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 결과 보고서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본 내용은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 결과 보고서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4
문서 내 토픽
-
1. 광전효과이번 실험은 광전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플랑크 상수 h를 구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 1에서 플랑크 상수 h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실험이었으며, 실험 2와 3에서는 빛의 세기와 파장(진동수)의 변화가 광전효과(유도되는 전류, 전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
2. 플랑크 상수실험 1에서 플랑크 상수 h를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실험값은 6.466*10-34 Js, 이론값은 6.626*10-34 Js 으로 2.414%의 오차를 보여주었다. 실험 1에서 2% 이내의 오차가 발생하기를 바랬으나 다소 높게 나왔고, 이러한 이유로 공기 중 먼지와 공기입자가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했다.
-
3. 빛의 입자성실험 2에서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핀홀이 넓을수록) 입사하는 빛입자(광자)가 많아서 전류가 많이 흐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빛의 입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4. 빛의 진동수와 광전효과실험 3에서 빛의 진동수가 클수록 더 낮은 전압, 정지퍼텐셜 에너지에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
1. 광전효과광전효과는 빛이 금속 표면에 입사하면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1905년 아인슈타인에 의해 설명되었으며, 빛의 입자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실험적 증거가 되었습니다. 광전효과를 통해 우리는 빛이 에너지를 가진 입자인 광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광전효과는 태양전지, 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현대 과학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2. 플랑크 상수플랑크 상수는 양자역학의 기본 상수로, 에너지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플랑크 상수는 1900년 막스 플랑크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를 통해 블랙홀 복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플랑크 상수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플랑크 상수는 다양한 물리량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어 현대 물리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3. 빛의 입자성빛의 입자성은 빛이 입자와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1905년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설명하면서 제안한 개념입니다. 빛의 입자성은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로, 빛이 에너지를 가진 광자라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빛의 입자성은 광전효과, 콤프턴 산란, 블랙홀 복사 등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빛의 입자성은 레이저, 광통신, 양자컴퓨팅 등 현대 기술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
4. 빛의 진동수와 광전효과빛의 진동수와 광전효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광전효과는 빛의 진동수가 일정 값 이상일 때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빛이 에너지를 가진 광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광자설을 제안했습니다. 광자의 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하므로, 빛의 진동수가 높을수록 광자의 에너지가 커져 광전효과가 더 잘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빛의 진동수와 광전효과의 관계는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실험적 증거가 되었습니다. 또한 이는 현대 광전자 소자 개발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
아주대학교 현대물리학 실험 MP-3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 보고서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을 통해 구한 플랑크 상수는 6.49771 * 10^-34로 오차율은 1.97%이다. 실험값이 실제 플랑크 상수보다 약 0.1가량 작게 측정된 이유는 빛의 파장이 입사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방해를 받아 진동수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을 수 있다. 2. 일함수 측정 정지 퍼텐셜 대 진동수의 그래프로부터 일함수 값을...2025.01.17 · 자연과학
-
아주대학교 현대물리학 실험 MP-3.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예비 보고서1. 플랑크 양자이론 플랑크는 복사의 흡수와 방출이 두 에너지 준위 간의 이동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고, 진동자가 잃거나 얻은 에너지는 복사에너지의 양자로써 흡수,방출되는데 E=hv로 나타낼 수 있다. (E: 복사에너지, v: 복사의 진동수, h: 플랑크 상수) 2. 광전 효과 광전 방출은 빛이 물질에 부딪혀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이다. 양자 모델에서는 진동...2025.01.17 · 자연과학
-
아주대)현대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 1에서는 플랑크 상수 h를 구하기 위해 진동수(파장)별로 다른 정지퍼텐셜의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그 기울기를 계산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인 6.62607015×10^-34 J·s와 측정값인 6.38×10^-34 J·s를 비교하여 3.62%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정지포텐셜을 측정하는 ...2025.01.29 · 자연과학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 결과 보고서 Thermal Radiation1. 복사량 측정 실험 1-a에서는 각 다른 재질의 표면에서 복사량을 측정했다. 검은색과 흰색의 복사량이 거의 같거나 때로는 흰색이 더 크게 나왔는데, 이는 큐브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험 결과를 통해 큐브 내부 온도와 재질에 따른 복사량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흡수량과 방출량 검은색 면은 흡수량과...2025.05.03 · 자연과학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현대물리학실험)결과 보고서 Adiabatic gas Law1.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Adiabatic gas Law) 이번 실험은 우리가 이미 배워서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던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Adiabatic gas Law)에 대해 Adiabatic gas apparatus 를 사용하여 확인했다. 실험 진행 시 실린더를 붙잡으면 열이 가해져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하며 진행했다. 2. 기체 몰수 감소 ...2025.05.03 · 자연과학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현대물리학실험)결과 보고서 Helmholtz Coil, Faraday's Law1. Helmholtz Coil Helmholtz coil에 대한 실험으로 두 코일(반지름 10.5cm, N=200)의 간격(5,10, 15cm)에 따른 자기장의 균일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5cm와 10cm에서는 두 코일 사이에서 측정한 자기장의 세기가 거의 일정했으며, 15cm일 때는 최대값 18.893G, 최솟값 16...2025.05.03 · 자연과학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A+ 결과보고서 11페이지
> 질문1. 실험으로부터 얻어낸 h의 값이 실제 값과 얼마나 비슷한가?오차율이 약 2.71%로 실제 플랑크 상수의 값과 조금 오차가 있었다.2. 실제 플랑크 상수화 많이 다르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측정 과정에서 정지퍼텐셜의 정확한 값을 얻지 못해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즉 실험값의 오차때문이라고 생각한다.3. 정지퍼텐셜 대 진동수의 그래프로부터 일함수 값을 어떻게 얻어낼 수 있는가?일함수(W_0)는 음극에 구속되어 있는 전자들이 탈출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2022.05.10· 11페이지 -
아주대학교 A+ 2018 2-2 중급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보고서 11페이지
[중급물리학실험]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결과 보고서[1] 실험결과(실험1) 플랑크 상수 h의 측정과 계산12345파장,lambda (nm)365.0404.7435.8546.1577.0진동수,v=c/ lambda , (×10¹⁴ Hz)8.2147.4086.8795.4905.196정지퍼텐셜,V (V)1.8481.5721.3180.7600.628- 기울기slope= {{bar{v}} BULLET {bar{V}} -( {bar{v BULLET V}} )} over {{bar{v}} ^{2} - {bar{v ^...2019.04.01· 11페이지 -
아주대학교 중급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보고서 6페이지
MP-3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결과보고서중급물리학실험2016. 9. 22.1. Data sheets실험 1 : 플랑크 상수h의 측정과 계산Table 1-1. 지름 4mm 핀홀을 사용하였을 때의 파장에 따른 정지퍼텐셜12345파장,lambda (nm)365.0404.7435.8546.1577.0진동수,nu =c/ lambda ,(TIMES 10{} ^{14}Hz)8.2147.4086.8795.4905.196정지퍼텐셜,V(V)-1.865-1.594-1.333-0.766-0.638계산1, 2. Table ...2017.09.04·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