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발달이론 관점에서의 해석(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비고츠키, 반두라)
본 내용은
"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발달이론 관점에서의 해석(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비고츠키, 반두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9
문서 내 토픽
-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1) 인간의 정신세계 (1) 의식: 개인이 현재 자각하고 있는 모든 것에 해당(감각, 기억 등)으로, 벤자민이 주변 사람들의 관심사, 온도, 날씨 등을 파악하고 저녁은 계절에 상관없이 늘 5시 반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의식이 발달했다고 볼 수 있다. (2) 전의식: 의식의 부분은 아니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의식 속으로 떠올릴 수 있는 생각이나 감정들로, 벤자민이 자신이 얼마나 살 수 있을지 퀴니와 이야기를 통해 좌절감을 느꼈을 수 있지만 전의식이 적절하게 작용하여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3) 무의식: 가장 큰마음의 부분이며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을 밝혀야 한다. 벤자민이 퀴니와 교회에 갔을 때 목사와 주변사람들은 벤자민이 7살이라는 것을 믿지 않고 비웃었다. 그로 인해 수치심을 느꼈을 거로 생각하지만 후에 걷기에 성공함으로써 이전의 수치심은 무의식 속에 내재 됐을 것이다.
-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은 인간의 성격 형성과 행동 발달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 그의 이론은 아동기의 성적 욕구와 갈등이 성인기의 행동과 성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특히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등 각 발달 단계에서 겪는 갈등과 그에 따른 고정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는 인간 심리의 무의식적 측면을 강조하고 성적 욕구의 역할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혁신적이었다. 그러나 Freud의 이론은 지나치게 성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그의 이론이 경험적으로 검증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은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시켰으며, 이후 심리학 분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