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내, 피하, 근육, 정맥주사 (ID, SC, IM, IV)
본 내용은
"
피내, 피하, 근육, 정맥주사 (ID, SC, IM, IV)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7
문서 내 토픽
-
1. 피내주사 (ID, Intradermal injection)피내주사는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사부위는 전완의 내측면, 상완의 측후면, 상흉부, 견갑골 등입니다. 주사 절차는 주사기에 약물과 증류수를 혼합하여 준비하고, 주사부위를 소독한 후 5-15도 각도로 피부에 주사하여 약물을 주입합니다. 주사 후 10-15분 후에 결과를 판독하며, 결핵반응검사는 72시간 후에 판독합니다.
-
2. 피하주사 (SC, Subcutaneous injection)피하주사는 약물의 흡수를 느리게 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주사부위는 상완의 외측후면, 늑골연 아래에서 장골능까지의 복부, 대퇴전면 등입니다. 주사 절차는 주사부위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피부주름을 만든 후 45-90도 각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주사합니다. 주사 후에는 약물이 조직 속에서 빨리 분산되도록 마사지합니다.
-
3. 근육주사 (IM, Intramuscular injection)근육주사는 통증 감각신경이 적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부위보다 주사바늘 천자로 인한 불편감이 적으며, 약물의 흡수가 빠릅니다. 주사부위는 둔부의 복면, 둔부의 배면, 외측광근, 대퇴직근, 삼각근 등입니다. 주사 절차는 근육이 이완된 자세에서 90도 각도로 피부를 찔러 주사바늘을 근육 내로 밀어넣습니다. 마지막에 0.2ml의 공기를 주입하고 주사부위를 마사지합니다.
-
4. 정맥주사 (IV, Intravenous injection)정맥주사는 수분과 전해질, 영양 및 산-염기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많은 용량의 약물을 희석해서 서서히 주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사 절차는 수액을 준비하고, 정맥천자부위를 선정한 후 15-30도 각도로 바늘을 찌르고 혈액의 역류를 확인합니다. 카테터를 삽입하고 수액세트를 연결한 후 주사부위를 고정하고 주입속도를 조절합니다. 정맥주사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침윤, 일혈, 정맥염, 폐부종, 공기 색전증 등이 있습니다.
-
1. 피내주사 (ID, Intradermal injection)피내주사는 피부 가장 표면층인 진피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결핵 진단 검사, 알레르기 검사, 백신 접종 등에 사용됩니다. 피내주사는 주사 부위에 작은 팽륜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주사 시 통증이 적고 약물 흡수가 빠릅니다. 하지만 주사 기술이 까다롭고 주사 부위 관리가 중요하므로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주사 부위에 감염이나 피부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주사 후 관찰이 필요합니다.
-
2. 피하주사 (SC, Subcutaneous injection)피하주사는 피부 아래 지방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인슐린, 헤파린, 성장호르몬 등의 약물 투여에 주로 사용됩니다. 피하주사는 주사 부위에 작은 융기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주사 시 통증이 적고 약물 흡수가 비교적 느립니다. 또한 근육주사에 비해 주사 기술이 상대적으로 쉽고 안전합니다. 하지만 주사 부위에 지방 침착, 피부 변색,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사 부위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주사 후 관찰이 필요합니다.
-
3. 근육주사 (IM, Intramuscular injection)근육주사는 근육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백신, 진통제, 항생제 등 다양한 약물 투여에 사용됩니다. 근육주사는 주사 부위에 큰 융기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주사 시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약물 흡수가 빠릅니다. 또한 근육주사는 피하주사에 비해 약물 흡수가 더 빠르고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주사 기술이 까다롭고 주사 부위 선택이 중요하며, 주사 부위에 출혈, 감염, 근육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며, 주사 후 관찰이 필요합니다.
