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질병&백신 및 제약공학에 대한 최근 정책,산업과 투자에 대한 내용 정리 및 평가
본 내용은
"
BIG C 강연-감염성 질병&백신 및 제약공학에 대한 최근 정책,산업과 투자에 대한 내용 정리 및 평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8
문서 내 토픽
  • 1. 감염성 질병과 백신 개발
    기후변화, 대기오염물질 증가, 도시화 등으로 인해 많은 기존의 감염성 질환과 새로운 감염성 질환들이 나타나고 있다. 백신은 실제로 감염의 발병률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제제가 있지만 각각 장단점이 있다. 백신 개발의 실패 요인에는 antibody dependent enhancement, dominant serotype shifting, immune evasion and low protection 등이 있다. 최근 주목되는 백신 개발 전략에는 점막 백신, universal multi antigen vaccine, fast track procedures, protective immunity 등이 있다.
  • 2. 국내 제약 기업의 현황과 전략
    국내 제약 기업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하며, 주로 제네릭, 개량신약, 도입 상품 신약 위주로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다. 가파른 성장을 위해서는 해외 진출이 필요하며, 기술이전, 직접판매 등의 전략을 고려할 수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각각 CMO 업체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 성장하고 있지만, 신약 개발에는 어려움이 있다.
  • 3. DCT(Decentralized Clinical Trials)의 개념과 장단점
    DCT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DCT의 핵심은 환자 중심이며, 원격 진료, 원격 방문, 가정 방문 약물 투여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DCT를 도입하면 환자 등록 속도 향상,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hybrid DCT 모델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 4.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변화
    기존에는 생산 중심의 2차 산업이었던 제약 산업이 코로나 이후 디지털과 정밀의학을 접목한 맞춤형 서비스와 각 단계별 특화된 파트너사 협력 강화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CMO,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 성장하고 있지만, 신약 개발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감염성 질병과 백신 개발
    감염성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최근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백신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신속한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와 제약 기업, 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백신 접근성 제고를 위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도 강화되어야 합니다. 앞으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백신 기술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2. 국내 제약 기업의 현황과 전략
    국내 제약 기업들은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신약 개발, 바이오 의약품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한 국내 기업들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내 제약 기업들은 R&D 투자 확대,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기술 혁신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규제 개선 등 제도적 기반 마련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DCT(Decentralized Clinical Trials)의 개념과 장단점
    DCT(Decentralized Clinical Trials)는 기존의 집중화된 임상시험 모델에서 벗어나 참여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새로운 임상시험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 모집 및 참여율 제고, 데이터 수집의 효율성 향상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하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인프라 구축, 데이터 관리 및 보안, 규제 체계 마련 등의 과제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DCT가 제약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지속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4.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변화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은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과,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 향상,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크게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과 규제 개선 노력도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R&D 투자 확대,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기술 혁신 등을 통해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세계적인 강자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기업, 정부, 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과 더불어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