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공학] 인간화 마우스
본 내용은
"
[생명공학] 인간화 마우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7
문서 내 토픽
-
1. 인간화 마우스인간화마우스는 Mouse에 인간 시스템의 일부를 도입하여 만들어낸 mouse로 인간의 질병에 대한 연구나 특정 질병에 대한 약물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주는 model이다. 인간화마우스는 인간의 cell을 이종이식하는 방법을 통해 만들어내며, in vivo situation에서 인간의 특이적인 생리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model로서 사용된다.
-
2. 인간화 마우스 모델 확립 방법인간화 마우스 모델 확립 방법에는 Hu-PBL-SCID, Hu-SRC-SCID, SCID-HU, BLT 등이 존재한다. 그 중 Hu-SRC-SCID model은 선천성, 후천성 면역이 모두 결핍된 NSG mouse 에다가 CD34+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s을 engrafting 시켜 만들어낸다. 이 cell은 umbilical cord blood, bone marrow 등에서 얻을 수 있다.
-
3. Hu-SRC-SCID 모델 제작 방법Hu-SRC-SCID 모델은 갓 태어난 새끼 mouse에 인간의 hematopoietic stem cells을 주사를 통해서 주입하는 방법과 Busulfan을 복강내 주사하여 기존 마우스의 조혈계를 제거한 후 정맥혈관을 통해서 hematopoietic stem cells을 넣어주는 방법이 있다. 8주 후에 안와 정맥총 채혈법을 통해서 human 세포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4.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NSG mouse는 T cells, B cells 그리고 natural killer cells이 매우 부족하게 존재하고, 사이토카인 signal pathway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선천 면역에도 결함이 존재한다. 이처럼 면역능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human cell의 engraftment가 쉽게 가능하고 이에 HSC와 같이 면역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cell을 넣어 인위적으로 인간의 면역 시스템을 갖춰줄 수 있다.
-
5. Human HSC를 통한 면역계 형성의 장단점HSC를 이용한 면역계 형성은 HSC로부터 B, T cells, APCs, myeloid cells 그리고 NK cell 등 multiple lineages cell 들이 분화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간의 면역 시스템과는 완벽하게 동일할 수는 없으며, human 흉선에서의 T cell 성숙화가 human T cell과는 다르게 성숙이 되고, 혈액 내에 circulation 하는 human cell들의 분포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
6. 더 발전된 인간화 마우스 모델 개발 방향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더 발전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기존 마우스 모델의 면역능력을 더욱 낮추는 것이고, 둘째는 모델에 생성되는 인간의 면역 특성을 높이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MHC class I과 II를 knock out 시키거나 Toll-like receptor(TLRs)를 공략하는 방법이 있고, 후자의 경우 HLA class I molecules을 발현시키는 방법이 있다.
-
1. 주제2: 인간화 마우스 모델 확립 방법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면역결핍 마우스에 인간 면역 세포나 조직을 이식하는 방법, 인간 유전자를 마우스에 도입하는 방법, 인간 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Hu-SRC-SCID 모델은 인간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인간 면역 시스템을 구축한 모델로, 조혈 및 면역 질환 연구에 유용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더 발전된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인간화 마우스 모델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주제4: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면역결핍 마우스 모델은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이 결핍된 마우스로, 인간 면역 세포와 조직을 이식하여 인간화 마우스를 만드는 데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로는 NOD/SCID, NSG, Rag1/2 KO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마우스는 이식된 인간 세포가 거부반응 없이 생착할 수 있어 인간화 마우스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 자체로도 면역 결핍 질환 연구, 종양 면역학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모델들은 완전한 인간 면역 시스템을 재현하지 