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yocardiac Infarction)
본 내용은
"
MI(Myocardiac Infarc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2
문서 내 토픽
  • 1. MI(Myocardial Infarction)의 정의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이란 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심근에 국소빈혈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허혈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IHD)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허혈성 심장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과 같은 질환이 포함되며 협심증에는 안정형 형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이 있다. 이 중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을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이라고도 한다.
  • 2. MI(Myocardial Infarction)의 원인 및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지만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이 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 3. MI(Myocardial Infarction)의 증상
    1) 흉통 - 대게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에서 쥐어짜는 듯 한 통증, 쎄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한다. - 명치나 턱 끝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소화가 안 된다', '속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 흉통은 운동과 관계없이 안정 시 나 수면 중에도 일어나며, 안정을 취해도 완화되지 않는다.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된다. - 통증이 왼쪽 팔과 어깨로 퍼지는 경우가 많다. - 30분 이상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 투여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2) 호흡곤란 - 괴사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로 저산소증이 나타나고 폐울혈로 진행되면서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 4. MI(Myocardial Infarction)의 진단
    기본적인 검진과 더불어 대부분은 심전도와 혈액 검사를 통해 심근효소 수치를 확인하여 진단한다. 1) 심전도검사 - 심근경색 진단에 신뢰성이 높은 검사로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12유도 EKG에 나타난 ST분절 상승 여부에 따라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NSTEMI)으로 구분한다. 2) 심근효소검사 - 혈청 내 심근생화학적 지표인 CK, CK-MB, Myoglobin, Troponin T, I, GOT/GPT 등을 통해 진단한다.
  • 5. MI(Myocardial Infarction)의 치료
    1) 환자후송과 응급의료 - 심장발작 후 1시간 이내의 사망이 대단히 높다. - 심근경색을 의심할만한 흉통을 호소하면 119에 연락하여 응급실을 통해 중환자실에서 집중관리를 받도록 한다. - 긴장완화하고 흉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진통제를 주사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을 설하에 투여한다. 2) 섬유소용해법(fibrinolytic therapy) - 재관류를 목적으로 관상동맥에 형성된 혈전을 용해하기 위하여 초급성기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3) 관상동맥중재술: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IC)이나 관상동맥우회술(CABG) 4) 약물 - 항혈소판제, glycoprotein Ⅱb/Ⅲa 수용체 차단제, 항응고제,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등
  • 6. MI(Myocardial Infarction)의 예후 및 합병증
    - STEMI의 30~40% 정도의 환자가 사망하고 그 중 50%는 치명적 심실빈맥으로 하루 안에 사망할 만큼 경과가 좋지 않다. 병원에서의 약 2일간의 치료 및 경과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 합병증으로는 부정맥, 심인성 쇼크, 심부전 및 폐부종, 혈전색전증 등이 있다. - 예방을 위해서는 매일 30~40분씩 지속적 운동, 저지방 식이와 신선한 채소, 과일 섭취,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위험 요인 관리, 금연, 이상적 체중 유지, 스트레스 해소, 충분한 수면 등이 중요하다.
