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지심리학_1) 메멘토 영화 감상 후 1페이지 내외로 자유롭게 영화 감상문 작성 2) 형태재인에 대한 5가지 모형 중 3가지 선택하여 각 모형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본 내용은
"
인지심리학_1) 메멘토 영화 감상 후 1페이지 내외로 자유롭게 영화 감상문 작성 2) 형태재인에 대한 5가지 모형 중 3가지 선택하여 각 모형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메멘토 영화 감상문메멘토 영화는 심리학적 퍼즐이 담겨진 영화이다. 지금 내가 공부하고 있는 심리학과 연관되어 설명이 가능한 영화이다. 기억은 인지와 연관된다. 인지는 기억으로 이루어진 것들이 세상 밖으로 표현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 레너드는 자신의 기억을 믿지만, 영화를 보는 우리는 그 기억을 믿을 수가 없다. 흑백과 컬러가 혼동되고, 컬러에서도 앞 장면과 뒷 장면이 다른 내용이며, 다르다. 이것을 처음 볼 때는 몰랐다. 흐름 따라 영화를 보면서 돌려서 다시 보아 갈 때 알 수 있었다. 이 영화는 사람의 기억을 중요시 여기기보다, 사람이 기억을 가지고 조작가능 함을 알려주는 것 같다. 주인공은 진실을 감당하지 못하여 진실을 직면할 때 그 진실을 은폐하고, 숨기고자 한다. 또 진실과 직면할 때 사람을 죽인다. 그래야만 자신이 기억한 것이 진실이라고 믿어 나갔기 때문이다.
-
2. 형태재인 모형 비교① 형판 맞추기 모형: 인간의 형태재인은 망막에 떨어진 영상과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형판과 비교 되며 이 과정에서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형판이 발견되면 그 형판에 해당되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입력되는 영상의 위치, 크기, 방위가 달라도 재인에 실패한다는 한계가 있다. ② 세부특징분석모형: 사물의 세부특징이나 형태소에 근거해 사물을 인하고 해석한다고 설명한다. 특정 대상이 가지고 있는 수직선이나 수평선, 곡선과 같은 단순한 기하하적 세부특징들에 대한 분석이 먼저 일어난다. 이 모형은 글자재인과 같은 제한된 영역에서의 형태재인 과정은 잘 설명하지만,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복잡한 대상 재인 과정 설명에 한계가 있다. ③ 원형 모형: 기억표상은 대상이 속한 범주의 원형을 말한다. 원형은 특정 범주에 속하는 대상들의 평균적인 특성들을 지닌 표상을 뜻한다. 이 모형은 입력된 영상과 원형이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대략적으로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따라서 각 대상에 대한 적은 수의 원형만 저장하고 있어도 형태 재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
1. 메멘토 영화 감상문메멘토는 독특한 구조와 스토리텔링으로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주인공 레오나르드의 기억상실증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이 뒤섞이는 비선형적 구조는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의 전개를 따라가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주인공의 심리와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복수와 정의에 대한 주인공의 갈등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메멘토는 전통적인 서사구조를 벗어나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형태재인 모형 비교형태재인 모형은 시각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마르 모형, 트레이스먼 모형, 그리고 스포어 모형 등이 있습니다. 각 모형은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서로 다른 단계와 메커니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마르 모형은 특징 추출, 형태 분석, 그리고 객체 인식의 단계를 제안하고 있으며, 트레이스먼 모형은 병렬 처리와 피드백 메커니즘을 강조합니다. 스포어 모형은 시각 정보 처리에서 주의 기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들을 통합하여 보다 포괄적인 시각 정보 처리 이론을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