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sim_Kenneth Bronson 간호과정(문헌고찰, 간호과정3개)
본 내용은
"
[A+] vsim_Kenneth Bronson 간호과정(문헌고찰, 간호과정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8
문서 내 토픽
  • 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이다.
  • 2. 폐렴의 원인
    정상 방어기전 손상_공기 여과, 흡인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섬무 청결작용, lgA와 lgG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작용에 손상이 오면 폐렴이 발생한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며, 흡연이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이고 폐렴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 3.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이 발생하면 감염부위로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확장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며 호중구가 활성화되어 침입한 균을 탐식하고 제거한다. 세균성 폐렴에서는 액체성 삼출물이 폐포를 채워 경화로 나타나고 산소 확산 장애로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며 가스교환장애가 악화된다.
  • 4. 폐렴의 증상과 징후
    전형적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 통증, 폐 타진 시 탁음, 진동감 증가, 수포음 등이 나타난다. 비전형적 증상은 점진적으로 시작되고, 건성기침, 폐외 증상(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이 나타난다.
  • 5. 폐렴의 진단
    원인균은 혈액배양, 객담그람염색 및 배양을 통해 진단하고 소변에서 연쇄구균과 레기오넬라 항원 검사를 하며 혈액배양 검사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 조직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포가 염증으로 가득 차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폐렴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 2. 폐렴의 원인
    폐렴의 주요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입니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이 주요 원인이며, 바이러스성 폐렴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됩니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곰팡이 감염으로 인한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흡인, 화학물질 흡입, 폐 손상 등 다양한 요인이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3.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병원체가 폐로 침입하면 폐포 내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이 시작됩니다. 이로 인해 폐포 내 삼출액이 증가하고 폐포벽이 두꺼워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폐포 내 공기 교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저산소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폐포 내 삼출액 증가로 인해 폐 탄성이 감소하여 호흡 곤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변화로 인해 폐렴의 주요 증상인 기침, 발열,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 4. 폐렴의 증상과 징후
    폐렴의 주요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침, 가래, 발열, 오한, 호흡 곤란, 흉통 등이 주요 증상이며, 청진 시 수포음, 천명음 등의 폐음 변화가 관찰됩니다. 또한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C-반응성 단백 상승 등의 염증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외에도 피로감, 식욕 저하, 체중 감소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폐렴의 원인 병원체, 환자의 나이와 기저 질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5. 폐렴의 진단
    폐렴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검체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먼저 병력 청취를 통해 증상의 발생 시기, 양상, 악화 요인 등을 파악합니다. 신체 검진에서는 체온, 호흡 수, 청진 소견 등을 확인합니다. 영상 검사로는 흉부 X선 검사와 흉부 CT 검사가 주로 이용되며, 폐렴의 위치, 정도, 합병증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객담, 혈액, 소변 등의 검체 검사를 통해 원인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폐렴의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