수가 증가하면 진자 각도와 발사체의 속력이 증가하고, 추의 개수가 증가하면 진자 각도는 감소하지만 발사체의 속력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조건에서 질량이 다른 발사체의 속력을 비교하면 질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공의 속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충돌에서 운동량 보존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의 원리를 이용하여 발사체의 속력을 구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조건에 따른 발사체의 속력 변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
1. 충돌에서의 운동량 보존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충돌 상황에서 운동량과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은 매우 중요한 물리학적 개념입니다. 운동량 보존의 원리에 따르면, 충돌 전후 시스템의 총 운동량은 보존됩니다. 이는 충돌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성립합니다. 또한 역학적 에너지 보존의 원리에 따르면, 충돌 전후 시스템의 총 역학적 에너지(운동 에너지 + 위치 에너지)는 보존됩니다. 단, 마찰력과 같은 비보존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역학적 에너지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량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충돌 안전성 설계, 스포츠 경기에서의 선수 동작 분석, 우주선 발사 및 궤도 변경 등에 활용됩니다. 또한 이 개념들은 물리학의 기본 원리로서 다른 물리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충돌 상황에서의 운동량 보존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은 매우 중요한 물리학적 개념이며,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
동국대 일반물리학및실험1_4. 탄동진자_2021년 결과보고서_ A+ (이론설명, 실험과정, 오차원인, 해결방안) 5페이지
2024.07.10· 5페이지 -
(A+)단국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1 탄동진자 예비보고서 2페이지
실험제목탄동진자 실험1. 목적탄동진자를 이용하여 운동량 보존의 원리를 실험을 통하여 학습하고, 공의 초기속도를 계산해 본다.2. 실험 원리탄동진자(Ballistic Pendulum)에서 공을 발사했을 때 진자가 움직인다. 이 진자가 도달한 높이로부터 퍼텐셜에너지(U)를 계산할 수 있고, 이러한 퍼텐셜에너지는 공의 운동에너지(K)와 같다. 공을 발사했을 때 진자는 회전을 하는데, 이때 퍼텐셜에너지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TRIANGLE U=Mg TRIANGLE h _{cm}cdotscdotscdotscdotscdotscdotscdots...2024.01.03· 2페이지 -
국민대학교 물리실험 예비보고서 모음 30페이지
01. 힘의 평형 예비보고서담당 교강사제출자전공1. 실험 목적힘의 합성대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연구하고, 이를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비교 분석한다.2. 실험 원리(1) 합력과 평형● 그림에서 우주선 X와 Y가 벡터bold{vec {F_x }와boldvecF_y 만큼의 힘으로 소행성을 당기고 있다. 이 힘들은 소행성의 같은 지점을 당기고 있다. 힘을 벡터량으로 표시할 때 화살표의 방향은 힘의 방향을, 화살표의 길이는 벡터의 양을 나타낸다. (힘의 양은 끄는 끈의 길이와 무관하다.)● 소행성에 작용하는 총 힘은 벡...2024.04.09· 30페이지 -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보고서 7페이지
일반 물리학 실험 결과 보고서운동량과 에너지 보존1. 실험방법실험A 충돌 진적 쇠구슬의 운동량 mvb 측정1.발사통을 그림 9.2와 같이 장치하고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발사통이 수평이 되게 한다.2.발사통을 실험 테이블 밖으로 향하게 하고 발사체가 떨어질 예상되는 지점에 종이와 먹지를 둔다.(바닥에 깐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테이프로 잘 고정시킨다.)3.발사통은 쇠구슬이 날아갈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세가지 영역(short range. medium range long range)으로 장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장전 막대를 이용하...2017.01.23·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