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 질환
본 내용은
"
치과 질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3
문서 내 토픽
-
1. 치아 구조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은, 치수, 치주막, 치근, 치근관, 치조골 등 많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2. 치과 질환치과 질환에는 충치, 사랑니, 돌출입, 이갈이, 매복치, 구내염, 구내혈종 등이 있습니다.
-
3. 충치충치는 정식 명칭이 치아우식증이며, 치아 자체가 썩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인은 치아에 산성 물질이 침투해 치아를 썩게 하는 것, 잘못된 양치습관, 치석 방치 등이며, 증상으로는 이가 시림, 찬 음식과 뜨거운 음식에 자극, 염증이 발생합니다. 치료는 경우에 따라 신경치료와 임플란트를 할 수 있습니다.
-
4. 사랑니사랑니는 가장 뒤에 난 어금니를 가리키는 말이며, 사랑과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증상으로는 염증으로 인한 두통, 음식물이 치아에 낌, 이가 시림 등이 있으며, 발치 시기는 사랑니의 뿌리가 전체의 3분의 1, 전체의 3분의 2정도 형성된 시기로 되도록 30세 이전, 심하기 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랑니가 일으킬 수 있는 문제로는 충치, 주변 치아 손상, 뼈 손실, 치아 손실 등이 있습니다.
-
5. 돌출입돌출입은 얼굴을 옆으로 봤을 때, 코끝이나 턱 끝에 비해 입이 앞으로 튀어 나온 상태를 말하며, 원인은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치아가 돌출, 잇몸뼈가 돌출, 치아와 잇몸뼈 모두가 돌출된 경우 등이 있으며, 치료는 교정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6. 이갈이이갈이는 특별한 목적 없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갈아대는 행위를 말하며, 원인은 스트레스, 수면장애, 알코올 중독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이를 가는 것으로 인해 주변 조직과 턱에 통증이 발생하며, 치료는 치과 교정, 부목과 마우스가드, 스트레스 자제, 보톡스 주사 등이 있습니다.
-
7. 매복치매복치는 매몰치라고도 하며, 정상 붕출 시기(잇몸 위로 치아가 나오는 시기)가 지나도 구강 내로 나오지 못하고 잇몸이나 턱뼈 안에 남아 있는 치아를 말합니다. 원인은 유치의 충치로 인해 치열이 무너지면서 영구치가 나올 공간이 없는 경우, 약골의 크기와 치아 크기 균형이 맞지 않아 영구치가 나올 자리가 부족한 경우, 잇몸뼈 속에 치아가 잘못된 방향으로 자란 경우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매복치를 방치할 경우 주변 조직에 염증이 발생, 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매복치가 생기면 심하기 전에 발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8. 구내염구내염은 원인균이 알려진 감염에 의하거나 또는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 입 안 점막(치아 주위 잇몸, 볼이나 입술 안쪽 점막, 입천정의 구개점막, 혀와 주변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은 피로감,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입안이 따갑고 화끈거림, 음식을 먹을 때 통증, 입 안에서 냄새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항진균제, 항생제 등 약물 치료와 전기 소작술, 냉동요법 시행 등이 있습니다.
