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장관 질환 치료 -소화성 궤양, GERD, 구토
본 내용은
"
위장관 질환 치료 -소화성 궤양, GERD, 구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소화기전위산 분비는 3부분에서 이루어지는데, 머리(뇌, cephalic)에서는 보기, 냄새, 맛, 음식 생각이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위장(gastric)에서는 위 팽창이 위액 분비를 자극하며, 소장(intestinal)에서는 소화액 분비 후기 과정에서 잔존하는 산과 지방이 위액 분비를 억제한다. 소화자극원으로는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히스타민이 있으며, 이들이 펩신, 염산 분비를 촉진한다.
-
2. 소화성 궤양과 GERD소화성 궤양의 원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 균 감염, 장기간 NSAIDs 사용, 위산 과다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주기적인 통증, 오심, 구토, 식욕 부진, 속쓰림, 명치쓰림 등이 있다. 치료로는 제산제, 수크랄페이트, 양성자펌프억제제, 히스타민2 수용체 길항제, 프로스타글란딘, 위장운동촉진약물, 항균제 등이 사용된다.
-
3. 구토 조절구토는 자연적인 방어 기전으로, 질병이나 장기 기능 장애의 신호일 수 있다. 구토 조절 중추는 연수의 구토 중추(VC)와 화학수용기 방아쇠 영역(CTZ)이며,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도파민, 히스타민, substance P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한다. 항구토제로는 항도파민성 약물, 항히스타민 약물, 항콜린성 약물, 세로토닌 길항제, 뉴로키닌 1 수용체 길항제 등이 사용된다.
-
4. 장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장 기능은 배변 과정에서 대변이 빈 직장으로 움직여 직장의 압력 증가로 배변반사가 유발되어 이루어진다. 설사는 장 활동 증가로 인해 발생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설사 치료에는 흡착제, 항콜린제, opioid 대사체, 세로토닌 길항제 등이 사용된다. 변비 완화제로는 자극제, 삼투성 완하제, 팽창제 등이 있다.
-
1. 소화기전소화기전은 음식물을 섭취하여 소화, 흡수,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등 다양한 기관이 관여하며, 각 기관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소화기전의 문제가 발생하면 소화불량,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기 건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소화기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소화성 궤양과 GERD소화성 궤양은 위나 십이지장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 병변을 말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복통, 소화불량,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편 GERD(위식도 역류질환)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쓰림, 산 역류, 연하 곤란 등이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과 GERD는 서로 다른 질환이지만, 증상이 유사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내시경 검사, 24시간 식도 pH 검사 등의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3. 구토 조절구토는 위 내용물이 강제로 배출되는 증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토의 원인으로는 위장관 질환, 약물 부작용, 임신, 암, 두개내압 상승 등이 있습니다. 구토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인 질환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로는 항구토제, 진토제, 소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이 조절, 수분 섭취, 휴식 등의 생활 습관 관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한 구토로 인한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
4. 장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장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는 진통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는 항생제, 항암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장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로는 항고혈압제, 항파킨슨제, 항정신병제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 복용 시 장운동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대처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또한 식이 조절, 운동, 수분 섭취 등의 생활 습관 관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위장관 출혈성 질환(종류, 진단, 치료, 간호) case study1. 소화기관 해부생리 소화기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9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음식물 섭취와 이동,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 소화된 음식물의 흡수, 분변을 형성하여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식도는 직경 2cm, 길이 23-25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으며 종격동과 횡격막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다....2025.01.24 · 의학/약학
