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철관 관두께검토
본 내용은
"
주철관 관두께검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7
문서 내 토픽
-
1. 주철관 관두께 산정이 시트는 주철관 두께 계산 서식 파일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위한 것입니다. 필요에 따라 기본값을 변경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력된 셀의 위치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서식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신 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닥타일 주철관의 관두께 산정식은 정수압, 수격압, 토피에 의한 토압, 트럭하중에 의한 토압을 전부 동시에 고려하여 유도하고 있습니다.
-
2. 외압 계산 방법상부 토피하중은 시트파일(sheet pile) 등 토류벽 시공에 따른 수직굴착의 경우 Wf = Υs ·H 로 계산하며, 일반 굴착의 경우 수직굴착 경우의 상부 토피하중보다 값이 작으면 수직굴착 경우의 상부 토피하중을 적용합니다. 노면하중은 Wt = 2np(1+i) / [ { nL + (n-1)C + b + 2Htanα} * { a + 2Htanα} ] 로 계산합니다.
-
3. 관저의 지지각에 따른 계수값닥타일 주철관의 관저의 지지각에 따라서 결정되는 계수값은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관정의 경우 0.140 ~ 0.096, 관저의 경우 0.281 ~ 0.096의 값을 가집니다.
-
4. 닥타일 주철관 관두께 계산닥타일 주철관의 관두께는 내압에 의한 인장응력과 외압에 의한 휨응력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계산식은 St2 - (1.25Ps + Pd)dt - 2.1(KfWf + KtW)Dm2 = 0 이며, 이를 t에 대해 풀면 관두께를 구할 수 있습니다.
-
5. 닥타일 주철관 내진 검토닥타일 주철관의 내진 검토를 위해 관에 발생하는 응력(내압에 의한 축방향응력, 차량하중에 의한 축방향응력, 지진시 축방향응력)과 이음부의 축방향 신축량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관의 내진 안정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
1. 주철관 관두께 산정주철관 관두께 산정은 관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관두께 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내압, 외압, 토압, 자중 등 다양한 하중 조건과 관의 재질 특성, 매설 환경 등이 있습니다. 관두께 산정 방법은 관의 용도, 매설 환경, 관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기준과 계산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 설계 시 관련 기준과 설계 지침을 충분히 검토하고 실제 현장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한 관두께를 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외압 계산 방법관 매설 시 외압은 매우 중요한 하중 요인이 됩니다. 외압 계산 방법은 관의 재질, 매설 깊이, 토질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외압 계산 방법으로는 Marston 공식, Spangler 공식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유한요소해석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외압 계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토압, 차량 하중, 지진 하중 등이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의 안전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실제 현장 조건을 반영하기 위해 현장 계측 데이터 등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3. 관저의 지지각에 따른 계수값관저의 지지각은 관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관저의 지지각에 따른 계수값은 관의 변형 및 응력 계산 시 중요한 입력 변수가 됩니다. 지지각 계수값은 관 재질, 매설 깊이, 토질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관련 기준과 설계 지침에 제시된 값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장 조사 및 실험을 통해 실제 지지각 계수값을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관저의 지지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관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4. 닥타일 주철관 관두께 계산닥타일 주철관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하여 상하수도 관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닥타일 주철관의 관두께 계산은 내압, 외압, 자중 등 다양한 하중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관두께 계산 시 관 재질의 기계적 특성, 허용 응력, 안전율 등을 적절히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관의 용도, 매설 깊이, 토질 조건 등 현장 여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닥타일 주철관 관두께 계산 방법은 관련 기준과 설계 지침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설계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닥타일 주철관 내진 검토지진 발생 시 관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진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닥타일 주철관의 내진 검토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관의 재질 특성, 매설 깊이, 토질 조건, 지진 하중 등이 있습니다. 내진 설계 기준에 따라 관의 응력, 변형,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며, 필요 시 보강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실제 지진 발생 시 관 구조물의 거동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닥타일 주철관의 내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준과 설계 지침을 충분히 검토하고 현장 여건을 고려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
남전리급수시설(상수도)종합보고서 37페이지
남 전 리 급 수 시 설 수 해 복 구 공 사종 합 보 고 서2006. 10.목 차제 1 장 과업의 목적 및 내용1.1 과업의 목적 ------------------------------------------------------------ 21.2 과업의 범위 ------------------------------------------------------------ 21.3 과업의 내용 ------------------------------------------------------------ 2제 2 장 사업의 개요2.1 사업...2014.09.15· 37페이지 -
유지관리계획,상수도유지관리계획,상수도유지관리계획서 48페이지
상수도 유지관리 계획서목 차1 개 요2 배수관로3 전식 및 부식방지4 관의 부설 교체 및 갱생5 사고의 예방6 사고의 복구7 단수 및 통수조작8 부속설비유지관리계획유지관리계획1개 요상수도의 유지관리는 시설을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양질의 수돗물을 수요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각 단계가 적정하게 실시되어야 한다.2배수관로2.1 관로정보의 수집?정리?관리높은 수준의 상수도를 구체화시키기 위해서는 관련시설물을 충실하게 관리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시...2014.01.23· 48페이지 -
[정수처리설계] 정수처리설계(용량 28000) 29페이지
정수장 설계1.시설 규모의 결정1.1 계획년도새로운 상수도시설 혹은 기존시설에 대한 확장시설을 하려는 경우에도 장래 5~15년 간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단, 장기적인 인구추정이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혹은 급수량 추정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구 조특 징계획기간(년)큰댐 및 대구경 관로확장이 어렵고 비싸다25~50정호,배수관로 및 여과지확장이 쉬우나 이자율이3% 이하인 경우3% 이상인 경우20~2510~15직경 30㎝ 이상인 관더 적은 구경대체는 결과적으로 더 비싸다20~25직경 30㎝ 이하인 관제한된 지역에서는 요구조건이...2005.06.11· 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