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0세 11-12월 관찰일지, 일화기록
본 내용은
"
만 0세 11-12월 관찰일지, 일화기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3
문서 내 토픽
-
1. 기저귀 갈이영아의 기저귀가 젖었음을 확인한 교사가 '○○야 기저귀 갈아줄까?'라고 하자 '응'이라고 답한다. 이에 교사가 '○○ 기저귀 갈자~'라고 하니 '응'이라고 하며 교사에게 다가온다. 교사가 '뽀송뽀송한 기저귀를 얼른 갈아줄게 조금만 기다려주세요'라고 말하자 교사를 바라보며 검지 손가락을 건넨다. 교사도 손가락을 만지자 ??이가 미소를 보인다.
-
2. 식사엄마와 헤어짐 이후 울음을 보여 범보의자에 앉게 한뒤 오늘의 오전간식 메뉴인 사과를 소개하여 갈아 놓은 사과를 한 숟가락 떠서 입 가까이에 대자 입을 크게 벌린다. 교사가 '??이 배고파서 울었구나, 맛있는 사과를 갈아서 준비해 놓으셨단다. 한번 먹어볼까'라고 하며 주자 먹는다. 혀로 갈은 사과를 탐색하는 모습을 보이며 천천히 삼키는 모습을 보여 처음 떠 주었던 숟가락의 반 정도 줄여 다시 제공해 주니 조금씩 삼키며 섭식을 한다.
-
3. 수면낮잠전 장난감을 입으로 탐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집 에서 가져온 치발기를 손에 쥐어주며 탐색하도록 도와주니 치발기를 입으로 가져가며 탐색한다. 조금 후 이불위에서 깊이 잠이 든다.
-
4. 신체운동 및 의사소통놀이를 하다가 장난감을 입으로 탐색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이가 가져온 치발기를 손에 쥐어주며 탐색하도록 도와주니 치발기를 입으로 가져가며 탐색한다. 이후 친구가 ??이의 치발기를 가져가자 친구를 바라본다. 교사가 다가가 '친구야 이건 ??이거란다. 집에서 ??이 쓰라고 가져왔어요. 하며 ??이에게 돌려주자 교사를 바라본다.
-
5. 사회관계 및 자연탐구간식 섭식 후 교사가 ??이가 가져온 물을 건네며 '물 한번 먹어볼까?'라고 컵에 물을 따라 주니 입을 내민다. 물을 마시다가 옷에 조금 흘렸다. 교사가 닦아주며 '??이 아직 물을 마시는 법을 잘 몰라서 옷에 흘렸네, 선생님이 닦아줄게요'라고 하며 닦아주자 교사의 행동을 관찰한다.
-
6. 예술경험 및 의사소통친구가 마라카스를 흔드는 모습을 관찰한다. 교사가 ??이에게도 '이건 마라카스란다'하며 건네자 마라카스를 만진다. 교사가 '이렇게 흔들면 소리가 난단다.'라고 하며 흔들어주자 교사의 말과 소리에 눈을 맞추며 한참을 바라본다. 교사가 노래를 부르며 연주하자 엉덩이 팔과 다리를 흔들며 반응한다.'마라카스 흔드는 것 좋아하는구나. 선생님이 노래 불러 줄게 함께 연주해볼까?'라고 말하며 '짝짝꿍'노래를 들려주자 더 힘있게 흔드는 모습을 보인다.
-
1. 기저귀 갈이기저귀 갈이는 아기의 건강과 위생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정기적으로 기저귀를 갈아주는 것은 피부 발진, 감염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저귀 갈이 시 아기와의 스킨십을 통해 애착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기저귀 갈이 시 아기의 반응을 잘 관찰하고,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기저귀 갈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2. 식사아기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의 연령과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돌봐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식사 시간을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가족과 함께 가지는 것은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부모는 아기의 식습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한 식습관을 모범적으로 보여주어야 합니다. 아기의 개별적인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3. 수면충분한 수면은 아기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의 수면 패턴은 개인차가 크므로, 부모는 아기의 수면 리듬을 잘 관찰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수면 환경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조성하고, 일관된 수면 습관을 기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수면 시간 외에도 아기와 충분한 상호작용을 하여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아기의 수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
4. 신체운동 및 의사소통아기의 신체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신체 활동과 상호작용이 필요합니다. 부모는 아기의 발달 단계에 맞는 놀이와 활동을 제공하여 근육 발달, 균형감, 협응력 등을 증진시켜야 합니다. 또한 아기와의 지속적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기는 자신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부모는 아기의 발달 상황을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필요 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
5. 사회관계 및 자연탐구아기의 사회성 발달과 자연에 대한 호기심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과 자연 탐구 활동이 필요합니다. 부모는 아기와 함께 가족, 친구, 이웃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자연 환경에서의 탐험과 관찰 활동을 통해 아기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기는 타인과의 상호작용 능력과 자연에 대한 이해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기의 발달 단계와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사회적 경험과 자연 탐구 활동을 제공해야 합니다.
-
6. 예술경험 및 의사소통아기의 창의성과 감성 발달을 위해서는 다양한 예술 경험이 필요합니다. 부모는 아기와 함께 노래, 음악, 미술, 연극 등의 활동을 통해 아기의 예술적 감수성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기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고,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예술 활동은 아기의 집중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 등 다양한 능력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부모는 아기의 흥미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예술 활동을 제공하고, 아기의 창의적 표현을 격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