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BV 관련 질환 레포트
본 내용은
"
EBV 관련 질환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9
문서 내 토픽
-
1. EBV(Epstein-Barr Virus)EBV(Epstein-barr virus)는 사람 헤르페스 바이러스(Human Herpes virus) 4형으로, HHV-4 라고 불리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이 감염되어있는 매우 흔한 바이러스로 어린이들에서는 경미한 증상을 일으키며, 사춘기 이후에는 감염성 단핵구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외도 Burkitt lymphoma(버킷 림프종), nasopharyngeal carcinoma 또한 EBV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 EBV 감염의 병인 과정EBV 감염의 병인 과정은 EBV가 일차적으로 구강 인후 점막상피나 parotid gland에 침입하여 증식된 후 성숙B림프구에 감염을 일으키고 림프계를 통해 전신으로 전파된 후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증식상태와 인체의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상태의 균형 여부에 따라 감염이 진행되어 다양한 질환과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
3. EBV 항체 반응EBV에 처음으로 감염되어 임상증상이 나타날 때, VCA에 대한 Ig M과 Ig G항체가 나타나며, EA-D와 막항원(MA)에 대한 Ig G항체가 나타난다. EBNA에 대한 항체는 회복기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Burkitt lymphoma 환자에서는 바이러스캡시드항원(VCA)에 대한 IgG항체가 높고, anti-EA-D와 anti-MA항체가 상승한다. nasopharyngeal carcinoma환자에서는 anti-VCA항체가 상승한다.
-
4. 전염성 단핵구증전염성 단핵구증은 림프절과 비장이 커지면서 혈액 내의 림프구의 수가 증가하는 질병이다. 최초 감염은 사춘기 청년기에 이루어지며, 환자나 보균자의 인후나 구강 분비물을 통하여 전염된다. 주된 증상은 복부팽만감, 안구통, 근육통 등의 전구증상이 동반된 다음 두통, 식욕부진, 피로, 인후염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열도 10일간 유지된다.
-
5. Gianotti-Crosti 증후군Gianotti-Crosti 증후군은 비황달성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발생되는 질환이지만, 드물게 EBV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어린 소아에서 발열과 함께 림프절 종창, 간 비대가 나타나 수개월간 지속되며 구진성 발진이 안면부와 사지의 신근부에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3주 이상 지속되는 특성을 보인다.
-
6. 만성 EBV 감염 질환만성 감염은 만성 피곤감이 지속되는 임상 증상을 보이는 지속성 만성 감염과 활동성 감염으로 대별되는데, 만성 활동성 감염의 경우에는 초 감염 증상 및 검사 소견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며 간질성 폐렴, 포도막염, 혈구탐식증후군, 림프선염, 지속성 간염 등의 장기에 염증성 소견을 보인다.
-
7. 혈구탐식증후군EBV에 감염된 T림프구에 의해 cytokine의 과다 생성에 의한 장기 손상과 대식세포의 과다활성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범혈관응고장애와 혈관 손상을 일으킨다.
-
8. X-linked lymphoproliferative diseaseX 유전자 연관 면역저하 질환의 일종으로 이 질환을 지닌 환아는 중증의 EBV 초감염 임상 유형인 전격성 간염이나 혈구탐식증후군이 발현되어 매우 예후가 나쁜 경과를 밟는다.
-
9. 비인두 암종(nasopharyngeal carcinoma)중국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고도 악성 종양. EBV와 NPC는 강력한 연관 관계가 있으며, 소금으로 절인 생선에 존재하는 니트로사민의 섭취와 같은 환경적 요인들도 NPC형성에 기여한다고 믿고 있다.
-
10. 버킷림프종B 림프구 기원의 미분화 림프종으로, 아프리카 어린이에게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주로 악골 영역을 침범한다. 풍토성 버킷 림프종 세포의 90% 이상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의 핵 항원이 관찰된다.
