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창 SIMPLE 교육
본 내용은
"
욕창 SIMPLE 교육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4
문서 내 토픽
  • 1. 피부 구조와 기능
    피부는 표피, 표피부속기관,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며, 물리적 자극, 미생물 자극, 화학적 자극, 수분손실의 방지 등의 기능을 한다. 피부간호가 중요하다.
  • 2. 욕창 발생 위험 부위
    욕창은 뼈 돌출 부위 어디든 발생 가능하며, 의료기기 적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입원 시 Sacrum, Knees, Malleolus, ears, Trochanter 부위를 확인해야 한다.
  • 3. 욕창 단계 구분
    1단계 욕창과 창백성 홍반은 blanching test로 구분할 수 있다. Unstageable 욕창은 상처기저부가 괴사조직으로 덮여 있어 손상 깊이를 알 수 없으며, DTPI는 비창백성의 검붉은색 또는 보라색 피부 상태이다.
  • 4. 실금/실변 간호
    실금/실변 간호 시 pH 균형 맞춤 제품을 사용하고, Petrolatum-based-moisture barrier 또는 Zinc oxide content-moisture barrier 제품을 사용한다. 실금/실변이 있는 경우 Antifungal ointment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 5. 욕창 기록지 작성
    Braden Scale 사정도구를 활용하여 Abrasion, Dead space, Discharge, Foul odor, Pus, Redness, Reepithelization, Tunneling, Undermining, Slough, Eschar 등의 상처 양상을 기록한다.
  • 6. 욕창 예방 간호
    최소 2시간 마다 체위변경, 무릎/발꿈치/팔꿈치 부위 관리, 욕창 예방 매트리스 사용, 침대 시트 팽팽하게 유지 등의 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욕창 발생 위험 부위
    욕창은 주로 뼈 돌출 부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욕창 발생 위험 부위로는 천골, 미골, 좌골, 대전자, 발꿈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위는 피부와 근육, 뼈가 가까이 있어 압박과 마찰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부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러한 부위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특히 와상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욕창 발생 위험 부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실금/실변 간호
    실금과 실변은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실금/실변 환자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배뇨/배변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배뇨/배변 습관, 식이, 활동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피부 관리, 기저귀 교환, 도뇨관 관리 등의 직접적인 간호 중재도 중요합니다. 실금/실변 간호는 환자의 존엄성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환자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주제6: 욕창 예방 간호
    욕창 예방은 간호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먼저 위험 요인 사정을 통해 욕창 발생 가능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압력 재분산, 피부 관리, 영양 관리, 활동 증진 등의 중재를 통해 욕창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특히 와상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처럼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전문성과 헌신이 요구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