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통사론_국어의 격조사에 대하여
본 내용은
"
국어통사론_국어의 격조사에 대하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주격 조사주격 조사는 말 그대로 체언이 주어가 되도록 하는 조사로서 대표적으로 '-이,-가, -께서, -에서'등이 있다. 체언의 말음이 자음일 때는 '-이'가 결합하고 모음일 때는 '-가'가 결합한다. '-께서'는 체언이 높임의 대상일 때 사용되며, 학교나 회사처럼 단체 무정명사가 체언일 때는 '-에서'가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가 아닌 대부분은 '-에서'는 부사격 조사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
2. 목적격 조사목적격 조사는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현하는 격조사로서, 대표적으로 '-을, -를'이 있다. 이 역시 주격 조사와 같이 체언의 말음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며, 받침이 없는 말 뒤에는 특수하게 'ㄹ'이 결합하기도 하는데, '너를=널', '나를=날'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그 예이다.
-
3. 보격 조사서술어 '되다, 아니다'앞에 오는 성분은 보어인데, 보격 조사는 체언이 문장 속에서 보어의 자격을 가지도록 하는 조사를 말한다. '되다, 아니다'만으로는 온전한 의미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이, -가'붙어 보격 조사의 역할을 하며 이는 주격 조사와 같은 형태이다.
-
4. 서술격 조사서술격 조사는 '-(이)다' 하나밖에 없는데, 다른 격조사들과 달리 모습을 달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연필이다, 연필입니다, 연필이군, 연필이야, 연필이었다'와 같이 다른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체언을 서술어로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
5. 관형격 조사관형격 조사는 앞의 체언이 뒤의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 하도록 하며, '-의'가 사용된다. 관형격 조사는 1인칭 대명사나 2인칭 대명사와 결합할 때 형태 변화가 일어나는데 '나의=내', '너의=네'로 표현될 수 있다.
-
6. 부사격 조사부사격 조사는 체언이 문장에서 부사어로서 자격을 가지도록 나타내는 것으로서 격조사 중 가장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에, -에서, -에게, -으로, -와/과, -보다' 등 장소나 방향, 비교, 도구, 인용 등 그 의미도 매우 다양하게 사용된다.
-
7. 호격 조사호격 조사는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되는 조사로서 체언의 말음이 모음이면 '-야', 자음이면 '-아'를 사용한다.
-
1. 주격 조사주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격 조사는 주어를 나타내며, 문장의 주체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격 조사는 '이/가'로 표현되며, 주어의 성격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학교에 갔다'에서 '나'는 주격 조사 '가'를 사용하여 주어임을 나타냅니다. 주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문법적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목적격 조사목적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목적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목적격 조사는 '을/를'로 표현되며,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명사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책을 읽었다'에서 '책'은 목적격 조사 '을'을 사용하여 동사 '읽다'의 목적어임을 나타냅니다. 목적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목적격 조사는 문장의 능동태와 수동태를 구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보격 조사보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보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보격 조사는 '이/가'로 표현되며, 서술어의 보어가 되는 명사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는 의사이다'에서 '의사'는 보격 조사 '이'를 사용하여 서술어 '이다'의 보어임을 나타냅니다. 보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보격 조사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서술격 조사서술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서술격 조사는 '이다'로 표현되며, 주어와 서술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학생이다'에서 '이다'는 서술격 조사로, '그'라는 주어와 '학생'이라는 서술어를 연결합니다. 