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창 SIMPLE 교육
본 내용은
"
욕창 SIMPLE 교육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4
문서 내 토픽
-
1. 피부 구조와 기능피부는 표피, 표피부속기관,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며, 물리적 자극, 미생물 자극, 화학적 자극, 수분손실의 방지 등의 기능을 한다. 피부간호가 중요하다.
-
2. 욕창 발생 위험 부위욕창은 뼈 돌출 부위 어디든 발생 가능하며, 의료기기 적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입원 시 Sacrum, Knees, Malleolus, ears, Trochanter 부위를 확인해야 한다.
-
3. 욕창 단계 구분1단계 욕창과 창백성 홍반은 blanching test로 구분할 수 있다. Unstageable 욕창은 상처기저부가 괴사조직으로 덮여 있어 손상 깊이를 알 수 없으며, DTPI는 비창백성의 검붉은색 또는 보라색 피부 상태이다.
-
4. 실금/실변 간호실금/실변 간호 시 pH 균형 맞춤 제품을 사용하고, Petrolatum-based-moisture barrier 또는 Zinc oxide content-moisture barrier 제품을 사용한다. 실금/실변이 있는 경우 Antifungal ointment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
5. 욕창 기록지 작성Braden Scale 사정도구를 활용하여 Abrasion, Dead space, Discharge, Foul odor, Pus, Redness, Reepithelization, Tunneling, Undermining, Slough, Eschar 등의 상처 양상을 기록한다.
-
6. 욕창 예방 간호최소 2시간 마다 체위변경, 무릎/발꿈치/팔꿈치 부위 관리, 욕창 예방 매트리스 사용, 침대 시트 팽팽하게 유지 등의 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
1. 주제2: 욕창 발생 위험 부위욕창은 주로 뼈 돌출 부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욕창 발생 위험 부위로는 천골, 미골, 좌골, 대전자, 발꿈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위는 피부와 근육, 뼈가 가까이 있어 압박과 마찰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부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러한 부위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특히 와상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욕창 발생 위험 부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실금/실변 간호실금과 실변은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실금/실변 환자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배뇨/배변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배뇨/배변 습관, 식이, 활동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피부 관리, 기저귀 교환, 도뇨관 관리 등의 직접적인 간호 중재도 중요합니다. 실금/실변 간호는 환자의 존엄성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환자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주제6: 욕창 예방 간호욕창 예방은 간호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먼저 위험 요인 사정을 통해 욕창 발생 가능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압력 재분산, 피부 관리, 영양 관리, 활동 증진 등의 중재를 통해 욕창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특히 와상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처럼 욕창 예방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전문성과 헌신이 요구됩니다.
-
성인간호학 급성 골절 환자의 간호과정 7페이지
급성 골절 환자의 간호과정1. 환자사례86세 여성 정 씨는 1주 전 새벽에 요양원 침대에서 낙상한 뒤, 지속되는 대퇴부 통증을 주호소로 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이후 시행한 검사에서 우측 대퇴골 간부골절을 진단받고 개방정복과 금속정을 이용한 내부고정(opec reduction & internal Flxation with IM nail)수술을 시행하였다.2. 간호사정신체검진- 키 161cm, 체중 55kg과거력- 고혈압, 당뇨 및 알츠하이머 질환을 진단받고 치료약물을 복용 중으로,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인해 원만한 의사소통에...2025.04.23· 7페이지 -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진단, 간호과정 8페이지
의미 있는 자료간호진단범주진단명(P r/t E)S:O:-수술명:Simple coli (코일 색전술)-진단명:subarachnoid hemorragia-Endotracheal tube-Rt.oral (15일)-GCS 03.17 사정 결과 Total 4-5점(심한) 보임 (03.17 측정결과)GCS 의식수준 상태(Total : 3-8 심한, 9-12 중증도, 13-15 정상)눈뜨는 반응(E,eye opening)언어 반응(V,verbal response)운동반사 반응(M,motor response)4: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3: 부르면...2022.04.06· 8페이지 -
[A+ 자료]성인간호학 실습 대장암(colorectal cancer) 간호, 간호진단, 컨퍼런스,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24페이지 자료입니다. 24페이지
[A+ 자료]성인간호학 실습 대장암(colorectal cancer) A+ 받은 24페이지 자료입니다.목차Ⅰ. 문헌고찰1. 정의2. 원인3. 병태생리4. 증상5. 진단방법6. 병기7. 치료방법8. 예방 및 검진9. 수술 후 식이요법Ⅱ. CASE STUDY1. 간호사정2. 진단 검사3. 치료 및 경과4. 약물치료Ⅲ. 간호과정1. 간호문제(위험요인), 우선순위2.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Ⅵ. 부록Ⅰ. 문헌고찰1. 정의? 대장- 소장 끝에서 시작하여 항문까지 연결되어 있는 긴 튜브 모양의 기관으로, 식물성 섬유나 기타 일부 음식물을소화 및 ...2025.05.06· 24페이지 -
만성재활간호 사레 (협심증, T5~T6골절, 대퇴경부 피막내골절상),간호 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중 계획단계까지 각각 2개씩, 이론적 근거 다 있습니다 ! 20페이지
만성재활간호 사례 1사례 내용당신은 심장질환 예방 및 재활 센터의 간호사이다. 위험인자 조절 중에 있는 당신의 새로운 환자인 박00씨는 41세의 출장을 자주 다니는 세일즈맨으로서 기혼이며 세 명의 자녀들 두고 있다. 그는 당신에게 직장 일 때문에 쉴 틈이 없다고 호소하였고, 최근 가슴 통증으로 인한 진단 과정에서 심장도관삽입 시술을 받았다. 중간 지점의 우관상동맥(RCA)에서 50%의 협착 상태를 가진 중등의 혈관병변(single-vessel disease)을 나타냈었다. 그는 니트로글리세린(NTG)을 처방받아 사용법을 들었으며, ...2023.06.16· 20페이지 -
성인간호학 case study-고관절 골절 10페이지
성인간호학 Ⅴ-폐쇄성 대퇴골 경부 골절과 관련된 간호과정--목차-Ⅰ. 서론21. 문헌고찰21) 고관절 골절2Ⅱ. 본론51. 시나리오52. 간호과정6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62)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73) 거동의 불안정성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8Ⅲ. 참고문헌9Ⅰ. 서론1. 문헌고찰1) 고관절 골절(1) 정의골절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고관절 골절은 허벅지 뼈와 골반의 연결부분인 고관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증상을 말...2023.07.15·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