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사단칠정 해석
본 내용은
"
이황 이이 사단칠정 해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7
문서 내 토픽
  • 1. 리理와 기氣
    성리학에서 세상 모든 만물은 리와 기로 되어있다. 리는 천지만물의 근원 즉 존재하는 모든 것이 비롯되는 원인이고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재료이다. 리와 기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 (현실세계에서 리와 기는 공존함 결코 분리되지 않음)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 (리와 기는 본질이 다르기 때문에 결코 섞이지 않음) 의 관계에 있다. 하나의 리는 다양한 기를 만나서 다양한 개체의 리로 전개된다. (이일분수/理一分殊)
  • 2. 성性과 정情
    마음 또한 리와 기로 되어 있다. 리와 기가 만나서 어떤 물체가 형성 되었을 때는 이 리를 더 이상 리라고 하지 않고 성이라고 부른다. 성은 인의예지 사덕으로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다. 마음이 외부 사물을 보았을 때 감정 (정) 이 생긴다. 이때 생기는 감정을 도덕적 감정 ( 사단 四端 :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 과 일반적 감정 (칠정 七情 : 희노애구애요욕)이 있다.
  • 3. 이황의 사단칠정 해석
    이황은 리의 능동적인 작용성을 인정한다. 마음이 활동할 때 리가 주로 움직이느냐 기가 움직이느냐에 따라 사단은 리발 칠정은 기발이라고 주장한다. 사람에게 리는 인의예지로 내면화 되어 있으니 리가 주도적으로 움직여 생긴 도덕적 감정 사단은 언제나 선이고 기가 주도적으로 움직여 생긴 일반적 감정 칠정은 선으로 흐를 수도 악으로 흐를 수도 있는 가능성을 지닌 것이다.
  • 4. 기대승의 비판과 이황의 반론
    기대승은 사단칠정 모두 리와 기로 이루어졌는데 사단을 리발 칠정은 기발이라고 한 점을 비판한다. 이황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또한 이가 주가 되느냐 기가 주가 되느냐 따라 하나의 성을 리는 본연지성 기는 기질지성이라고 나누어 말하듯이 감정 또한 리가 주로 기가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사단은 리발 칠정은 기발이라고 반론한다.
  • 5. 이황의 수정 입장
    이황은 도덕적 감정 사단은 마음속의 리 즉 성이 주도적으로 움직이고 기가 리를 따르면 나타나는 감정 (리발기수/理發氣隨?)이고, 일반적 감정 칠정은 기가 주도적으로 움직이고 리가 기위에 타서 생기는 감정 (기발이승/氣發理乘 )이라고 수정한다.
  • 6. 이이의 사단칠정 해석
    율곡 이이는 사단칠정 모두 도덕감정인 사단과 일반적인 감정모두 기가 발하고 이가 기위에 타서 생긴 감정으로 기발만 인정 한다. (기발이승/氣發理乘 ) 즉 선으로 흐를 수도 악으로 흐를 수도 있는 기가 움직여 생기는 감정인 칠정이 선한 방향으로 흐르면 그것이 사단 (도덕적 감정) 이라고 생각한다.
  • 7.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람의 본성은 리와 기로 되어 있는데 리가 기속에 있는 것 기질지성이고 기질 속에 이만을 홀로 말한 것을 본연지성이다.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은 하나의 성이지만 주로 말한 것이 달라 두 개의 이름이 있을 뿐 사단과 칠정을 두 가지로 나누어서 말하려고 한다면 본연지성과 기질지성도 나누어서 말해야 하는데 성이 이미 하나인데 이발과 기발이 다름이 있다면 성을 아는 것이 아니다.
  • 8.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
    따라서 기발(기의 움직임)만 인정해야한다고 이이는 이발을 비판한다.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 )
  • 9. 이황과 이이의 차이
    이황은 도덕적 감저오가 일반적 감정 즉 사단과 칠정을 철저하게 둘로 분리함으로써 도덕의 영역을 철저하게 지키고자 하였고. 이이는 일반적 감정을 도덕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 10. 성리학의 핵심 개념
    성리학에서 핵심 개념은 리와 기, 성과 정,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등이다. 이황과 이이는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사단칠정 문제를 해석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성性과 정情
    성性과 정情은 인간의 본성과 감정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성은 인간이 타고난 본래의 도덕적 특성을 의미하며, 정은 이러한 성에 기반한 감정적 반응을 나타냅니다. 성리학자들은 성과 정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는 인간 본성과 수양 방법에 대한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성과 정에 대한 해석은 성리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로, 인간 존재와 도덕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합니다.
  • 2. 주제4: 기대승의 비판과 이황의 반론
    기대승은 이황의 사단칠정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오히려 사단과 칠정이 하나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황은 사단과 칠정의 구분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은 성리학의 핵심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을 이끌어냈으며, 인간 본성과 수양 방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 3. 주제6: 이이의 사단칠정 해석
    이이는 이황의 사단칠정론과는 다른 독자적인 해석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구분하지 않고, 오히려 이 둘이 하나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그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기에 근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이의 사단칠정론은 이황의 견해와 대비되는데, 이는 인간 본성과 감정에 대한 상이한 이해를 반영합니다. 이이의 해석은 성리학 내부의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합니다.
  • 4. 주제8: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은 그의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보여주는 핵심 개념입니다. 그는 리와 기의 관계에 대해 기가 먼저 발동하고 리가 이를 승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이는 인간의 행위와 도덕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습니다. 기발이승일도설은 성리학의 핵심 주제인 리와 기의 관계에 대한 이이의 독창적인 견해를 보여주며, 인간 존재와 도덕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합니다.
  • 5. 주제10: 성리학의 핵심 개념
    성리학의 핵심 개념들, 즉 리와 기, 성과 정, 사단과 칠정,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기발이승일도설 등은 인간 존재와 도덕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성리학자들 간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인간 본성과 수양 방법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성리학의 핵심 개념들은 동양 철학의 핵심을 이루며, 인간 존재와 도덕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