-
1. EBV(Epstein-Barr Virus)EBV(Epstein-Barr Virus)는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4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90% 이상이 감염되어 있는 매우 흔한 바이러스입니다. EBV는 주로 타액을 통해 전파되며,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으로 지나가지만 때로는 전염성 단핵구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EBV는 또한 비인두암종, 버킷림프종 등 일부 암 발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EBV 감염의 병인 과정EBV 감염의 병인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숙주 면역 반응과 바이러스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EBV는 주로 B 림프구에 감염되어 잠복 감염 상태를 유지하다가, 특정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증식하고 다른 세포로 전파됩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세포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지속적인 감염 상태를 유지합니다. 또한 EBV는 숙주 면역 반응을 교란시켜 감염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병인 과정에 대한 이해는 EBV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
3. EBV 항체 반응EBV 감염에 대한 숙주의 항체 반응은 매우 복잡하며, 감염 단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급성 감염 시에는 VCA(Viral Capsid Antigen) IgM 항체가 먼저 나타나고, 이후 VCA IgG 및 EBNA(Epstein-Barr Nuclear Antigen) IgG 항체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항체 반응 양상은 EBV 감염 여부와 감염 시기를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EBV 관련 질병에서는 특정 항체 반응 패턴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비인두암종에서는 EA(Early Antigen) IgA 항체가 높게 나타나는 등, 항체 반응 분석은 EBV 관련 질병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전염성 단핵구증전염성 단핵구증은 EBV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입니다.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발열, 인후통, 림프절 종대, 간비장 종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질병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 단핵구증의 진단은 특징적인 말초 혈액 소견과 EBV 항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대증 치료가 주된 치료법입니다. 전염성 단핵구증은 EBV 감염의 대표적인 임상 양상으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5. Gianotti-Crosti 증후군Gianotti-Crosti 증후군은 EBV 감염을 포함한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팔다리에 발생하는 구진성 발진으로, 보통 2-8주 내에 자연 호전됩니다. 이 질환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Gianotti-Crosti 증후군의 진단은 특징적인 피부 소견과 함께 원인 바이러스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대증 치료가 주된 치료법입니다. 이 질환은 EBV 감염의 드문 피부 증상 중 하나로, 임상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6. 만성 EBV 감염 질환만성 EBV 감염은 지속적인 EBV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들을 포함합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만성 활동성 EBV 감염증, EBV 관련 림프증식성 질환, 만성 피로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질환은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다양한 임상 증상과 경과를 보입니다. 만성 EBV 감염 질환의 진단과 치료는 복잡하며, 아직 명확한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혈구탐식증후군혈구탐식증후군은 EBV 감염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드문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발열, 간비장 종대, 혈구 감소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혈구탐식증후군은 매우 위중한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함께 골수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항암제 등의 치료가 시행됩니다. 혈구탐식증후군은 EBV 감염의 드문 합병증 중 하나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X-linked lymphoproliferative diseaseX-linked lymphoproliferative disease(XLP)는 선천적 면역 결핍 질환의 일종으로, EBV 감염에 매우 취약한 특징을 보입니다. XLP 환자들은 EBV 감염 시 심각한 합병증, 예를 들어 혈구탐식증후군, 림프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XLP는 유전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소아기에 발병합니다.