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부인과 브이심 케이스, 산후출혈 Fatime Sanogo
본 내용은
"
산부인과 브이심 케이스, 산후출혈 Fatime Sanog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산후출혈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식분만 후 500ml 이상 또는 제왕절개 후 1000ml 이상의 혈액 손실이 있을 때로 정의됩니다. 심한 산후출혈은 일반적으로 1,500 ml 이상의 출혈로 정의됩니다. 또한 출산 후 헤마토크릿(Hct) 수치가 출산을 위해 입원한 당시 수치보다 10% 이상 감소한 경우,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정도의 출혈이 발생했을 때로 정의하기도 합니다.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일차성(조기, 급성기) 산후출혈과 분만 24시간 후부터 12주 미만에 발생하는 이차성(후기) 산후출혈로 분류됩니다. 분만 후 첫 24시간 안에 발생하는 산후출혈(일차성 산후출혈)로 인한 사망이 산후 사망의 약 50%의 원인에 해당하고 선진국에서의 3대 모성사망 원인(색전증, 고혈압, 산후출혈) 중 하나에 해당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
2. 산후출혈의 원인과 위험요인산후출혈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태반박리 때부터 태반만출 이후까지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근무력증(uterine inertia)으로 산후출혈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자궁근무력증이란 출산 후 자궁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자궁근무력증의 위험요인으로는 과도신전된 자궁, 다태아, 거대아, 혈괴성 과도팽만, 양수과다증 등이 있습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잔류태반(retained placenta)과 비정상적인 태반유착(placental adherence)이 있습니다.
-
1. 산후출혈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산과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500ml 이상의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산모의 건강과 생명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 위축 부전, 자궁 내 잔류물, 산도 열상, 자궁 근종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산모의 연령, 임신 횟수, 출산 방식, 태반 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전 관리와 출산 과정에서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산후출혈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산모와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산모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2. 산후출혈의 원인과 위험요인산후출혈의 주요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궁 위축 부전은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자궁이 적절히 수축하지 못하면 출혈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는 산모의 연령, 다산력, 자궁 근종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자궁 내 잔류물은 출혈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태반이나 양막 등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으면 출혈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셋째, 산도 열상은 출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진통 시간이 길거나 조산, 거대아 출산 등의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넷째, 자궁 근종은 자궁 내 종양으로, 출혈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임신성 고혈압, 태반 조기 박리, 태반 전치 등의 산과적 합병증도 산후출혈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전 관리와 출산 과정에서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산후출혈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