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정현안_초광역 부울경 메가시티 조성
본 내용은
"
부산시정현안_초광역 부울경 메가시티 조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메가시티메가시티는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기능적으로 연결된 대도시권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경제규모를 갖춘 인구 1000만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말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도시권 구축을 위한 대대적 투자와 규제 완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도시 인프라 구축과 환경 이슈 간의 균형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2. 부산의 메가시티부산, 울산, 경남은 과거 대한민국 산업화의 전초기지이자 경제성장의 선봉장 역할을 했지만, 수도권 중심 발전으로 인해 성장잠재력이 약화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메가시티'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별연합 출범을 통해 정교하고 제도화된 협력을 하고자 한다. 세계적인 컨설팅사에서 부·울·경을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관문으로 평가하였으며, 세계경제를 선도하는 6번째 큰 메가시티로 소개하기도 했다.
-
3. 부·울·경 메가도시 사업부·울·경 특별연합은 '부·울·경, 동북아 8대 메가시티'를 비전으로 경제·생활·문화·행정 공동체를 만들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구상, 부-울-경 어디든 1시간 안에 이동할 수 있는 1시간 생활권, 외국인 관광객 1천만 명 이상 유치, 청년 인구 순유입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광역교통망 구축, 공항-항만-철도의 연결을 통한 물류혁신, 경제공동체 형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
1. 메가시티메가시티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와 주변 도시들이 하나의 거대한 도시권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메가시티는 경제적 규모의 확대, 인프라 및 서비스 공급의 효율성 제고, 다양한 문화 및 교육 기회 제공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메가시티 계획 시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부산의 메가시티부산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경남 일부 지역과 함께 부·울·경 메가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부산은 항만, 관광, 금융 등 다양한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어 메가시티로서의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 노령화, 산업 구조 변화 등의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산이 메가시티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등 종합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부·울·경 메가도시 사업부·울·경 메가도시 사업은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을 하나의 거대 도시권으로 통합하려는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인프라 공동 활용, 산업 클러스터 조성, 문화·관광 자원 연계 등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 간 균형 발전과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지역 간 이해관계 조정, 거버넌스 체계 구축, 재정 확보 등의 과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부·울·경 메가도시 사업은 지역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