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개봉 조디포스터 감독의 "머니몬스터"감상문
본 내용은
"
2016년 개봉 조디포스터 감독의 “머니몬스터”감상문을 제출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0
문서 내 토픽
  • 1. 영화 "머니몬스터"
    영화 '머니몬스터'는 꽤 잘나가는 경제 예능쇼가 진행되는 도중 쇼에서 추천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다 전 재산을 잃은 소시민이 난입하며 진행자를 인질로 삼고 폭주하게 되며 시작되게 된다. 여기서 생방송 경제쇼 머니몬스터는 몇몇의 전문가가 등장함으로 전문용어와 더불어 금융시장의 미래와 투자상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딱딱한 교양프로그램이 아닌 일종의 예능프로그램이다. 실제 쇼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관객이 받게 되며 인질극과의 흐름만을 말해주는 것이 아닌 처벌받는 법이 없는 경제사범을 단죄하는 쾌감을 준다. 이는 미국의 리먼브라더스 사태를 비롯해 일련의 금융 환란 이후 살아가는 미국관객에게 대리만족을 선사해 준 작품으로써 당대의 요구를 담고 있다.
  • 2. 영화 "머니몬스터"의 평가
    본 영화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직설적인 비판으로 월스트리트의 탐욕에 과녁을 겨누고 있는 시놉시스 또한 이해하기 쉬웠다. 동시에 자본주의의 매커니즘에 대한 의문점을 던지며 관객들이 오늘날의 금융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계기도 던져 주었다. '머니몬스터'에서의 돈은 하나의 아이디어이며 동시에 유령과도 같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돈과 가치를 같은 것으로 보며 가령 돈이 이만큼 있기 때문에 이만큼 만의 가치가 있다고 여긴다.
  • 3. 자본주의 사회와 투자
    영화로 돌아와서 '분칠한 돼지'라는 표현이 오랫동안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 것을 보면 오늘날의 이기적인 금융시장, 돈에 눈 멀어 사람을 사지로 몰아넣는 잔인한 개인의 모습을 잘 표현한 까닭인 것 같다. 아이비스의 인공지능 투자 시스템, 주가 조작으로 시장을 교랸하는 금융인의 욕심과 인기를 위해 무엇이든 자극적인 컨텐츠로 프로그램을 채우려는 미디어까지 전면에 내세우며 8억이 날아가도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여준 머니몬스터는 그 자체로 코미디였다.
  • 4. 신자유주의와 금융위기
    어떻게 보면 머니몬스터에서 다루고 있는 언론과 투자시장의 모습은 이데올로기의 대결에서 승리한 신자유주의의 무한경쟁을 고착화한 자본주의 시장의 상징적인 한 모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2008년 금융위기는 지구촌 경제 전체를 침체의 수렁으로 밀어 넣음으로 파생금융상품을 통한 무한 팽창으로 인해 시장이 안에서 무너지게 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영화 "머니몬스터"
    "머니몬스터"는 2016년 개봉한 미국 범죄 드라마 영화로, 월스트리트의 부패와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금융 시장의 불투명성과 투자자들의 피해, 그리고 권력과 돈의 관계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주연인 조지 클루니와 줄리아 로버츠의 연기가 돋보이며, 현실적이고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라인으로 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영화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다루면서도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잘 결합하여 흥미롭게 전달하고 있다.
  • 2. 영화 "머니몬스터"의 평가
    "머니몬스터"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금융 시장의 부패와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적절히 다루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조지 클루니와 줄리아 로버츠의 연기력이 돋보였고,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라인과 현실감 있는 묘사로 인해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 평론가들은 영화가 다소 단순화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머니몬스터"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3. 자본주의 사회와 투자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는 개인과 기업, 국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투자는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동시에 투기와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금융 시장의 불투명성과 부패, 과도한 위험 추구 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투자 과정의 투명성 제고, 규제 강화, 사회적 책임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인 투자자들의 금융 교육과 리스크 관리 능력 향상도 중요할 것이다.
  • 4. 신자유주의와 금융위기
    신자유주의 정책은 금융 시장의 자유화와 규제 완화를 추구해왔다. 이는 경제 성장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금융 위기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는 신자유주의 정책의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과도한 금융 혁신과 투기, 규제 완화로 인한 위험 관리 실패 등이 위기의 주요 원인이었다. 이후 각국 정부는 금융 규제 강화, 거시 건전성 정책 도입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금융 시장의 투명성과 안정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