-
9. 구내혈종구내혈종은 구강 점막 내부로의 출혈이 점막을 부풀어 오르게 해 외부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은 물리적인 충격 또는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입안이 뜨겁게 느껴짐, 입을 벌리기 힘듭니다. 관련 질환으로는 헤르페스 감염, 신부전, 혈소판 감소증, 당뇨, 비타민 결핍, 구강암 등이 있으며, 치료는 특별한 조치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상처 부위를 함부로 터트릴 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전문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
1. 치아 구조치아는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아는 크게 치관, 치근, 치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관은 치아의 가장 윗부분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이며, 치근은 치아를 잇몸 속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치수는 치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신경과 혈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치아 구조는 음식물을 씹고 소화하는 데 필수적이며, 발음과 외모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치아 건강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강 관리와 치과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치과 질환치과 질환은 매우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것이 바로 충치입니다. 충치 외에도 잇몸 질환, 치아 마모, 치아 변색, 구강암 등 다양한 질환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대부분 구강 위생 관리 소홀, 부적절한 식습관,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치과 질환은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점점 악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구강 검진과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3. 충치충치는 가장 흔한 치과 질환 중 하나입니다. 충치는 치아 표면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생기는 것으로, 세균이 치아에 달라붙어 산을 생성하면서 발생합니다. 충치가 진행되면 치수까지 도달하여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충치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칫솔질, 치실 사용, 불소 함유 치약 사용, 정기적인 치과 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설탕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충치가 발생하면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사랑니사랑니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나오는 치아입니다. 사랑니는 보통 사람들의 경우 18세에서 25세 사이에 나오게 됩니다. 사랑니는 다른 치아에 비해 공간이 부족하여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고 매복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자라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주변 치아에 압박을 주거나 통증, 감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랑니 문제가 발생하면 치과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랑니 발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5. 돌출입돌출입은 상악 전치부가 과도하게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유전적 요인, 습관적 손가락 빨기, 부적절한 턱 성장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돌출입은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발음, 저작, 구강 위생 관리 등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돌출입이 발견되면 조기에 교정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정 치료를 통해 치아의 위치를 바로잡고 안모 개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미적, 기능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6. 이갈이이갈이는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이를 가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갈이는 스트레스, 수면 장애, 교합 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갈이로 인해 치아 마모, 턱관절 통증, 두통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갈이 예방을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수면 위생 개선, 교합 조정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야간 장치 착용 등의 치료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갈이가 지속되면 치아와 턱관절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7. 매복치매복치는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하지 못하고 잇몸 아래나 다른 치아 사이에 갇혀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매복치로는 사랑니, 견치, 제2소구치 등이 있습니다. 매복치는 주변 치아에 압박을 주거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합니다. 매복치 치료는 외과적 발치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 시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복치 치료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구내염구내염은 입 안의 점막이 붉게 부어오르고 통증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구내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바이러스, 세균, 화학물질, 면역 체계 이상 등이 있습니다. 구내염은 음식 섭취와 말하기를 어렵게 만들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구내염 예방을 위해서는 구강 위생 관리, 스트레스 관리, 균형 잡힌 식단 섭취 등이 도움이 됩니다. 구내염이 발생하면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와 함께 원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구내염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9. 구내혈종구내혈종은 입 안의 점막에 생긴 피멍을 말합니다. 주로 외상, 약물 부작용, 혈액 응고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구내혈종은 통증, 출혈, 부종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심한 경우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내혈종 예방을 위해서는 구강 외상 방지, 약물 부작용 관리, 혈액 질환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구내혈종이 발생하면 출혈 조절, 감염 예방, 통증 관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간단한 처치로 치유되지만,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치과위생학개론1. 치과위생학의 개념과 역할 치과위생학은 치과 진료에서 예방과 치료, 보건교육 등의 분야에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학문입니다. 치과위생사는 치과 의사와 함께 진료를 수행하며, 환자의 구강 건강과 위생에 대한 교육 및 상담, 구강 내부와 외부의 질병 예방 및 치료, 구강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치아와 구강의 해부학 치아는 하나의 조직으로 이루...2025.05.05 · 의학/약학
