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케이스case - 지역사회간호과정, 오마하 간호진단, 강원도 강릉시
본 내용은
"
지역 케이스case - 지역사회간호과정, 오마하 간호진단, 강원도 강릉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1
문서 내 토픽
  • 1. 신체활동 부족
    택지권의 비만율(BMI)은 1.24%로 전국수준보다 높고 강릉시에서는 성덕권 다음으로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릉시의 모든 건강권역이 전국 수준 보다 높음. 강릉시의 걷기 실천율은 강원도 18개의 시군 중에서 6위 수준이며, 강릉시의 건강권역 모두 전국 수준 보다 낮은 걷기 실천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 택지권은 0.75%로 성덕권 다음으로 4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지역주민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 2. 정신건강 장애위험
    자살률이 강릉시의 2016년 사망원인 중 3위였으며 2016년 다시 증가하여 전국과 강원도보다 높게 나타남. 우울감 경험률은 강원도 18개 시군 중 2위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2010년부터 증감을 반복하다가 점차 증가하여 2017년에는 2010년의 2배로 증가함. 택지권은 1.03%로 전국 수준 보다 높은 우울감 경험률이 나타남. 따라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 3. 부적절한 지역사회자원과의 의사소통
    유천택지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공공 보건기관이 없음.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에 근무하는 일반직공무원(공중보건의 제외)의 정원이 6명 증가했으나 현원은 89명으로 공무원 결원보충이 이루어지지 못했음. 농촌인구의 고령화, 독거노인의 증가 등으로 보건지소, 진료소의 진료 위주 사업과 건강증진사업 등이 필요하나 보건지소별 정규직원 1명이 배치되어 있음. 보건기관 서비스 만족도는 강원도 18개 시군 중 8위 수준이며, 택지권(0.83)은 전국 수준 보다 낮은 보건기관 서비스 만족도를 보임. 따라서 지역사회자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체활동 부족
    신체활동 부족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여가 시간에도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비만,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직장과 학교에서 규칙적인 운동 시간을 보장하고, 공원과 체육시설 등 운동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해야 합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과 캠페인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신체활동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 기관,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2. 정신건강 장애위험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장애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전문적인 치료와 상담 서비스 확대가 필요합니다. 직장과 학교에서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정신건강 센터를 설립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누구나 편안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정신건강 문제는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3. 부적절한 지역사회자원과의 의사소통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자원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보와 접근성이 부족하여 실제로 필요한 사람들이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구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과 단체들 간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비스 제공 기관들 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