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혈액학 7과 정리 레포트
본 내용은
"
면역혈액학_7과_정리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항체 선별 및 동정
    항체 선별 테스트(screening test)는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에 비예기 항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혈청/혈장과 screening cells(Group O 적혈구)를 반응시켜 항체 유무를 확인합니다. 양성 반응이 나오면 비예기 항체가 있다고 판단하며, 이때 자가항체인지 동종항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항체 동정 테스트는 비예기 항체가 어떤 항원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내는 것입니다. Panel cells(다양한 항원을 가진 Group O 적혈구)를 이용하여 반응 패턴을 분석하여 항체의 특이성을 확인합니다. 자가항체 확인을 위해 autocontrol 실험도 함께 진행합니다. 고빈도 항원에 대한 항체, 저빈도 항원에 대한 항체, 약한 IgG 항체 등 다양한 유형의 비예기 항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 방법도 소개되어 있습니다.
  • 2. 자가항체
    자가항체는 환자 자신의 적혈구 항원에 대해 만들어진 항체입니다. 자가항체 확인을 위해 autocontrol 실험을 진행하며, LISS에서 IS, 37도, AHG 단계에서 모두 응집이 되면 자가항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자가항체에는 cold autoantibody와 warm autoantibody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확인 방법이 다릅니다. 자가항체가 있는 경우 지연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가항체와 동종항체를 구분하기 위해 adsorption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항체 선별 및 동정
    항체 선별 및 동정은 생물학, 면역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항체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이를 선별하고 동정하는 과정은 질병 진단, 치료제 개발, 기초 연구 등에 필수적입니다. 항체 선별 및 동정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일클론 항체 기술,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 등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항체의 특이성, 친화력, 안정성 등을 향상시켜 항체 기반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항체 선별 및 동정 기술의 발전은 질병 진단과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자가항체
    자가항체는 자신의 정상 세포 성분에 대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를 의미합니다. 자가항체는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는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됩니다. 자가항체의 생성 기전은 복잡하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 체계의 이상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가항체 검사는 자가면역 질환의 진단과 모니터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자가항체의 표적 항원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가항체 연구는 자가면역 질환의 병인 규명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