-
치아장애1. 치태 치태는 치아에 달라붙는 일종의 끈끈한 다당 단백질 기질 안에 백혈구와 대식세포 및 상피세포들이 흩어져 증식하는 세균의 부드러운 덩어리이다. 치태는 투명하고 색이 없으며 기계적 세척으로만 제거 가능하다. 식사 후 세균의 효소가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용해시키고, 침과 약간의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치태를 생성한다. 2. 치아우식증 치아우식증은 입 안에 ...2025.01.15 · 의학/약학
-
치과의사의 미래전망과 나1. 치과의사의 미래전망 치과의사의 미래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구 증가와 고령화로 인해 치아 관리와 치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고령 인구의 증가는 구강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 치과 건강 관리에 대한 보험 가입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들도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2025.01.13 · 의학/약학
-
급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사례 연구1. 급성 심내막염 환자는 발열, 오한, 전신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급성 심내막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감염 원인균은 Streptococcus sanguinis로 확인되었습니다. 항생제 치료와 함께 전반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2. 치과 시술과 감염 위험 환자는 이전에 치과 시술을 받은 적이 있으며, 이로 인한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치과 시술 시...2025.01.29 · 의학/약학
-
디지털치료제의 활용원리_탐구보고서_의학(세특)1. 디지털치료제 디지털치료제는 질병 또는 장애를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직접 적용되는 근거기반의 소프트웨어 제품입니다. 기존 의료기기와 다르게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의료기기의 사용 목적에 부합한 기능을 가지며 독립된 형태의 소프트웨어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디지털치료제는 신경정신과 질환, 만성질환 등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2025.01.12 · 의학/약학
-
직업병, 직업병종류, 치위생사직업병, 치위생사1. 직업병 직업병이란 작업 환경 중에 노출되는 유해 화학물질, 물리적 인자 또는 생물학적 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또한, 반복되는 단순 작업으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근육, 혈관, 관절,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손가락, 손목, 어깨, 목, 허리 등의 만성적인 통증과 감각 이상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직업병으로 직업 관련...2025.01.12 · 의학/약학
-
전신질환환자에 따라 달라지는 치과진료 23페이지
전신질환심혈관계 질환 내과 질환 감염성 질환심혈관계 질환90% 동맥경화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 가슴 통증이 생기며 심장기능 저하 안정형과 불안정형 협심증병력 확인 짧은 치료시간 오전으로 예약 스트레스 조절 1:10 만 포함 국소마취제를 서서히 적용 혈관수축제는 금지 치료 전 Diazepam 을 투여 협심증 발생시 nitroglycerin 투여 불안정형 협심증환자와 치료받지 않은 협심증 환자는 치료 금지 협심증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 고혈압은 심혈관질환 , 뇌졸증 및 신장질환의 주요한 위험인자이다 . 140/90mmHg 이상 올라...2022.01.01· 23페이지 -
치과위생사가 잘 걸리는 질환 (치위생과 레포트) 6페이지
수원과학대학교치위생과1학년 C반202071032김현아1.치과위생사가 잘 걸리는 질환-거북목 증후군이란?-거북목 증후군의 원인-거북목 증후군의 해결방안2.치과위생사가 운동이 필요로 하는 이유-치과위생사의 일과-치과위생사가 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 일어나는 일-치과위생사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1.치과위생사가 잘 걸리는 질환-거북목 증후군이란?거북목 증후군이란 잘못된 자세로 인해 목,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이 생기는 증상을 의미한다. 평소 컴퓨터 모니터를 많이 보는 사람, 특히 낮은 위치에 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는 사람에게 많이...2020.09.16· 6페이지 -
결핵환자의 치과내원 21페이지
결핵 구강질환과 전신질환 치위생학과01 결핵의 정의 02 결핵의 발생과 증상 03 결핵의 진단 04 치료 및 예후 INDEX 05 구강과 관련성 06 환자 CASE01 결핵의 정의 결핵 Tuberculosis, tuberculosis 폐를 비롯한 장기가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 으로 결핵균의 의한 만성감염증 Mycobacterium tuberculosis: 간균의 일종 , 약간 구부러진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 , 균체 평균 길이는 1~6㎛, 폭은 0.3~0.5㎛ [ ] 결핵균은 숙주 몸속 영양분을 이용해 매우 천천히 증식 -...2024.08.01· 21페이지 -
[치과실장자료] 치과신입교육용 PPT 심화(전공자, 비전공자 동시교육가능) 188페이지
신입 교육자료 000 치과 000목차 1. 구강 , 치은 , 치아의 구조와 치아의 형태 , 명칭 , 표기법 2. TBI 교육 3. 방사선 촬영 4. 기본기구 5. 예방치료 6. 마취 7. 치주치료 8. 보존치료 9. 근관치료 10. 발치 11. 소독및멸균 000 치과 000구강 , 치은 , 치아의 구조와 치아의 형태 , 명칭 , 표기법 000 치과 000구강의 구조 000 치과 000구강의 구조 000 치과 000치은의 구조 치은 치조골을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이다 . 유리치은 ( 변연치은 ) : 1~2mm 정도 폭이 있다 . 부착치...2022.07.24· 188페이지 -
.치과위생학개론 3페이지
Chapter 1: 치과위생학의 개념과 역할1.1. 치과위생학의 개념치과위생학은 치과 진료에서 예방과 치료, 보건교육 등의 분야에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학문이다. 이 학문은 치과 위생사가 담당하며, 구강 내부와 외부의 질병 예방 및 관리, 구강 보건 교육, 환자 관리 등을 다룬다.1.2. 치과위생사의 역할치과위생사는 치과 의사와 함께 진료를 수행하며, 환자의 구강 건강과 위생에 대한 교육 및 상담, 구강 내부와 외부의 질병 예방 및 치료, 구강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치과위생사는 치아 및 구강 질환의 진단, 치료...2023.04.10·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