-
(국시대비) 성인간호학 소화기계 내용정리1. 위장질환 위식도역류성질환(GERD)은 하부식도괄약근이 느슨해져 위 내용물이 역류하여 식도벽이 부식되어 식도염,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타는 듯한 작열감의 가슴앓이, 가슴에서 목, 턱 등으로 통증이 방사되며, 식사 직후나 누운 자세에서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치료를 위해 제산제, 높은 베개 사용, 자기 2-3시간 전 금식, 자극성 식품...2025.01.29 · 의학/약학
-
약물내용정리1. Nexium (넥시움) 넥시움은 경구 요법이 적절치 않을 때 경구 요법에 대한 대체요법으로서 식도염이 있고/혹은 위 식도역류에 따른 증상이 심한 위 식도역류질환(GERD)과 급성 출혈성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의 내시경치료 후 재출혈의 예방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어지럼, 지각이상, 변비, 설사, 구역/구토, 소화불량 등이 있습니다. 경구 ...2025.05.04 · 의학/약학
-
위식도역류성질환 간호+교육1. 위식도 역류성 질환(Gastro-esophagus reflux disease)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로 역류된 위의 내용물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 중 역류로 인해 식도에 궤양이나 미란 등의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 혹은 미란성 식도염이라고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범주에 속하지만 내시경 검사에서...2025.05.07 · 의학/약학
-
병동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물 위주/신규약공부1. Tramadol 트라마돌은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각종 암 등)과 진단 및 수술 후 동통에 사용되는 해열, 진통, 소염제입니다. 1회 1~2앰플(50-100mg)을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한 후 필요에 따라 4-5시간마다 반복 주사할 수 있으며, 1일 최대 8앰플(400mg)까지 투여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변비, 어지러움, ...2025.01.18 · 의학/약학
-
위장관계 약물 투여 시 8페이지
위장관계 : 체내에서 가장 긴 관, 섭취된 음식물로부터 영양분 흡수하는 과정상부위장관계 : 입 >> 식도 >> 위Antacids & Adsorbents염산과 결합 또는 위산 PH 증가시킴 위와 십이지장의 산도 중화 및 감소식도하부 괄약근 긴장도 증가, 위 점막 도포하지 않음위산과다의 치료원인 : 위산소화불량,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Antiulcer agents and acid suppressants위산분비 조절위산 분비는 위점막 벽세포에서 Ach, Hist...2024.10.10· 8페이지 -
소화불량의 원인, 진단, 치료 ppt 발표 자료(간호대, 약대, 의대, 생물학) 18페이지
소화불량 IndigestionIndigestion 의 정의 소화불량 (Indigestion) 이란 오심 , 구토 , 역류 , 속쓰림과 소화불량 (dyspepsia : 소화계 기원인 경우에 한정 ) 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 일부는 심와부 쓰림 , 통증 , 불편감 , 식후 팽만감 , 조기 포만감 , 더부룩함 , 트림 , 식욕부진증을 호소하기도 한 다 . 간단하게 소화불량증이란 상복부 중심의 통증 또는 불쾌감 으로 정의소화불량의 메커니즘 위식도 역류 위 운동 저하 내장 감각 과민 기타 요소 : Helicobacter pylori, 스트...2021.01.24· 18페이지 -
응급실 간호사교육용 GI bleeding (위장관 출혈) 40페이지
GI bleeding Gastrointestinal bleeding 응급의료센터GI bleeding 목차 1. 정의 2. 원인 및 증상 3. 진단 4. 치료방법 5 . CASE정의 출혈 부위에 따라 식도와 위 , 소장 , 대장 등의 점막 손상으로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 상부 위장관 출혈 - 식도 , 위 , 십이지장에서 발생 하부 위장관 출혈 -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 Treitz lligament 십이지장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부위에 있는 인대 Upper GI bleedingUpper GI bleeding 식도 , 위 , 근위...2025.05.13· 40페이지 -
[약리학, 약물] 오타코이드 및 관련 약물 들어가기 전, 히스타민(histamine), 항히스타민제, 세로토닌, 세로토닌 작용제, 세로토닌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 요점] 2페이지
# 오타코이드 및 관련 약물 들어가기 전..- Autacoid는 생체 내의 생리활성물질 중 호르몬과신경전달물질과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약물로는..① histamine (히스타민)② serotonin (세로토닌)③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 그리스어의 autos(self)+akos(medical agent)의합성어를 가진 Autacoid는 국소호르몬이라고 불림.# 히스타민(histamine)-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빠른방어 행위를 하기 위해 분비하는 유기물질 중 하나임.-...2023.07.04· 2페이지 -
A+받은 위식도역류성질환, 소화성궤양 Case review (약리학 과제) 4페이지
- 임상 약리학 -기말 사례 보고서Case Review사례) 연령, 성별, 과거력, 현재증상, 활력징후, 혈액검사결과, 동맥혈가스분석 ABGA결과, 약제최 씨는 42세 남자로 신장은 180cm에 체중은 97kg이며 비흡연자이다. 커피를 좋아하여 하루에 최소 4잔 이상을 마시고 매일 야식을 챙겨 먹는다고 하였다. 6개월 전 위궤양 진단을 받아 Sucralfate을 6주간 복용하다 많이 호전되어 복용을 중지하였다.3주 전부터 트림할 때마다 위산이 역류하여 심한 통증을 느꼈고 어지럼증 발현과 구토 횟수가 점점 잦아졌다. 최근 속이 타는 ...2021.12.2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