  • 7.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 이름: 김OO, 나이/성별: 64/M, 진단명: Myocardial infarction with non-ST elevation, 혈액형: Rh+, 입원날짜: 2021.05.06, 직업: 사무직, 결혼유무: 유, 종교: 불교, 의식수준: Alert 2. 입원 관련 정보 - 입원동기: chest pain으로 ER 통해 입원, 현병력: HTN, Old cerebral infarction, 최근투약상태: Aspirin Hanmi tab 100mg, Nebistol tab 2.5mg, sigmart 5mg, 과거력: HTN(11년), 뇌질환(19년 old cerebral infarction), 흡연(갑/일: 15개피/일, 기간: 25년), 음주(병/일: 소주 1병/주, 기간: 30년) 3. 간호력 (건강상태) - 영양, 대사: 식이형태 구강섭취, 편식 무, 식욕부진 무, 오심 무, 구토 무, 연하곤란 무 - 배설: 배변양상 규칙적, 1회/1일, 배뇨양상 6회/1일 - 호흡, 순환: 호흡양상 정상, 말초동맥맥박 정상 - 신경계: Pupil size Rt 3mm, Lt 3mm, 빛반사 Rt Sluggish, Lt Sluggish, GCS 15점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 - 의사소통: 원만함, 언어장애 없음 - 관계영역: 사회활동변화 및 역할변화 없음,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 개인, 가족 - 가치영역: 종교적 활동 불교, 치료 이행 정도 보통, 삶에 대한 만족감 보통 - 기동영역: 일상생활 수행능력 독립적, 주로 오른손 사용 - 인지영역: 시력 정상, 청력 정상, 자아개념 생성, 의식 명료, 지남력 정상 5. 진단검사 - 임상병리 검사: WBC, RBC, Hb, Hct, PLT, aPTT, LFT, Glucose 등 - 심전도검사: ST & T wave abnormality, consider anterior ischemia 6. 치료 및 경과 - 투약: Diovan, Sigmart, Conbloc, Lipinon, Aspirin, Plavix, Plakon, Clexane 등 - 시술: 2021.05.07 CAG With FFR (Puncture site: Rt. Femoral Artery)
  • 8.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 단기목표: 2일 이내 대상자 시술부위 1*2cm의 ecchymosis가 옅어질 것이다. 2일 이내 RBC, Hb, Hct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더 이상의 출혈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시술부위 관찰, 활력징후 측정, 압박드레싱/모래주머니 적용, 안전한 환경 제공, 침습적 처치 최소화, 출혈 징후 교육, 약물 복용 교육, 구강 간호 교육 간호진단 2. 불충분한 지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 유지 - 단기목표: 대상자는 심근경색의 위험 요인 3가지 이상을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매일 30분마다 운동을 할 것이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심근경색(금연, 식이조절)에 대한 적절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심근경색 지식 사정, BMI 측정, 영양 상담 연계, 스트레스 해소 방법 교육, 금연 격려, 심근경색 원인/증상/예방법 교육, 위험요인 교육
  • 9. 결론
    본 연구 대상자는 64세 남성으로 5/2 chest pain으로 ER 내원하여 CAG With FFR 시행하였다. CAG 시술 후 출혈 관리와 건강관리 교육을 제공하였다. 대상자는 자신의 건강을 위한 자가 간호는 부족하지만, 건강에 관심이 많아 교육한 내용을 이해하고 퇴원 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심근경색 환자의 응급 치료 및 간호에 대해 배울 수 있었고, 특히 EKG 결과 해석 등 심장 관련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MI(Myocardial Infarction)의 원인 및 병태생리
    MI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관상동맥 질환, 특히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점진적인 폐쇄입니다. 이로 인해 심근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고, 결국 심근 세포의 괴사가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혈전, 혈관 연축, 외상 등 다양한 요인이 MI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으로 인해 심근 손상이 발생하고, 이는 심장 기능 저하, 부정맥, 심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 주제4: MI(Myocardial Infarction)의 진단
    MI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심전도 검사, 심장 효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병력 청취를 통해 증상의 특성, 발생 시간, 위험 요인 등을 파악하고, 신체 검진으로 활력 징후와 심혈관계 상태를 확인합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근 손상 부위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심장 효소 검사는 심근 괴사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MI의 진단과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MI(Myocardial Infarction)의 예후 및 합병증
    MI의 예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초기 심근 손상의 정도, 합병증 발생 여부, 기저 질환 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심부전, 부정맥, 심장 파열, 심실 중격 파열, 승모판 역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사망률과 직결되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최근 치료법의 발전으로 MI 환자의 예후가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심각한 질환이므로 예방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4. 주제8: 간호과정
    MI 환자 간호에서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간호사정을 통해 환자의 문제를 파악합니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간호 진단을 내리고 간호 목표를 설정합니다. 셋째,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는 간호 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합니다. 이때 약물 투여, 산소 공급, 활력 징후 모니터링, 통증 관리, 심리적 지지 등이 포함됩니다. 넷째, 간호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합니다. 이러한 간호과정을 통해 MI 환자의 회복을 돕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