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 및 H 혈액형 시스템과 분비자 상태
본 내용은
"
면역혈액학_4과_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ABO 혈액형 시스템ABO 혈액형 항원은 적혈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액에도 존재하는데, 이를 secretor status라고 한다. ABO 혈액형 시스템은 A, B, O 항원과 이에 대한 항체로 구성되며, 이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ABO 부적합 수혈 시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2. H 항원H 항원은 ABO 항원의 전구체 구조로, L-fucose가 D-galactose에 결합하여 형성된다. H 유전자 산물인 L-fucosyltransferase 효소에 의해 H 항원이 생성된다. Bombay 표현형은 H 항원이 결핍된 경우이다.
-
3. ABO 아형A형에는 A1과 A2 아형이 있으며, A1 아형이 더 많은 항원을 가지고 있다. A2 아형에서는 anti-A1 항체가 생길 수 있어 ABO 혈액형 검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A3, Ax, Ael 등의 ABO 아형이 존재한다.
-
4. ABO 항체ABO 항체는 자연항체로, RBC에 노출되지 않아도 생성될 수 있다. O형 개인의 anti-A, anti-B 항체는 IgG 타입이 주를 이루며, 보체 활성화를 통해 용혈을 일으킬 수 있다.
-
5. ABO 불일치ABO 불일치는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기술적 문제, 샘플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
6. 분비자 상태분비자 상태는 Se 유전자 산물인 L-fucosyltransferase에 의해 결정된다. 분비자(80%)는 soluble H 항원을 만들지만, 비분비자(20%)는 그렇지 않다. 분비자 상태는 ABO 혈액형 검사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1. ABO 혈액형 시스템ABO 혈액형 시스템은 인간의 혈액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체계 중 하나입니다. 이 시스템은 A, B, AB, O의 네 가지 주요 혈액형으로 구성되며, 각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항원의 유무에 따라 구분됩니다. A형은 A 항원, B형은 B 항원, AB형은 A와 B 항원 모두, O형은 A와 B 항원 모두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혈액형 차이는 수혈이나 장기 이식 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또한 ABO 혈액형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부모로부터 유전된 유전자에 따라 개인의 혈액형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ABO 혈액형 시스템은 의학, 유전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H 항원H 항원은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 항원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으로, A와 B 항원의 전구체 역할을 합니다. 즉, A와 B 항원은 H 항원에 특정 당이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O형 개인의 적혈구에는 H 항원만 존재하며, A형과 B형 개인의 적혈구에는 A 항원과 B 항원이 각각 H 항원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H 항원의 존재 여부와 분포는 ABO 혈액형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H 항원은 다른 혈액형 항원 체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수혈이나 장기 이식 시 면역 반응 유발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
3. ABO 아형ABO 혈액형 시스템에는 주요 네 가지 혈액형 외에도 다양한 아형이 존재합니다. ABO 아형은 A형과 B형 내에서 발견되는 세부적인 혈액형 변이로, 적혈구 표면의 A 항원 또는 B 항원의 양이나 구조가 약간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ABO 아형으로는 A1, A2, B, Ax, Bx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아형들은 주요 혈액형과 구분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임상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일부 아형의 경우 수혈이나 장기 이식 시 면역 반응을
-
생명과학실험 혈구세포 관찰 예비 레포트 6페이지
- 2023. 09. 05. (화)[1] 서론1. 실험 목적: 우리의 혈관 속에 흐르는 혈액 중 혈구를 구성하는 세포의 형태적 차이를 현미경으로 비교하고, 응집 유무에 따른 혈액형을 판정함으로써 혈액형 판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2. 배경지식1) 혈액: 혈관을 통해 체내를 순환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운반하여 체외로 배설되도록 하며, 호르몬의 운반과 체온 조절, 생체 방어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혈액은 액체 성분인 혈장, 세포 성분인 혈구로 이루어지며, 혈구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분된다.(1) 혈장(pla...2024.01.16· 6페이지 -
성인 사례보고서 (화상 케이스스터디) 28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Ⅲ임상실습 사례 연구 보고서-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질환명: 발목 및 발의 화상 및 부식실습기관실습기간학년 반제출자제출일담당교수목 차Ⅰ. 서 론 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Ⅱ. 본 론 91. 대상자 사정1) 간호정보조사지2) 병력3) 진단적 검사2. 약물 및 치료 현황1) 약물 현황2) 치료 현황 및 계획Ⅲ. 결 론 23 1. 간호과정2. 간호과정 적용Ⅳ. 참고 문헌 28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화상은 외모와 신체기능의 손상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가능한 치명적인 손상이다. 화상의 손상범...2023.08.27· 28페이지 -
혈액과 순환 7페이지
혈액과 순환실험일시 :보고서 제출일 :제출자 :Ⅰ. 서론순환계는 심장과 혈관을 통합하여 지칭하는 말로 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이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한다. 혈관은 펌프인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을 전달하는 고무관으로, 실제 우리 몸에는 각 조직의 매우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기위해 거미줄처럼 발달하나 혈관도로망이 얽혀있다. 혈액은 전체 혈액의 55%를 차지하는 액체 성분인 혈장과 나머지 45%인 세포 성분의 혈구로...2021.11.28· 7페이지 -
수액 종류와 간호 (A+) 16페이지
수액투여 간호Ⅰ.서론1. 체액과 전해질2. 수액의 분류3. 수액투여 시 공통간호4. 수혈 준비와 간호5. 수혈 시 주의사항Ⅱ.본론1. Crystalloid 용액가. 0.9%, 0.45% 생리식염수나. 젖산화 링거 용액(하트만 용액)다. 하트만 덱스 용액라. 5%, 10%, 50% 포도당 용액마. 5% D/S바. Plasmasolution A사. SD2. Colloid 용액가. 5%, 25% 알부민 용액나. 6% Hetastarch,볼루벤 용액다. 10% Pentastarch,Pentaspan라. 6% 볼루라이트 용액마. Dextra...2021.02.14· 16페이지 -
성인간호학 십이지장궤양 케이스스터디A+ 진단3개, 출혈의 위험성, 영양불균형의 위험성, 급성통증, 20페이지
성인간호실습Ⅱ_Case studyAcute duodenal ulcer(급성 십이지장 궤양)실습과목실습부서실습기간실습학생지도교수목차Ⅰ- 간호사정 p. 11. 일반적 사항2. 건강력3. 신체검진4. 영양5. 개인위생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7. 정서적 상태8. 규칙적인 운동 실시 여부9. 수면과 휴식 및 스트레스, 건강관리10. 진단검사11. 투여 약물Ⅱ- 간호진단 p.131. 소화성 궤양 및 혈변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2. 금식으로 인한 영양불균형3.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Ⅲ- 간호과정 p.13Ⅳ- 퇴원교육 p. 16Ⅴ- 출처 p. ...2024.04.19·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