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히 정리해보는 신경치료
본 내용은
"
간단히 정리해보는 신경치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7
문서 내 토픽
  • 1. 신경치료 (Endodontic treatment)
    치수가 충치의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유해한 자극에 의해 염증을 일으킨 경우, 치수내 영양공급이 되지않아 치수조직이 죽고 이때 근관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극의 종류로는 충치가 생긴 경우, 수차례 치료를 받은 경우, 치아에 금이 간 경우, 치아에 충격을 받은 경우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치아가 변색되거나, 치근단 부위 잇몸이 부음, 찬것이나 뜨거운 것에 오랜시간 불편감 지속 및 인접잇몸을 만졌을 때 불편감이 있으며, 때론 무증상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치료방법은 염증을 일으키고 있거나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조심스럽게 치아 내부를 소독한 후 치근부의 치수가 있던 치아내부 공간을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고 재료로 밀폐하는 것입니다. 근관치료 후 완전한 치아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금관이나 다른 수복치료가 필요합니다.
  • 2. 근관치료의 용어
    PE: Pulp Extripation, AO: Access Opening, CE: Canal Enlargment, CD: Canal Dressing = Canal irrigation, CS: Canal Shaping, VF: Vitapex Filling, VR: Vitapex removing, CF: Canal Filling, WLD: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 3. 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
    전치는 상악, 하악 1/1개, 소구치는 하악 제1,2 소구치 1/1개, 상악 제1 소구치 2/2개(B,P), 상악 제2 소구치 1/1개, 대구치는 하악 제1,2 대구치 2(MD)/ 3 (MB,ML,D)개, 상악 제1,2 대구치 3(BM,BD,P)/ 4(MB,MB2,DB,P)개입니다.
  • 4. 근관치료의 과정
    DAY1 PE: 1. 치근단 사진 촬영 및 마취, 2. 교합면 삭제 및 치수강 개방(근관와동형성), 3. 근관입구 찾기, 4. 발수, 5. 근관 확대 및 근관장 측정검사, 6. 근관 세척 및 건조, 7. caviton sealing, 8. 주의사항 설명 DAY2 CE: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잔신경가지 제거 및 근관 확대 및 성형,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caviton sealing DAY3 CD: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잔신경가지 제거 및 근관 확대 및 성형,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뿌리 염증 상태에 따라 vitapex or calcipex 사용, 5. caviton sealing DAY4 CD & VR: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근관 내 vitapex removal, 3. 근관 세척 및 건조, 4. caviton sealing DAY5 CF: 1. caviton 제거 및 통증유무 확인, 2. 근관 세척 및 건조, 3. 근관 내 sealer 도포, 4. GP cone을 이용한 수직가압법으로 근관충전, 5. caviton sealing 후 ST 촬영
  • 5. 치료 중 주의사항
    치료 후 첫 수일동안, 특히 치료 전 통증이 있거나 감염이 있던 경우 치료 받은 치아는 감각이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치아를 완전히 수복해 금관을 씌울 때까진 치료 받는 치아로 단단한 것을 물거나 씹으면 안되며, 완전히 수복되지 않은 치아는 부러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근관치료가 끝나는 대로 빨리 금관을 씌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경치료 (Endodontic treatment)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치수(pulp)를 제거하고 근관을 세척, 소독, 충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는 치아 통증 해소, 치아 기능 회복, 치아 수명 연장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시 숙련된 치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 후 적절한 관리와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 2. 근관치료의 용어
    근관치료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수(pulp)는 치아 내부의 연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근관(root canal)은 치수가 있는 치아의 내부 통로를 말합니다. 근관치료(root canal treatment)는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근관을 세척, 소독, 충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근관 입구(root canal orifice)는 치관부에서 근관으로 이어지는 입구를 말합니다. 근관 충전(root canal filling)은 근관 내부를 밀폐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용어 이해는 근관치료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
    치아별 치근 및 근관 수와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악 전치는 1개의 치근과 1개의 근관을 가지며, 상악 구치는 2-3개의 치근과 2-4개의 근관을 가집니다. 하악 전치는 1개의 치근과 1개의 근관을 가지며, 하악 구치는 1-2개의 치근과 1-3개의 근관을 가집니다. 이처럼 치아마다 치근과 근관의 수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근관치료 시 치아의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숙련된 치과 의사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근관치료의 과정
    근관치료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수 노출 부위를 확인하고 국소 마취를 시행합니다. 둘째, 치아 개방을 통해 치수 조직을 제거합니다. 셋째, 근관 내부를 세척, 소독, 확장합니다. 넷째, 근관 내부를 충전하여 밀폐합니다. 다섯째, 치관 부위를 복원하여 치아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진단, 철저한 감염 관리,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 중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치료 결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치료 중 주의사항
    근관치료 중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수 노출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고 철저한 소독을 해야 합니다. 둘째, 근관 내부를 완전히 세척, 소독, 충전해야 합니다. 셋째,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넷째, 치료 후 적절한 복원 치료를 해야 합니다. 다섯째,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지켜야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숙련된 치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