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학자 5인 보고서
본 내용은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학자 5인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7
문서 내 토픽
-
1. Peter Townsend피터 타운센드는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국제사회 정책 교수이며 아동 빈곤 퇴치 그룹의 공동 창립자입니다. 그는 사회정책이란 공공행정과 관련된 정책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인정된 특수한 사회문제를 시정하거나 사회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국가와 지방당국의 건강, 교육, 복지 및 사회보장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의 개발과 관리에 관련된 정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사회복지 정책의 주요 영역을 소득, 건강, 교육, 주택, 대인적 사회서비스로 구분하여 정책형성 틀을 만드는데 기여했고, 특히 풍요로운 사회의 빈곤문제에 대해 깊이 다루었습니다.
-
2. Esping-Andersen에스핑-앤더슨은 자본주의 경제 안에서 복지국가에 주요한 초점을 둔 사회학자입니다. 그는 탈상품화 이론을 제시하여 사회복지정책의 시장 영향력 완화 정도를 분석하는 틀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복지국가를 자유주의적, 조합주의적, 사회민주주의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했습니다.
-
3. Adolph Wagner아돌프 바그너는 19세기 독일 신역사학파의 주요한 인물 중 한명이자 사회정책학파 재정학의 집대성자이며 자산계급 근대 재정학의 창시자입니다. 그는 사회정책이란 '분배과정에서 제 폐해를 입법 및 행정의 수단으로서 항쟁하려는 국가의 정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바그너 법칙'은 산업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공공지출의 몫도 증대하게 된다는 공공 부문 팽창의 법칙을 말합니다.
-
4. Neil Gilbert & Harry Specht길버트와 스펙트는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의 제도화'라고 포괄적으로 지칭했습니다. 그들은 기존의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논쟁과는 다른 새로운 자격요건의 원칙으로 귀속적 욕구, 보상, 진단적 차별, 자산조사에 의한 욕구 등 4가지를 제안했습니다. 또한 보충적(잔여적) 모형과 제도적(보편적) 모형을 구분하여 제시했습니다.
-
5. Wilensky월렌스키는 사회복지제도를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으로 양대분하여 설명했습니다. 잔여적 개념은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개인의 문제나 욕구를 해결할 수 없을 때 국가가 일정기간 개입해서 기본적인 삶을 유지해주는 보완적인 기능을 말합니다. 제도적 개념은 사회복지가 사회의 정상적인 주요 제도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1. Peter TownsendPeter Townsend was a prominent British sociologist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social policy and the study of poverty and social welfare. His work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disadvantaged populations in the UK. Townsend's research challenged the prevailing assumptions about poverty and social welfare, arguing that poverty was not just a lack of income, but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that encompassed various aspects of social exclusion and deprivation. His landmark book, 'The Family Life of Old People', published in 1957, provided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networks of older adults, challenging the stereotypes and misconceptions about aging. Townsend's work was instrumental in shap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icies and programs aimed at addressing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poor, and his influence can still be felt in contemporary debates on social welfare and inequality.
-
2. Esping-AndersenGøsta Esping-Andersen was a prominent Danish sociologist and political scientist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comparative welfare state research. His 1990 book,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is considered a seminal work in the field, as it introduced a typology of welfare state regimes that has become widely used in the analysis of social policies and their impact on social outcomes. Esping-Andersen's typology identified three main welfare state regimes: the liberal, the conservative-corporatist, and the social-democratic. Each regime was characterized by distinct approaches to the role of the state, the market, and the family in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Esping-Andersen's work has been influential in shaping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welfare state model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ocial inequality, labor market dynamics, and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families. His research has also been instrumental i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in which welfare states develop and evolve.
-
3. Adolph WagnerAdolph Wagner was a German economist and sociologist who is best known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public finance an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conomy. Wagner's law, also known as the 'law of increasing state activity', posits that as a country's economy develops, the relative size of its public sector will grow, with the government taking on an increasingly active role in the provision of public goods and services. Wagner's work was influential in sha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the public sector, and his ideas have been widely debated and tested in the field of public finance and political economy. While Wagner's law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empirical scrutiny and debate, his work remain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role of the state in modern economies. Wagner's insights continue to inform contemporary discussions on the appropriate scope and scal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economy,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debates around the welfare state and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
4. Neil Gilbert & Harry SpechtNeil Gilbert and Harry Specht were two prominent American social work scholars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heir work focused on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and the ways in which social policies and programs can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effectively address the needs of vulnerable populations. Gilbert and Specht's research and writings explored a range of issues, including the tensions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the bala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involvement in social welfare, and the challenges of balancing efficiency and equity in the delivery of social services. Their work was influential in shap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as well as in informing debates on the appropriate role of government in addressing social problems. Gilbert and Specht's contributions continue to be relevant in contemporary discussions on the future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evolving nature of social service delivery.