못하므로,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향후 더 발전된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이 개발되면 인간화 마우스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주제6: 더 발전된 인간화 마우스 모델 개발 방향향후 인간화 마우스 모델 개발의 주요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더 정교하고 다양한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 유전자를 마우스에 도입하거나, 마우스 유전자를 인간형으로 변형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델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인간 조직 및 장기를 이식하여 더 완전한 인간 생리학적 특성을 가진 모델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장기 이식 기술, 인간 줄기세포 활용 등의 발전이 필요합니다. 셋째, 인간 면역 반응을 더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인간 면역 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보다 잘 모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향후 인간화 마우스 모델은 인간 질병 연구와 신약 개발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생명공학과 인간의 미래 선택 인간 두뇌와 컴퓨터의 연결 3페이지
**레포트****제목** 생명공학과 인간의 미래 선택: 인간 두뇌와 컴퓨터의 연결**요약**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인간 두뇌와 컴퓨터의 연결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컴퓨터의 정보를 손쉽게 접근하고, 컴퓨터와 협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능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윤리적 문제도 야기한다. 인간의 의식과 인격이 컴퓨터와 결합되어 인간의 본질이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기술이 악용될 경우 인간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2023.11.06· 3페이지 -
인간과두뇌의신비 전공 연관성 과제 4페이지
뉴로바이올로지(Neurobiology) 응용화학생명공학과20***** 이름 홍길동필자의 전공은 응용화학과 생명공학 전공이 통합된 융복합적 학과이다. 뇌 연구와 깊은 관계가 있는 생명공학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뇌 연구 및 개발되는 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뇌는 감각정보를 받아서 처리하고 판단하여 행동을 수행한다. 뉴로바이올로지(Neurobiology)라 불리는 신경생물학은 이러한 뇌의 작동원리를 분자, 세포 및 신경회로 수준에서 연구하여 작동원리를 규명한다.1) 기초 분야신경세포의 성장, 분화 및 사멸 등 신경세포의 특수성을 이해하...2022.07.06· 4페이지 -
게놈 브라우저와 ncbi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암억제유전자 얻기 보고서입니다. 13페이지
UCSC Genome browser와 NCBI를 이용하여 TP53(암억제 유전자) 유전정보 얻기31007 aaas탐구동기여러 생명공학 논문에서 게놈에 대한 정보를 찾을 때 UCSC Genome browser나 NCBI를 이용하여 유전정보를 찾는것을 보았다. 이 프로그램이 신기하여 이 프로그램의 도구를 이용하는 법을 배우고 내가 관심있는 암에 대해 암억제유전자인 tp53을 알아보고자 한다.이론적 배경UCSC Genome browser유전체 브라우저(genome browser)는 사용자가 원하는 유전체(genome)의 특정 부분을 보여...2021.08.16· 13페이지 -
주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병 치료" PPT + 대본(2000자) 고등학생 생명과학 세특 9페이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병 치료유전자 가위란 ? DNA 절단 기능을 가진 도구 인간 및 동식물 세포의 유전자 교정 , 비정상 유전자 치료유전자 가위의 원리유전자 가위의 적용 및 발전 가능성 유전체 교정에 가장 핵심 역할 식물 , 동물 , 인간 등 모든 생물체에 대한 유전자 편집 및 조절 다양한 연구에 이용유전자 가위 기술 축복인가 재앙인가 윤리적 문제 생명의 도구화 능력 감당에 대한 의문 표적이탈효과발표를 준비하면서 느낀 점 생명과학 시간에 생물의 진화를 배우면서 유성생식 과정을 통해 제공된 유전자의 다양성으로부터 생기는 차이가 ...2024.12.14· 9페이지 -
설치류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쥐 5페이지
일반생물학실험설치류의 해부학적 특징 및 기능학과학번이름담당교수1. 실험 제목 : 설치류의 해부학적 기능 및 특징2. 실험 목표 : 설치류인 쥐의 해부를 통해 척추동물의 외부형질은 물론 각 조직계와 기관들 에 대하여 모양과 위치를 관찰한다.3. 재료 및 방법마우스, 해부판, 해부도구, 고정용 needle, 라텍스장갑, 마스크1) 해부 전 실험 조교가 마우스를 CO2 chamber에 넣어 질식사 시킨 마우스를 준비한다.2) 해부판에 마우스의 배가 위쪽을 향하도록 올려놓고, 사지를 needle로 고정시킨다.3) 해부 도구를 이용하여 항문...2023.08.2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