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성 신부전 ARF 인수인계
본 내용은
"
급성 신부전 ARF 인수인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9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급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요량 감소, 부종, 피로감, 오심, 구토 등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저혈량성 쇼크, 약물 부작용, 급성 신장 손상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 치료, 수액 공급, 투석 등이 필요합니다.
-
2. 요중 Na+요중 Na+ 농도는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요중 Na+ 농도가 낮은 경우 신장 내 Na+ 재흡수가 증가한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한 보상 기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3. 요비중요비중은 신장 기능을 반영하는 지표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요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신장의 농축 능력이 저하되어 요 삼투압이 증가한 것을 의미합니다.
-
4. 혈중 K+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K+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신장의 K+ 배설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며, 심각한 고칼륨혈증은 심장 부정맥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5. 혈중 Ca++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Ca++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신장의 Ca++ 재흡수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저칼슘혈증은 신경근 흥분성 증가,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6. 혈중 HCO3-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HCO3-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신장의 산-염기 조절 기능 저하로 인한 대사성 산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
7. 혈중 BUN, Creatinine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BUN과 Creatinine 농도가 증가합니다. BUN과 Creatinine은 신장 기능을 반영하는 지표로, 이들 수치 증가는 신장 기능 저하를 나타냅니다.
-
8. CRP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CRP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CRP 상승은 신장 손상에 동반된 염증 반응을 의미하며, 감염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9. I/O 모니터링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수분 균형 유지가 중요하므로, 입원 중 I/O 모니터링을 통해 수분 섭취와 배출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요량 감소는 신장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입니다.
-
10. 치료급성 신부전 치료를 위해 수액 공급,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교정, 요독 물질 제거 등의 보존적 치료와 더불어 필요 시 혈액 투석 등의 신대체 요법이 시행됩니다. 또한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
1.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급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악화되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장 손상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급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체내 수분, 전해질, 산-염기 균형 등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신부전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장 기능 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2. 요중 Na+요중 Na+ 농도는 신장의 Na+ 재흡수 능력을 반영하는 지표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요중 Na+ 농도가 낮은 경우 신장의 Na+ 재흡수가 증가한 상태로, 저용량 이뇨제 투여나 체액 부족 상태를 시사합니다. 반면 요중 Na+ 농도가 높은 경우 신장의 Na+ 재흡수 능력이 저하된 상태로, 고용량 이뇨제 투여나 신장 실질 손상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중 Na+ 농도 모니터링은 급성 신부전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요비중요비중은 요 내 고형물의 농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신장 기능 평가에 유용합니다. 정상 요비중은 1.003-1.030 범위이며, 이는 신장이 적절한 농축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급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요비중이 낮게 측정되는데, 이는 신장의 농축 능력 저하를 나타냅니다. 요비중이 낮은 경우 탈수, 신장 실질 손상, 저알부민혈증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요비중 모니터링은 급성 신부전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4. 혈중 K+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K+ 농도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합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K+ 배설이 감소하면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칼륨혈증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혈중 K+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로는 K+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산-염기 균형 교정, 투석 등이 있습니다. 혈중 K+ 농도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임상 증상 및 심전도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
5. 혈중 Ca++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Ca++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Ca++ 배설이 감소하면 고칼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신장 손상으로 인한 활성 비타민 D 생성 감소와 인산 배설 감소로 저칼슘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혈중 Ca++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로는 Ca++ 섭취 조절, 비타민 D 투여, 인산 결합제 투여 등이 있습니다. 혈중 Ca++ 농도 변화에 따른 임상 증상 및 다른 전해질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
