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대상 기업의 재무제표를 활용하여 재무비율분석을 수행하시오
본 내용은
"
분석대상 기업의 재무제표를 활용하여 재무비율분석을 수행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8
문서 내 토픽
  • 1. 카카오의 최근 재무제표
    카카오는 올해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재계서열 12위의 기업이고, 시가총액 역시 꾸준하게 5위 안에 드는 기업이다. 자회사로는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있으며,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중인 기업이다. 카카오의 2021년 연간 매출은 2020년 대비 48% 늘어난 6조 1,361억 원을 기록하였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969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9.7%를 기록했다.
  • 2. 카카오의 성장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매출액 증가율은 2021년에는 47.6이었고 2020년에는 35.4였다.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은 2021년에는 49.7이었고 2020년에는 29.3이었다. 영업이익증가율은 2021년에는 30.5였고 2020년에는 120.5였다. EBITDA 증가율은 2021년에는 34였으며, 2020년에는 69.7이었다.
  • 3. 카카오의 수익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매출총이익률의 경우 2020년과 2021년 모두 동일하게 100을 기록하였다. 세전계속사업이익률의 경우 2020년에는 10이었으며 2021년에는 37.4였다.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2020년에는 11이었고 2021년에는 9,7을 기록하였다. EBITDA마진율은 2020년에는 17.4이었고 2021년에는 15.8이었다. ROA는 2020년에는 1.7이었고 2021년에는 9.5였다. ROE는 2020년에는 2.7이었고 그 다음해에는 17.1이었다. ROIC의 경우 2020년에는 8이었고 2021년에는 11.5였다.
  • 4. 카카오의 활동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총자산회전율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0.4를 기록하였다. 총자본회전율은 2020년과 2021년 동일하게 0.6이었다. 이전 두 해의 총자본회전율 역시 0.5로 고정이 되어 있다.
  • 5. 카카오의 시장가치 비율 분석
    현재 카카오가 속한 인터넷 서비스업 분야의 PER은 8.85이다. 카카오의 PER은 26.5이다. 카카오의 EPS는 2021년 3,132였고 2020년에는 353이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카카오의 최근 재무제표
    카카오의 최근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광고 및 커머스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사업부문의 수익성이 다소 낮은 편이며, 신규 사업 진출에 따른 투자 부담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카카오가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고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 카카오의 성장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성장성 비율을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자산 증가율 등이 모두 높은 편이며, 이는 카카오가 모바일 플랫폼 및 콘텐츠 사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최근 커머스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어 향후 이 부문의 기여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일부 신규 사업의 경우 아직 성과가 미흡한 편이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관리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카카오의 수익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수익성 비율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입니다.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이 모두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는 카카오가 모바일 광고 및 커머스 부문에서 높은 수익성을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일부 신규 사업의 경우 아직 수익성이 낮은 편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최근 인건비 및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다소 하락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관리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4. 카카오의 활동성 비율 분석
    카카오의 활동성 비율을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등이 모두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광고 및 커머스 부문의 자산 회전율이 높은 편이며, 이는 해당 사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신규 사업의 경우 아직 활동성이 낮은 편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카카오의 시장가치 비율 분석
    카카오의 시장가치 비율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이 모두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어 투자자들이 카카오의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카카오가 모바일 플랫폼 및 콘텐츠 사업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최근 주가 변동성이 다소 높은 편이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