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산업평균재무비율을 참고하여 아래 문제를 분석해보세요
본 내용은
"
첨부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산업평균재무비율을 참고하여 아래 문제를 분석해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8
문서 내 토픽
  • 1.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을 뜻한다.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단기 지급 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비율이다. 이 기업의 유동자산/유동부채로 유동성 비율은 109%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으며, 200% 정도라면 무난하다고 본다. 이 기업의 경우 100%를 넘기 때문에 유동성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만일 급작스럽게 예상하지 못한 일이 터진다면 현금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 2. 자본구조비율
    자본구조비율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부채비율의 경우 (부채총계/자산총계)*100으로 123%이다. 그 다음으로 자기자본비율은 (자기자본/총자산(+100이라는 계산식을 통해 44%로 산출됐다. 일반적으로 자기자본비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이라고 여겨지며, 50% 이상이라면 이상적이라고 여겨진다. 자기자본비율이 이상적이라고 여겨지는 수준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기업의 안전성이 무조건 낮다고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3. 효율성 비율
    이 기업의 매출채권회전율은 5.1%이고 이는 업계 평균인 5.9%에 비교해서는 미미하게 낮은 편이다. 이 기업의 매출채권회전기간은 짧은 편이기 때문에 자금을 다소 보수적으로 운영해서 자금회수를 빨리 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기업의 재고자산회전율은 44로 업계 평균인 14.9%에 비교해서는 높은 편이다.
  • 4. 수익성 비율
    이 기업의 총자산순이익률은 6%로 업계 평균에 비해서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총자산이익률은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을 가지고 순이익을 어느정도로 창출하는지를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총자산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투자를 따져 보기에 더 좋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ROE는 14.9%이다. ROA에 비교해서 ROE가 더 높은 편이기 때문에 기업의 부채가 어느정도 있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 5. 성장성 비율
    총자산증가율은 (당기말 총자산-전기말 총자산)/전기말 총자산 *100으로 산출했다. 이를 통해서 7.38%이라는 값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매출액증가율은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x 100으로 계산한다. 이 계산식을 통해서 4.45라는 값을 얻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기업의 단기적인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단기적인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적인 지급능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유동성 비율은 자금운용의 비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 유동성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은 유동성 비율을 적절히 관리하여 단기적인 지급능력을 확보하면서도 자금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 2. 자본구조비율
    자본구조비율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부채와 자본을 어떻게 조합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수준의 부채 활용은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업은 자본구조비율을 적절히 관리하여 재무건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기업은 자본구조비율을 고려하여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효율성 비율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과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자산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효율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자산과 자본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4.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장기적인 생존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기업은 수익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수익창출 능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주주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5. 성장성 비율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과 투자 유치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기업은 성장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