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
본 내용은
"
[화학공학실험]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3
문서 내 토픽
-
1. 막분리 공정실험을 통해 역삼투막을 이용한 무기물(NaCl) 분리 공정을 이해하고, 막분리 공정의 원리와 특성을 학습하였다. 막분리 공정은 압력차, 농도차, 온도차를 구동력으로 하여 막을 이용해 물질을 분리, 정제, 농축하는 단위 조작이다. 역삼투 공정은 막분리 공정의 일종으로, 역삼투 현상을 이용해 상온에서 용매를 분리하는 공정이다. 역삼투막은 공경이 약 10Å 내외이고 세공이 거의 없는 비다공성막으로, 유기고분자 micelle 사이의 간격을 통해 물질 투과가 이루어진다.
-
2. 막 성능 평가역삼투 공정에서 막 성능은 배제도, 투과량, 농축도로 평가할 수 있다. 배제도는 원수로부터 용질을 제거한 정도, 투과량은 시간당 막을 통과하는 유체의 부피, 농축도는 용질이 막을 투과하지 못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들 지표를 통해 막의 분리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3. Pusch의 선형모델배제도 R과 투과량 Jv는 선형화하여 1/R = A + B/Jv 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Pusch의 선형모델이라 한다. A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막의 성능이 우수하며, B 값이 작을수록 배제도가 높은 막이다. 이 모델을 통해 막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1. 막분리 공정막분리 공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물질 분리, 농축, 정제 등의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이 공정은 반투과성 막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질을 분리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에너지 효율성, 운전 편의성, 환경 친화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막 소재와 모듈 설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막분리 공정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막의 오염, 막 수명, 에너지 소비 등의 문제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막분리 공정의 경제성 및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정 최적화, 운전 자동화, 유지보수 기술 등의 개선이 요구됩니다.
-
2. 막 성능 평가막 성능 평가는 막분리 공정의 설계, 운전, 최적화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막의 투과도, 선택도, 내구성, 내오염성 등의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여 공정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실험적 평가 기법과 모델링 기술이 개발되어 막 성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공정 조건과 실험 조건의 차이, 막 오염 및 파울링 현상, 스케일업 시 문제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공정 환경을 고려한 실험 설계와 데이터 분석, 모델링 기술의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온라인 모니터링 및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막 성능 평가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Pusch의 선형모델Pusch의 선형모델은 막분리 공정에서 투과 유속과 구동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모델 중 하나입니다. 이 모델은 막의 투과도, 선택도, 농도 분극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막분리 공정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단순한 선형 관계식으로 표현되어 계산이 용이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점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공정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Pusch 모델만으로는 정확한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Pusch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고, 실험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기계학습 등의 데이터 기반 모델링 기술을 접목하여 보다 정교한 예측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화학공학실험 A+]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 8페이지
실험제목예비 Report막분리 공정 실험2022년반조실험목적역삼투막을 이용해 무기물(NaCl)을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공정 중 막분리법을 이해하고 실험장치의 사용법을 숙지한다.학번성명기기 및 초자1) 공정 흐름도(Batch flow diagram)2) 밸브 및 온도 센서와 압력계T _{1}: Memebrane inlet thermo sensorT _{2}: Permeatethermo sensorT _{3}: Concentrate thermo sensorP _{1}: Low pressure gageP _{2}: High p...2022.09.18· 8페이지 -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 보고서 6페이지
① 막(Membrane) : 두 개의 상을 나누는 경계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의 투과를 제어하는 기능이 있고, 두 상의 물질의 농도가 다를 때 물질의 혼합을 피해 농도차를 유지하여 비평형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막을 이용하여 물질의 분리가 가능한 것은 물질에 따라 막을 통한 이동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② 막의 분류• 세공막(macroporous membrane) : 구멍의 지름이 0.1~10μm정도이고 분자크기가 매우 큰 거대분자나 콜로이드, 미세입자등을 분리하는데 이용되는 막이다. 이 막은 이온이나 물 같은 용매를 쉽게...2022.05.04· 6페이지 -
[화학공학실험 보고서 만점]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 5페이지
실험제목 막분리 공정 실험실험목적역삼투막을 이용해 무기물(NaCl)을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공정 중 막 분리법을 이해하고 실험장치의 사용법을 숙지한다.기기 및 초자[기기 및 초자]1) 공정 흐름도(Batch flow diagram)2) 밸브 및 온도 센서와 압력계T1: Membrane inlet thermo sensorT2: Permeate thermo sensorT3: Concentrate thermo sensor2025.03.12· 5페이지 -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 보고서 6페이지
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1막분리 공정 실험 예비보고서화학공학과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Seoul 06978, Republic of KoreaE-mail: chanmyeong9812@gmail.com2021-04-051. Purpose역 삼투압을 이해하고, 역삼투압 막을 이용하여 NaCl의 농도와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전도도와 유량을 측정하여 농축도를 계산해보고, 직접 Pusch 선형모델을 plot 해본다. 이를 통하여 농도및 압력과 배제율과 투과유량의 ...2021.06.28· 6페이지 -
일반화학실험 PDMS 미세접촉 인쇄 예비 보고서 6페이지
PDMS 미세 접촉 인쇄 예비 보고서1, 실험 제목 : PDMS 미세 접촉 인쇄2. 실험 목적 : PDMS 고무를 이용하여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미세접촉(microcontact) 전사 실험을 수행한다.3. 실험 주차 : 9주차4. 실험 이론[PDMS]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또는 디메티코네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실리콘이라고 하는 폴리머릭 오가노실리콘 화합물군에 속한다. 실리콘 고분자는 고분자 주사슬에 탄소를 갖고있지 않은 무기 고분자이다. 각각의 규소분자에는 두개의 알킬 기가 결합되어 있다. 특히 메틸기로 치환되...2022.08.0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