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는 매우 어려운 편이며,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XLP는 EBV 감염의 드문 합병증이지만, 치명적일 수 있어 이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비인두 암종(nasopharyngeal carcinoma)비인두 암종은 EBV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암 질환입니다. EBV는 비인두 상피 세포에 감염되어 암 발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인두 암종은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호발하며,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어려운 편입니다. 치료는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이 주된 방법이며, 예후는 병기에 따라 다양합니다. 비인두 암종은 EBV 감염과 관련된 대표적인 암 질환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0. 버킷림프종버킷림프종은 EBV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B 세포 림프종의 한 유형입니다. 이 림프종은 주로 소아와 젊은 성인에서 발생하며, 얼굴, 복부, 골반 등에 빠르게 진행하는 종괴를 형성합니다. 버킷림프종의 발병 기전에는 EBV 감염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는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이 주된 방법이며,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 향상에 중요합니다. 버킷림프종은 EBV 감염과 관련된 대표적인 암 질환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아동간호학 확인학습 23~26장 14페이지
REPORT아동간호학 확인학습Ⅰ. 산소운반의 변화…………………………………………1-8제 23장 심혈관 장애………………………1제 24장 혈액 장애………………………5Ⅱ. 보호기전의 변화……………………………9-13제 25장 세포 장애………………………9제 26장 면역 장애………………………11Ⅲ. 참고문헌………………………………………………………14Ⅰ. 산소운반의 변화[제 23장 심혈관 장애]1. 심박출량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전부하, 후부하, 수축력을 정의하시오.: 일회 박출량을 결정하는 요소는 전부하, 후부하, 수축력이다. 전부하는 이...2023.12.24· 14페이지 -
case file (sore throat) 7페이지
2018년 10월 case filecase file(sore throat)부서제출일제출자ED/EMD(Emergency medicine department)응급실(ED)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은 종종 단순하고 일반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의사가 단순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직면 했을 때 상자 밖에서 의사가 생각하기 시작 할 때에만 상태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 사례는 공통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ED에서 매일 보인 주요 불만 - “인후통” 환자가 여러 번 보일 때 까지 이후의 만남은 추가 작업을 시작하고 ...2020.12.08· 7페이지 -
아동간호학 요약 레포트 (아동의 암과 간호, 특수아동과 가족의 간호) 17페이지
아동간호학 레포트?. 아동의 암과 간호XIII. 특수아동과 가족의 간호학 번 :이 름 :과 목 : 아동간호학담당교수 :제 출 일 :?. 아동의 암과 간호[1] 아동기 암의 특성1. 원인? 물리적 요인(방사선, 석면), 화학물질(타르 플라스틱 등), 환경적요인, 바이러스 등2. 발생빈도? 아동기에 두 번째로 많은 사망원인.? 백혈병, 비호지킨 림프종 순으로 빈번한 발생률3. 증상과 징후? 일반적인 아동기 질병의 증상과 유사한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짐.? 동통, 전신쇠약, 빈혈, 감염 등4. 진단? 임상검사: CBC, 혈액화학검사, ...2021.06.29· 17페이지 -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문헌고찰 7페이지
Report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xtic leukemia, ALL과목담당교수학과학번이름제출일목차1. 정의2. 원인 및 병태생리3. 증상4. 임상검사5. 치료 및 간호6. 예방법7. 조기검진8. 참고문헌문헌고찰1. 정의우리 몸의 조혈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세포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암세포로 전환되어 증식하면서 생기는 혈액암이다. 무한 증식된 백혈병 세포는 정상인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의 생성을 방해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정상 혈액세포의 수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우리의 몸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한다. 정상 ...2024.05.01· 7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Kawasaki Disease / 질병고찰,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수행 포함된 자료입니다. / 수선생님, 교수님 컨펌받고 A+ 받은 자료입니다. 11페이지
Case Report‘Kawasaki Disease’학번/이름 :과목 : 아동간호학병원 :기간 :지도교수님 :1. 일반적 사항●이름:유OO ●성별 : 여 ●연령 : 8개월●입원일 : ●진단명 : Kawasaki’s Disease●사정일 : ●입원 제(5~)일●정보제공자 : 담당간호선생님2. 과거력●출생력 - 출생장소 : 병원 분만형태 : NFTSD출산시 산모상태 : 건강함 출산시 신생아 상태 : 건강함출산시 체충 : 2.6kg 출산시 신장/두위 : 기억나지 않음●일반적 건강상태 : 건강함●입원병력,질병,외상 등 : 없음●과거질환/알...2020.06.21·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