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히 정리해보는 신경치료
본 내용은
"
간단히 정리해보는 신경치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7
문서 내 토픽
-
1. 신경치료 (Endodontic treatment)치수가 충치의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유해한 자극에 의해 염증을 일으킨 경우, 치수내 영양공급이 되지않아 치수조직이 죽고 이때 근관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극의 종류로는 충치가 생긴 경우, 수차례 치료를 받은 경우, 치아에 금이 간 경우, 치아에 충격을 받은 경우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치아가 변색되거나, 치근단 부위 잇몸이 부음, 찬것이나 뜨거운 것에 오랜시간 불편감 지속 및 인접잇몸을 만졌을 때 불편감이 있으며, 때론 무증상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치료방법은 염증을 일으키고 있거나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조심스럽게 치아 내부를 소독한 후 치근부의 치수가 있던 치아내부 공간을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고 재료로 밀폐하는 것입니다. 근관치료 후 완전한 치아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금관이나 다른 수복치료가 필요합니다.
-
2. 근관치료의 용어PE: Pulp Extripation, AO: Access Opening, CE: Canal Enlargment, CD: Canal Dressing = Canal irrigation, CS: Canal Shaping, VF: Vitapex Filling, VR: Vitapex removing, CF: Canal Filling, WLD: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
3. 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전치는 상악, 하악 1/1개, 소구치는 하악 제1,2 소구치 1/1개, 상악 제1 소구치 2/2개(B,P), 상악 제2 소구치 1/1개, 대구치는 하악 제1,2 대구치 2(MD)/ 3 (MB,ML,D)개, 상악 제1,2 대구치 3(BM,BD,P)/ 4(MB,MB2,DB,P)개입니다.
-
4. 근관치료의 과정DAY1 PE: 1. 치근단 사진 촬영 및 마취, 2. 교합면 삭제 및 치수강 개방(근관와동형성), 3. 근관입구 찾기, 4. 발수, 5. 근관 확대 및 근관장 측정검사, 6. 근관 세척 및 건조, 7. caviton sealing, 8. 주의사항 설명 DAY2 CE: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잔신경가지 제거 및 근관 확대 및 성형,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caviton sealing DAY3 CD: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잔신경가지 제거 및 근관 확대 및 성형,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뿌리 염증 상태에 따라 vitapex or calcipex 사용, 5. caviton sealing DAY4 CD & VR: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근관 내 vitapex removal,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caviton sealing DAY5 CF: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근관 세척 및 건조, 3. 근관 내 sealer 도포, 4. GP cone을 이용한 수직가압법으로 근관충전, 5. caviton sealing 후 ST 촬영
-
5. 치료 중 주의사항치료 후 첫 수일동안, 특히 치료 전 통증이 있거나 감염이 있던 경우 치료 받은 치아는 감각이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치아를 완전히 수복해 금관을 씌울 때까진 치료 받는 치아로 단단한 것을 물거나 씹으면 안되며, 완전히 수복되지 않은 치아는 부러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근관치료가 끝나는 대로 빨리 금관을 씌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
1. 신경치료 (Endodontic treatment)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치수(pulp)를 제거하고 근관을 세척, 소독, 충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는 치아 통증 해소, 치아 기능 회복, 치아 수명 연장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시 숙련된 치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 후 적절한 관리와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
2. 근관치료의 용어근관치료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수(pulp)는 치아 내부의 연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근관(root canal)은 치수가 있는 치아의 내부 통로를 말합니다. 근관치료(root canal treatment)는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근관을 세척, 소독, 충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근관 입구(root canal orifice)는 치관부에서 근관으로 이어지는 입구를 말합니다. 근관 충전(root canal filling)은 근관 내부를 밀폐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용어 이해는 근관치료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악 전치는 1개의 치근과 1개의 근관을 가지며, 상악 구치는 2-3개의 치근과 2-4개의 근관을 가집니다. 하악 전치는 1개의 치근과 1개의 근관을 가지며, 하악 구치는 1-2개의 치근과 1-3개의 근관을 가집니다. 