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문서 내 토픽
  •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분만 후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조기 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후기 산후출혈은 출산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까지 발생하는 출혈이다.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이완, 산도열상, 잔류태반, 산후혈종, 자궁파열, 태반부착부위 이상, 혈액응고장애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과도한 출혈, 마사지에 반응하지 않는 물렁물렁한 자궁, 비정상적인 혈괴, 상승된 자궁저부 높이, 맥박 상승 및 혈압 감소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출혈량 확인, 자궁 검진, 질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한다. 치료로는 자궁충전술, 동맥색전술, 자궁동맥 결찰술, 자궁 압박 봉합술, 자궁적출술 등의 외과적 중재와 약물요법, 수액요법 및 혈액보충 등의 간호중재가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 위축 부전, 자궁 내 잔류물, 자궁 파열, 자궁경부 또는 질 열상 등이 있습니다.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출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 시 수혈, 자궁 수축제 투여, 자궁 압박 등의 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산후출혈 예방을 위해 산전 관리, 분만 중 관리, 분만 후 관리 등 산모 관리 전반에 걸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산후출혈은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의료진의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여성간호학실습]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산후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3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