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재무비율 분석
본 내용은
"
분석대상기업을 개별적으로 선정한 후, 분석대상 기업의 재무제표를 수집·활용하여 학습교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8
문서 내 토픽
  • 1. 유동성 비율
    현대자동차의 유동성 비율은 2021년 83.0, 2020년 85.9로 나타났습니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것에 100을 곱해서 산출하며, 이는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200% 수준이 적정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대자동차의 유동성 비율은 이보다 낮은 편입니다. 또한 당좌비율은 2021년 64.9, 2020년 66.9로 나타났습니다.
  • 2. 효율성 비율
    현대자동차의 총자산회전율은 2021년과 2020년 모두 0.5로 나타났습니다.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자산 활용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1.5 이상이 적정한 수준으로 여겨집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이 수치가 낮은 편입니다. 총부채회전율은 두 해 모두 0.8을 기록했고, 총자본회전율은 2020년 1.4, 2021년 1.5를 기록했습니다.
  • 3. 수익성 비율
    현대자동차의 매출액 증가율은 2020년 -1.7%, 2021년 13.1%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했다가 2021년 경기 회복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ROA는 2021년 2.6, 2020년 1.0이었고, ROE는 2021년 6.8, 2020년 2.0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ROIC, EBITDA 마진율, 영업이익률, 세전계속사업이익률 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4. 성장성 비율
    현대자동차의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은 2020년 14.5%, 2021년 -5.2%로 나타났습니다. 영업이익증가율은 2020년 -33.6%, 2021년 178.9%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2020년 세타2 GDi 엔진 결함에 따른 일회성 품질 비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EBITDA 증가율은 2020년 -11.5%, 2021년 70.7%로 나타났고, EPS 증가율은 2020년 -52.2%, 2021년 247%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기업의 단기적인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단기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유동성 비율은 자금 운용의 비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 유동성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은 유동성 비율을 적절히 관리하여 단기 지급능력을 확보하면서도 자금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 2. 효율성 비율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과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자산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효율성 비율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이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특히 자산 회전율, 자본 회전율 등의 세부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여 자산과 자본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3.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장기적인 성과와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효과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은 수익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여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특히 매출 총이익률,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등의 세부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여 수익 창출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4. 성장성 비율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미래에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은 성장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여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특히 매출 증가율, 자산 증가율, 자본 증가율 등의 세부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여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