이처럼 치아마다 치근과 근관의 수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근관치료 시 치아의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숙련된 치과 의사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근관치료의 과정근관치료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수 노출 부위를 확인하고 국소 마취를 시행합니다. 둘째, 치아 개방을 통해 치수 조직을 제거합니다. 셋째, 근관 내부를 세척, 소독, 확장합니다. 넷째, 근관 내부를 충전하여 밀폐합니다. 다섯째, 치관 부위를 복원하여 치아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진단, 철저한 감염 관리,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 중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치료 결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치료 중 주의사항근관치료 중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수 노출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고 철저한 소독을 해야 합니다. 둘째, 근관 내부를 완전히 세척, 소독, 충전해야 합니다. 셋째,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넷째, 치료 후 적절한 복원 치료를 해야 합니다. 다섯째,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지켜야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숙련된 치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치매 대상자와 관련된 사건과 분석 문서 입니다. 3페이지
치매 대상자와 관련된 사건과 분석, 간호과정1. 대상자의 정신건강문제 분석① 정의이상 단백질(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타우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면서 뇌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퇴행성 : 정상적인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세포가 손상되어 점차 증세가 나타남② 원인원인을 찾기 위한 노력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상태이다. 아직은 불완전한 설명이지만 원인에 대한 가장 유력한 가설은 아밀로이드 가설이다.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대사되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만...2025.07.09· 3페이지 -
심리학 게슈탈트 치료 ) 게슈탈트 치료 적용 과제 6페이지
심리학 게슈탈트 치료 - [게슈탈트 치료] 적용 과제심리학 게슈탈트 치료 - [게슈탈트 치료] 적용 과제1. Perls가 말하는 '게슈탈트'는 나의 경험에 있어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적어도 5분 동안 내 마음을 바라보며 마음에 떠올랐다 사라지는 게슈탈트들을 알아차린다. 좋은 계슈탈트란 유기체의 필요를 나타내는 전경이 배경과 선명하게 대비되어 명료한 알아차림을 유발하는 행동 동기를 뜻한다. 마음의 초점이 안팎으로 옮겨 다니며 마음속에 떠오르는 다양한 체험들을 가능한 한 자세하게 알아차리려고 노력해본다.2. 게슈탈트 치료에 따르면, 건...2023.08.24· 6페이지 -
최근 자율신경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시오. 4페이지
최근 자율신경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자율신경계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시오.1. 서론자율신경계는 인간의 생리적 기능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는 신경계로서, 심박수, 혈압, 소화, 호흡 등의 중요한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며, 이들 신경은 신체가 외부 자극에 대응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현대인의 생활 방식 변화와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이 자율신경계의 균형에 부정적...2025.03.15· 4페이지 -
모성간호학 실습일지 5페이지
2. 실습 성찰일지실습경험(Learning log, Lived experience)서술적 반성(Narrative reflection)1. 모성외과 간호 실습 중 환자 확인의 중요성을 느낀 적이 있습니다. 바쁜 병동에서 간호사 선생님들이 신속하게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을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예를 들어, 약을 처방하거나 환자를 돌볼 때 시간에 쫓겨 환자 이름을 묻고 확인하는 절차가 간단히 넘어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로 인해 환자 확인이 부실해질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루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에 환자 이름을 묻고 ...2024.06.03· 5페이지 -
A+) 모바일 헬스 관련 논문 요약 4페이지
목차1. 서론2. 모바일 헬스의 정의와 분류3. 모바일 헬스의 신경정신의학적 활용4. 정신건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5.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헬스6. 고찰7. 참고문헌1. 서론: 모바일 헬스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하여 정상인 단위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다. 다시 말해, ‘건강 빅데이터’는 의료기관에서의 환자 데이터를 넘어서 병원에 가지 않은 정상인 군의 데이터까지 수집, 축적하고 활용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신경정신의학 분야에서는 모바일...2023.10.0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