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전기시설_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원리를 정리하시오.
본 내용은
"
소방전기시설_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원리를 정리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원리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신호발생장치인 감지기와 발신기에서 신호를 발산하면, 수신기는 화재와 위치 표시를 하고, 경보장치를 기동시키는 기기라고 볼 수 있다. 감지기는 화재시에 자동으로 신호를 발신하고, 버튼을 눌렀을 때 신호를 발신한다. 수신기는 신호를 받으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며, 화재와 위치 표시를 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를 감시하는 능력이 있기에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을 해야 하는 설비를 연동시켜서 작동시킨다.
-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호전송방식자동화재탐재설비는 신호전송방식에 따라서 공통신호방식인 P형과 고유신호방식은 R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P형 시스템은 각각의 경계구역마다 수신기와 감지기, 발신기간에 회로가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계전기가 작동하여 화재표시 등, 지구표시등, 경보장치와 연동이 되는 소방시설을 작동시킨다. R형 시스템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이 되면, 고유한 통신신호가 수신기에 발신이 되는 것이다.
-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원리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령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중요한 안전 시스템입니다. 이 설비는 주로 연기, 열, 불꽃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는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되어 경보음 발생, 소방 기관 통보, 소화 설비 작동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작동 원리를 통해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호전송방식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호 전송 방식은 화재 감지 센서에서 중앙 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있습니다. 유선 방식은 센서와 제어 장치를 직접 케이블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지만 설치와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무선 방식은 센서와 제어 장치 간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지만 전파 환경에 따른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무선 혼합 방식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호 전송 방식의 선택은 건물 환경, 예산, 안전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