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발파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시험발파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8
문서 내 토픽
  • 1. 발파진동 영향검토
    발파로 인한 지반진동(Ground Vibration) 및 폭풍압(Air Blast)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해당지역의 허용기준치를 설정하고, 발파진동식을 추정하여 이론상 지발당장약량을 수치계산하였다. 또한 발파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2. 안정성 평가
    시험발파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 발파진동 추정식을 산출하고, 지발당 장약량을 결정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한 발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3. 발파공해 저감 대책
    발파진동 및 폭풍압 저감을 위해 장약량 조절, MS 기폭시차 조절, 화약류 선택, 전파경로 차단, 음원대책 등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4. 비석 안전대책
    비석(Fly Rock)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공구부 직접방호, 장약량 조절, 천공 정확성 유지, 전색 완전 시공 등의 대책을 수립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발파진동 영향검토
    발파진동 영향검토는 발파 작업으로 인한 주변 환경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발파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변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발파진동 영향검토에는 발파 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 수준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주변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여 발파 진동에 의한 피해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러한 발파진동 영향검토 과정은 발파 작업의 안전성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며, 관련 법규와 기준을 준수하여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 2. 안정성 평가
    발파 작업의 안정성 평가는 발파 설계, 시공,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선 발파 설계 단계에서 발파 공법, 장약량, 발파 시간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시공 단계에서는 발파 작업 현장의 지반 상태, 주변 환경, 구조물 등을 고려하여 실제 발파 작업의 안전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발파 작업 중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발파 작업의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관련 법규와 기준을 준수하여 안전한 발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발파공해 저감 대책
    발파 작업으로 인한 공해 문제는 주변 환경과 주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파 공해 저감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우선 발파 설계 단계에서부터 공해 저감을 고려하여 장약량, 발파 시간 등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시공 단계에서는 방음벽 설치, 발파 시간 조절 등의 대책을 통해 소음, 진동, 먼지 등의 공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발파 작업 후에도 주변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공해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추가적인 저감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발파 공해 저감을 위해서는 설계, 시공, 사후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며, 관련 법규와 기준을 준수하여 실행해야 합니다.
  • 4. 비석 안전대책
    발파 작업 시 비석 발생은 매우 위험한 문제로, 이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이 필수적입니다. 우선 발파 설계 단계에서부터 비석 발생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장약량, 발파 시간 등을 조절하여 비석 발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시공 단계에서는 발파 작업 현장에 대한 철저한 안전 점검과 모니터링을 통해 비석 발생 징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비석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비석 제거 장비와 인력을 사전에 준비하고, 주변 구역에 대한 통제 및 대피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발파 작업의 전 과정에서 비석 안전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해야 하며, 관련 법규와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