-
5. WilenskyHarold Wilensky was a prominent American sociologist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ies. Wilensky's work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shape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welfare state institut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ole of economic, political, and demographic factors. His 1975 book,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is considered a seminal work in the field, as it provid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the growth of social welfare programs. Wilensky's research challenged the prevailing assumptions about the determinants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arguing that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the political power of organized labor were more important than ideological or cultural factors. Wilensky's work has been highly influential in shaping the field of comparative welfare state research and continues to be relevant in contemporary debates on the future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challenges of addressing social inequal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demographic change.
-
사회복지정책의 목적과 필요성 및 국가별 이해 차이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은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에 의해 제공됩니다. 넓은 의미의 사회복지정책은 모든 국민의 의료, 주거, 소득, 사회서비스 등을 포괄하는 보편적 복지이고, 좁은 의미의 사회복지정책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적 복지입니다. 2. 사회복지정책의 목적 사회복지정책의 기본 목적은 인간의 ...2025.05.10 · 사회과학
-
교육사회학에 대한 이해1.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비교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는 사회와 학교, 선발에 대한 관점이 다릅니다. 기능주의는 사회의 안정과 질서 유지,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른 공정한 평가를 강조하지만, 갈등주의는 사회의 변화와 지배계급의 이익 추구, 계급에 따른 선발과 분배 과정의 정당화를 강조합니다. 2. 기능주의 기능주의는 사회의 모든 요소가 안정지향적이며 점진적 개...2025.01.10 · 교육
-
사회복지사 과제 - 사회복지정책론 _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 7페이지
과 목 명 : 사회복지정책론주 제 :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아래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과제 작성할 것)1. 베버리지 보고서 등장 배경2. 주요내용 설명3. 보고서의 영향과 본인의 생각아 이 디 :이 름 :생년월일 :Ⅰ. 서론베버리지 연구 보고서란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복지국가가 처음 등장한 곳은 영국이다. 전쟁을 겪으면서 피폐해진영국에서는 재건을 위해 국가와 국민이 총동원하여 위험을 공동 부담하고 국민 상호간의 희생과 상부상조의 정신이 필요하다는 의식이 확산되었다.특히 전쟁은 엄청난 수의 사상자...2022.11.02· 7페이지 -
사회복지 정책집행과 평가 보고서 10페이지
사회복지 정책집행과 평가과목사회복지 정책론교수학과제출일목차Ⅰ. 사회복지 정책집행1. 사회복지 정책집행의 의미, 성격1-1. 정책집행의 의미1-2. 정책집행의 성격2. 정책집행의 특징2-1. 일반적 특징2-2. 다양해지는 정책 집행자3. 사회복지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3-1. 정책 환경적 요인3-2. 정책 내재적 요인Ⅱ. 사회복지 정책평가1. 사회복지 정책평가의 개념 및 의미2. 정책평가의 필요성3. 정책 평가의 성격4. 사회복지 정책의 평가자와 평가 기준4-1. 사회복지 정책의 평가자4-2. 사회복지 정책평가기준4-3. 평...2021.02.09· 10페이지 -
사회복지정책론 )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 5페이지
사회복지정책론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사회복지정책론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목차서론본론결론출처서론베버리지 보고서란 1941년 영국에서 창설된 사회보험 및 관련 사업에 관한 각 부처의 연락위원회의 위원장인 W. H. Beveridge가 1942년에 제출한 보고서로, 정식 명칭은 사회보험 및 관련 서비스이다. 해당 위원회는 영국의 여러 제도의 구조나 효율성을 검토하고 점검함으로써 필요한 개선책을 권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러한 권고를 통해 영국의 사회보장 제도의 합리성을...2022.07.06· 5페이지 -
사회복지정책론_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 4페이지
“사회복지정책론” 과제 제출합니다.주제 :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세요.※ 과제 작성 시 주의사항*분량 : A4용지 2매이상(표지제외)*글씨체 : 돋움체 or 굴림체*글씨크기 : 10포인트*복사물 판단기준과제 복사물 판단 기준(복사물은 무조건 0점 처리 됨.)1. 책 및 인터넷 등 자료를 인용하여 작성 시 출처를 기입하지 않았을 경우2. 과제 전용사이트(레포트월드, 해피캠퍼스 등) 에서 다운받아, 제출하였을 경우3. 타학습자와 80%이상 내용이 동일한 경우4. 과제 작성 시 출처를 밝혔으나, 발취한 내용을 자...2022.07.19· 4페이지 -
사회복지실습종결평가서(장애인직업재활시설) 7페이지
실습평가서실습평가서실습생명기관명실습기간실습지도자실습평가일실습지도교수1. 실습일정에 대한 평가- 2023. 7. 3. ~ 7. 28. 20일, 160시간 진행됨.- 실습은 실습 실시 메뉴얼 및 실습 계획에 의거 20 회기로 구성, 진행됨.- 매일 실습 시간 종료 전 해당 회기에 대한 슈퍼비전과 다음회기 일정 고지 및 과제 제시 등으로 알치고 세심하게 실습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장애인 작업재활 시설의 업무 내용 및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상세히 베우는 경험의 장(場)이 되었음.2. 실습내용 및 역할에 대한 평가1주-...2023.11.21·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