-
4. 정맥주사 (IV, Intravenous injection)정맥주사는 정맥 내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액 공급, 약물 투여, 검사 등에 사용됩니다. 정맥주사는 약물 흡수가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며, 주사 부위에 융기가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맥주사는 주사 기술이 매우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정맥 천자 실패, 혈관 손상, 혈전 형성,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맥주사는 반드시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며, 주사 전후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사 부위와 주사액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기본간호 주사의 종류와 방법(IV IM SC ID) Z-track 기법과 정맥염 6페이지
①정맥주사(intravenous injection, IV)*정의/목적: 정맥속에 주사를 찔러넣어 약액을 직접 혈관 속에 주입하는 방법(희석한 약물을 서서히 주입하기 위함) 주입된 약액이 1-2분 내에 심장을 거쳐 신체 필요조직에 도달하므로 약효, 반응이 확실하고 빠르게 나타난다. 경구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수 없는 경우 수분, 염분, 그 외에 필요한 전해질 보급을 위해 사용되는 투여방법이며 출혈 후의 혈액 보급과 해독제 등의 약을 혈액속에 주입 후 빠른 효과를 기대할 경우에 사용된다(점적 정주도 정맥주사일종) 통증없이 다량의 약물주...2022.02.21· 6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 입원아동 체크리스트 레포트(성장곡선, 투약, 산소요법 및 호흡기 간호, 영양과 배설, 체온조절, 안전관리, 검사, 교육, 발달) 5페이지
순번분과항목내용1입원성장곡선(백분위수)- 한국소아 청소년 발육곡선에서 정상범위는 5-95백분위수체중 축정치가 10kg인 생후 18개월 여아의 체중 기록, 평가 방법알맞은 표준성장도표 선택 -> 가로축 연령 18개월로 표기된 지점에 연장선A 긋기 -> 세로축 10kg 지점에 연장선B 긋기 -> A와 B 교차점C 표기 -> C에서 우측 백분위수가 표기된 부분까지 연장선D 그어 백분위수 확인 -> 25백분위수에 해당 -> 5~95백분위수 범위 내에 포함 -> 정상 범위로 평가2투약피내검사(ID)- 표피 밑에 진피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것...2021.01.01· 5페이지 -
기본간호학 투약정리(주사) 2페이지
투약 간호과정피하주사(SC)피내주사(ID)근육주사(IM)정맥주사(IV)투약 간호과정(1)사정-간호력,알레르기 기왕력,투약력,식이력,대상자의지각,조정능력,현재상태,약물의대한 태도,학습요구,사회·경제적 상태(2)간호진단사정단계에서 대상자의 상태,자가투약능력,투약이행 등에 관해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치료의 실제적,잠재적문제를 확인(3)계획안전한 투야글 위한 간호수행을계획,어떤 경우라도 목표와 기대되는 결과를 설정(4)수행①건강증진 간호활동-대상자는 약물의 부작용이나독작용의 증상을 알아야 하며,가족이나 대상자의 부작용 발생을가장 먼저 ...2021.04.18· 2페이지 -
기본간호/요약집/약물투여/주사/수혈/약력학/약동학/핵심정리 13페이지
*)약물 투여 경로*)투약(medications)①경구투약(oral medication)②비경구투여(parenteral medication)- 피내주사(intradermal, ID)- 피하주사(subcutaneous, SC or SQ)- 근육주사(intramuscular, IM)- 정맥주사(intravenous, IV)③수혈(blood transfusion)④국소투여 : 눈, 코, 귀, 질, 직장, 피부⑤흡입약(inhalation) 투여1. 경구투여(oral medication)- 약물을 입에서 투여해 위장&소장에서 흡수- 경구투여...2023.04.11· 13페이지 -
아동 대상의 투약방법 유의사항 및 활력증상 측정, 유의사항 2페이지
각 투여경로에 따른 투여방법과 유의사항- 투약 준비 시 약물을 3번 확인, 정확한 약물용량을 계산, 5Right 준수, 신분 확인 (기본)경구투여 (oral administration)- 투여의 편리성 때문에 대부분 약물 -> 액상시럽 (고형제제는 어린 아동에게 권장 X)- 정제나 캡슐과 같은 고형제제 투여 시 아동이 울거나 심한 저항을 할 때 -> 흡입 위험-> 정제 갈아서 가루로 만듦. 하지만, 서서히 녹여서 먹여야 하는 약물과 코팅된 정제 갈지 않음근육주사 (an intramuscular injection : IM)- 안전투약...2022.02.23·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