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제 폐지에 대한 찬반 논의와 호적 개선 방안
본 내용은
"
인문사회호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5
문서 내 토픽
-
1. 호주제도의 정의와 문제점호주제도는 호주로 하여금 호적상에만 존재하는 형식적 개념인 '가(家)'를 대표하고 가족 구성원을 통솔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를 부여함으로써 가족관계를 종적이며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호주의 지위를 장남에게 승계하는 제도를 통해 남성우월의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고 있는 전형적인 가부장제도이다. 호주제는 부계우선혈통주의와 남성우월의식을 조장하여 성차별을 발생시키며, 개인의 존엄과 양성평등을 보장하고 있는 헌법 정신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
2. 호주제 폐지에 대한 찬성 의견성(姓)의 선택은 인간의 기본권이며, 자녀의 성을 부모가 합의하여 정하도록 하는 것이 평등한 가족제도를 구현하는 데 중요하다. 자녀가 자신의 성으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고통받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경우에는 자녀의 복리실현을 위하여 성을 변경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
3. 호주제 폐지에 대한 반대 의견자녀의 본성(本姓)을 바꾸는 것은 가정을 무너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자녀의 성을 부모 쌍방에 나누어 호적에 입적시키면 가족 내에서 잡성(雜姓)이 발생하여 사회질서를 파괴하고 가정을 붕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민법 제781조 '자(子)는 부(父)의 성(姓)과 본(本)을 따른다'는 조항은 헌법에 부합하며, 이를 위헌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4. 호주제 폐지 이후 호적 개선 방안호주제 폐지 시 호적 편제의 기준이 되어왔던 가적(家籍)이 없어지므로, 새로운 목적과 이념에 따라 편제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1인 1호적제'가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판단되며, 자녀의 성은 부의 성을 따르되 이혼 시 모의 동의하에 모의 성을 따를 수 있도록 절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 호주제도의 정의와 문제점호주제도는 가부장적 가족 구조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제도로, 여성과 자녀의 권리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제도는 가족 구성원 간의 평등을 저해하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권리를 약화시킵니다. 또한 자녀의 선택권과 자율성을 침해하는 등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제도는 현대 사회의 가치관과 동떨어져 있으며, 폐지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호주제 폐지에 대한 찬성 의견호주제 폐지에 찬성합니다. 이 제도는 가부장적 가족 구조를 법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여성과 자녀의 권리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현대 사회의 가치관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호주제 폐지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평등을 보장하고, 여성과 자녀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개인의 선택권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호주제 폐지는 시대적 요구이자 필수적인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3. 호주제 폐지에 대한 반대 의견호주제 폐지에 반대합니다. 이 제도는 전통적인 가족 구조와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과 책임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또한 가족의 안정성과 결속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호주제 폐지는 이러한 전통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주제 폐지보다는 이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가족 구성원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입니다.
-
4. 호주제 폐지 이후 호적 개선 방안호주제 폐지 이후 호적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할 것입니다. 첫째, 가족 구성원의 권리와 의무를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호적 제도를 마련해야 합니다. 둘째, 개인의 선택권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호적 제도를 개선해야 합니다. 셋째, 가족 구성원 간의 평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호적 제도를 재설계해야 합니다. 넷째, 호적 제도와 관련된 법적 절차를 간소화하고 편리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호주제 폐지 이후 호적 제도를 개선하고, 가족 구성원의 권리와 의무를 균형 있게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호주제도에 관한 연구 27페이지
호주제도에 관한 연구1. 연구 이유2. 연구 방법3. 호주제의 정의 및 내용4. 호주제의 폐해5. 호주제와 관련된 성차별의 이론적 관점들6. 호주제의 역사7. 호주제의 법적인 위치와 그에 대한 견해8. 호주제 존속 주장에 대한 입장9. 다른 나라의 호주제도10. 호주제 폐지와 관련된 활동11. 결론 및 소감1. 연구 이유급속한 사회 발전으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고 가족의 모습이 변화되면서 ‘남성은 생계부양, 여성은 가사노동’이라는 전통적인 고정관념에서 많이 벗어나 남녀가 공동참여하는 사회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호주...2009.12.06· 27페이지 -
[사회문제]호주제도(양성평등에 관한 고찰) 12페이지
주제 : 호주제도(양성평등에 관한 고찰)제1장 서론1Ⅰ. 연구의 목적1Ⅱ. 연구범위 및 방법1제2장 우리나라 호주제도의 역사1Ⅰ. 한말이전의 호주제도11. 삼국시대12. 고려시대13. 조선시대2Ⅱ. 한말과 일제시대의 호주제도21. 한말의 호적제도22. 일제시대의 호적제도2Ⅲ. 현행 호주법의 제정2제3장 현행 민법상 호주제도의 문제점3Ⅰ. 가족법상 부계혈통주의와 문제31. 혼인법상 부계혈통주의32. 친자관계33. 가족형태의 다원화와 가족법의 관계4Ⅱ. 호주제도에 관한 존폐론41. 존치론42. 폐지론43. 양성평등의 법적 의미64. 호...2005.10.21· 12페이지 -
[정책학 개론] 호주제에 관하여 31페이지
Ⅰ. 서론1. 연구목적과 방법1957년 신민법의 제정으로 시행되어온 호주제는 호주와 나머지 가족 구성원을 종적으로 관계 설정되어 있으며 미혼모 가족, 이혼가족, 재혼가족 등의 새로운 가족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사람들에게 있어 인권적인 측면에서 불평등을 낳고 있다.따라서 신민법 제정 이전부터 가족법학계 및 여성단체들이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가족법의 제정을 위하여 호주제폐지운동을 실시하여 왔으나, 몇 차례에 걸쳐 일부개정만 되었고 호주권이 축소되었을 뿐 현재까지 호주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003년 5월 27일 호주제에 ...2004.06.16· 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