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모형] 윌렌스키, 르보, 티트머스, 파커,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
문서 내 토픽
  • 1. 윌렌스키와 르보의 복지모형
    윌렌스키와 르보의 사회복지 모형은 보완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으로 양분된다. 잔여적, 보충적 모형(선별주의)은 가족이나 시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사회복지가 개입하는 것이며, 제도적 모형(보편주의)은 시장과 가족의 실패가 지속적인 것으로 보고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제도적 서비스로 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 2. 티트머스의 복지모형
    티트머스의 복지모형은 보충적 모형, 산업성취적 모형, 제도적 재분배모형으로 구분된다. 보충적 모형은 사회복지가 빈곤자와 요보호자에 대한 급부만을 제공하는 것이며, 산업성취적 모형은 사회적 욕구가 업적, 업무수행 및 생산성에 기반하여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제도적 재분배모형은 사회복지를 사회 내에서의 중요한 총합적 제도로 간주하여 욕구의 원리에 입각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3. 파커의 복지모형
    파커의 복지모형은 자유방임형, 사회주의형, 자유주의형, 사회민주주의형으로 구분된다. 자유방임형은 개인주의와 자유를 강조하며 국가개입을 최소화하고, 사회주의형은 경제적·정치적 평등과 공동권을 강조한다. 자유주의형은 시장의 경제기능을 중시하며, 사회민주주의형은 평등·자유·우애·인도주의의 가치를 강조한다.
  • 4.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은 반집합주의, 소극적 집합주의, 페이비언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로 구분된다. 반집합주의는 정부개입을 반대하고 자유와 개인주의를 강조하며, 소극적 집합주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적절한 규제와 통제를 주장한다. 페이비언 사회주의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해 자본주의를 개선하고자 하며, 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에 대한 전면적 거부와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 소멸을 주장한다.
  • 5. 마샬의 복지모형
    마샬은 현대복지국가체제가 민주주의, 복지, 자본주의라는 3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그는 시민권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복지모형을 정치·경제·사회부문과 연결·복합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윌렌스키와 르보의 복지모형
    윌렌스키와 르보의 복지모형은 복지국가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복지국가의 발전 단계를 산업화 수준, 정치체제, 계급구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구분하였습니다. 특히 이들은 복지국가의 발전 과정에서 노동계급의 정치적 동원화와 중산층의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복지국가 발전에 있어 정치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이들의 모형은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단선적으로 설명하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2. 티트머스의 복지모형
    티트머스의 복지모형은 복지국가의 발전 단계를 잔여적 복지모형, 산업적 성취모형, 제도적 재분배모형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이 모형은 복지국가의 발전 과정에서 복지 제공의 목적과 대상, 재원 조달 방식 등이 변화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제도적 재분배모형은 복지가 시민의 권리로 인정되고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단계를 의미하는데, 이는 현대 복지국가의 이상적인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이 복지국가 발전의 단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 3. 파커의 복지모형
    파커의 복지모형은 복지국가의 발전 단계를 잔여적 복지모형, 산업적 성취모형, 제도적 복지모형, 복지국가 모형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이 모형은 티트머스의 모형을 보완하여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제도적 복지모형과 복지국가 모형은 복지가 시민의 권리로 인정되고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 복지국가의 이상적인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 역시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 4.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은 복지국가의 발전 단계를 잔여적 복지모형, 산업적 성취모형, 제도적 복지모형, 복지국가 모형, 복지사회 모형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이 모형은 파커의 모형을 더욱 발전시켜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복지사회 모형은 복지가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단계를 의미하는데, 이는 현대 복지국가의 이상적인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 역시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 5. 마샬의 복지모형
    마샬의 복지모형은 시민권 개념을 중심으로 복지국가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시민권이 시민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사회적 권리의 확대가 복지국가 발전의 핵심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복지국가 발전에 있어 시민권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마샬의 모형은 복지국가 발전 과정을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사회복지의 모형] 윌렌스키, 르보, 티트머스, 파커,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1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