6. 혈중 HCO3-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HCO3-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H+ 배설이 감소하면 대사성 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신장 손상으로 인한 HCO3- 배설 감소로 대사성 알칼리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혈중 HCO3-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로는 중탄산나트륨 투여, 산-염기 균형 교정 등이 있습니다. 혈중 HCO3- 농도 변화에 따른 임상 증상 및 다른 전해질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
7. 혈중 BUN, Creatinine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중 BUN(Blood Urea Nitrogen)과 Creatinine 농도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지표는 신장 기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신장 기능 저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BUN과 Creatinine 농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수액 공급, 이뇨제 투여, 투석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UN과 Creatinine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장 기능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CRP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CRP(C-Reactive Protein) 수치 모니터링은 감염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급성 신부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 감염이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CRP는 감염이나 염증 반응이 있을 때 상승하는 지표이므로, CRP 수치 변화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CRP 수치 모니터링은 감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I/O 모니터링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I/O(Input/Output)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합니다. I/O 모니터링을 통해 체액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수액 치료 방향 결정에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급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체액 조절 능력이 저하되므로, 정확한 I/O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과다 수액 투여로 인한 부종이나 부전 수액 투여로 인한 탈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I/O 모니터링은 필수적인 관리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0. 치료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는 신장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신부전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체액, 전해질, 산-염기 균형 등의 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적절한 수액 및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한 경우 투석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신장 보호를 위한 조치들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는 복합적이며, 환자의 상태와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장 기능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급성신부전(ARF) A+ CASESTUDY (신기능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활동량감소와 관련된 변비) 33페이지
(1) 간호력(Nursing History)? 이 름(Name) : 오OO 성(Sex) : 남? 나 이 (Age) : 81? 입원일시(Date of Admission) : 2020-01-11? 진단명( Medical Diagnosis) : 급성신부전(ARF)? 결혼여부 : 기혼? 교육정도 : 알 수 없음? 과 거 력 : 고혈압, 파킨슨, 간경화, 요관결석, 전립선비대, 출혈성 뇌혈관 질환(ICH), TA에 의한 대퇴골절? 발 병 일 : 2019-01-11? 질병진행과정(Process of Disease) : 상기환자 입원 2~3일 ...2020.09.10· 33페이지 -
급성신부전 CASE STUDY, 인수인계하듯 정리해두었습니다. 급성 신부전 시 check 하여야 할 수치들만 뽑아서 인수인계하듯 정리해두어서 발표하기 편하실거에용 시간 흐름에 따라서도 정리해 두었습니다 실제로 발표했을때 교수님께서 신규간호사처럼 인계준다고 칭찬해주셨습니다. 3페이지
기본간호학 인수인계병동 : 1456호이름 : 정00 ( M, 60세 )진단명 : Acute renal failure ( 급성 신부전증, ARF )C.C : Lt Flank pain, dysuria 호소입원날짜 : 2019. 02. 26입원 동기 : 상환 상기일로부터 상기 증상 지속되어 외래 통해 입원함.내원시 V/S : 140/100 ? 36.4 ? 73회 ? 18회 ? room air spo2 96 checked과거력 : 2017년 HTN 진단 (기장병원) - 현재 PO 복용 중2019년 1월 임플란트로 치료기간 내 PO 복용 (...2019.09.08· 3페이지 -
간호관리학실습 인수인계보고서 11페이지
간호관리학 실습 인수인계 보고서목차1. 인수인계대상자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2. 환자 인수인계3. 검사결과4. 약물조사인수인계대상자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주병명 한가지)만성신부전1. 정의만성 신부전은 nephron의 계속적인 손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신기능의 장애가 초래되어 GFR이 비가역적으로 감소되는 것이다.*만성 신질환 분류만성신부전은 신원의 수와 기능이 지속적으로 소멸되는 만성신질환 3-5단계에 적용된다.말기 신질환(ESRD)은 독소, 수분, 전해질 등 신장으로 배설되는 물질들이 축적되어 요독증상이 발생하는 만성신질환 단계로 요...2023.12.03· 11페이지 -
간호관리학실습A+ 업무수행관찰보고서 6페이지
업무수행 관찰보고서실습기간 : 2019. 11.18 -11.22실습기관 : ( )병원 ( )병동----------------------------------------------------------------1. 실습단위의 특성1) 병동의 특성(병동구조, 환자특성, 병동사진-업무증진관련게시물, 포스터 등)- ER은 병원 2동 1층에 위치하고 있음. 병원 출입문(main)으로 들어왔을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 맨 끝에 위치 해 있고 옆문으로 오면 바로 위치하고 있음. 구급차를 타고 오는 경우 내리면 응급수납 하는 곳을 지나면 바로 위치...2020.02.24· 6페이지 -
APN 케이스 22페이지
Ⅰ. 서론1) 응급실 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1) 일반적 사항성명: 이 # #성별: F연령: 76병록번호: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전화번호: 010-###내원일시: 2018-08-16-16:38내원경로: 외부에서 전원내원수단: 기타 구급차내원 시 동반자와 환자와의 관계: 남편직업: 무직진단: 1. APN(Acute pyelonephritis)2. ARF(Acute renal failure)(2) 대상자 건강문제와 관련된 관계문헌 고찰1) 정의콩팥은 아래쪽 배의 등쪽에 쌍으로 위치하며 노페물을 배설하고 산염기 및 전해질 대사...2018.10.30·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