서술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서술격 조사는 문장의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관형격 조사관형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수식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관형격 조사는 '의'로 표현되며, 명사를 수식하는 다른 명사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철수의 책'에서 '철수'는 관형격 조사 '의'를 사용하여 '책'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관형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관형격 조사는 문장의 소유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부사격 조사부사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부사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격 조사는 '에, 에서, 에게, 로, 으로' 등으로 표현되며,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어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 갔다'에서 '에'는 부사격 조사로, '학교'라는 장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사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부사격 조사는 문장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을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7. 호격 조사호격 조사는 한국어 문장에서 상대방을 부르는 역할을 합니다. 호격 조사는 '야, 아, 이여' 등으로 표현되며,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어 상대방을 호칭하는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철수야, 어디 가니?'에서 '야'는 호격 조사로, '철수'라는 상대방을 부르고 있습니다. 호격 조사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와 문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호격 조사는 상대방과의 관계와 존대 표현을 나타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국어 문법 <통사론> 분석 23페이지
통사론1.문장의 성분문장 성분과 성분의 재료1>문장 성분-문장을 구성하면서 일정한 구실을 하는 요소들(주성분, 부속성분, 독립 성분)cf> 주성분과 필수 성분과의 관계ㄱ.날씨가 어둡다.ㄴ.나는 서울 지리에 어둡다.문장의 성분에서 주성분(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은 문장을 이루는 골격이 되는 성분이다. 부속성분은 수의적 성분으로 문장의 기본 문형을 이루는데 없어도 된다. 그러나 서술어의 성격에 따라서 부속성분을 꼭 필요로 하는 것이 있으며, 이와 같은 부속성분이 빠지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 위 예문에서 ㄴ의...2024.01.06· 23페이지 -
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에 대한 고찰(논문 요약 및 비판) 4페이지
[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에 대한 고찰]♣ 과목명 : ♣ 담당교수 :♣ 제출일 : ♣ 학과·학년 :♣ 학번 : ♣ 제출자 :1. 연구 논문 요약11.1. 격조사11.2. 보조사11.3. 선어말어미11.4. 어말어미11.5. 통사와 의미21.6. 통사적 구성22. 연구 논문 고찰33. 참고 문헌31. 연구 논문 요약1.1. 격조사격조사에 대한 논의는 크게 의미에 대한 것, 통사 구조에 대한 것, 격조사 하위부류에 대한 것, 격조사 생략에 대한 것, 역사적 변화에 대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격조사에 대한 논의는 의미에 대한 것이 가장 ...2022.04.28· 4페이지 -
[한국외대] 국어문법론 과제2 (A+) 7페이지
국어문법론 2 과제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통사 의미적 기능1.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국어 문법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많은 논란이 있었고, 아직도 그 성격이 분명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문제가 바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에 대한 것이다. 많은 논의가 있으나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접근할 수 있다. 형태론적 관점과 의미론적 관점으로, 전자는 허웅의 인칭·대상 활용설이고, 후자는 이숭녕의 의도법설이다.인칭·대상 활용설은 형태론적 관점에서 ‘-오/우-’의 분석에 주목한다. 즉...2023.05.06· 7페이지 -
[A+ 과제 레포트 / 국어학개론] '이다'의 이상적 품사 8페이지
국어학개론‘이다’의이상적 품사과목명 :교수님 :학 과 :학 번 :이 름 :제출일 :국어학개론국어국문학과2013/04/30목차Ⅰ. 들어가며? ‘이다’의 쓰임과 서술격 조사로서의 한계Ⅱ. 펼치며? ‘이다’의 문법 범주에 대한 여러 견해1) 통사적 접사설2) 주격 조사설3) 기능 동사설4) 지정 형용사설? ‘이다’의 문법 범주에 대한 나의 견해Ⅲ. 맺으며? ‘이다’의 문법 범주 설정의 어려움Ⅳ. 참고문헌Ⅰ. 들어가며? ‘이다’의 쓰임과 서술격 조사로서의 한계한국어의 어휘 빈도를 말뭉치 중심으로 분석한 서상규에 의하면 4,200여만 어절의...2023.12.14· 8페이지 -
국어 문법 <형태론> 19페이지
형태론1.단어의 형성1.형태소형태소-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최소의 유의미적 단위)cf>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문제의존적으로 쓰인다면 의존명사나 관형사처럼 통사적 구조상으로 의존적으로 쓰이는 것들도 의존 형태소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형태소 개념을 이런 ‘통사론적’ 차원의 의존성은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형태론적’ 구성의 차원인 ‘단어 조어법’ 차원에서만 따지는 문제임을 분명히 전제하고 정의를 내려서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즉, “단어 구성시에 어떤 ...2024.01.01·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