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재난 환경에서 외부로의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본 내용은
"
[특허청장상 수상작] 2021 캠퍼스특허유니버시아드대회 발명사업화 2차 발표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8
문서 내 토픽
  • 1. 보행 항법 기반 위치 추정 제품
    관성 센서로 걸음 검출, 보폭 추정, 방위각 계산, 보행 환경 추정을 통해 보행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제시하였습니다. 사전 인프라와 맵 정보 없이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 2. UWB 기반 통신
    UWB 통신 모듈을 활용하여 재난 감지 센서와 중앙 관리 서버 간 통신을 구현하였습니다.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위험을 감지하면 억세스 포인트의 통신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 대피 경로 안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3. 레이저로 피난 경로 시각화
    발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밴드에 레이저 모듈을 장착하여 피난 경로를 시각적으로 안내합니다. 레이저광 생성부가 회전하여 올바른 방향을 표시하므로 착용자가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 4. 방향 유도 웨어러블 레이저 밴드
    웨어러블 밴드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와 모터로 레이저광 생성부를 회전시켜 피난 경로를 직접 표시합니다. 구조대원이 착용하면 재난 현장에서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보행 항법 기반 위치 추정 제품
    보행 항법 기반 위치 추정 제품은 실내외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GPS 신호가 약한 실내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하며, 보행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위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내 내비게이션,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 실내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술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습니다. 향후 이 기술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면 실내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UWB 기반 통신
    UWB(Ultra-Wideband) 기반 통신 기술은 기존의 무선 통신 기술에 비해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정확한 거리 측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UWB 기술은 저전력 및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IoT 및 스마트홈 기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실내 위치 추적, 실내 내비게이션, 실내 보안 등의 분야에서 UWB 기술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또한 UWB 기술은 기존 무선 통신 기술과 호환성이 높아 다양한 기기와 연동될 수 있습니다. 향후 UWB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보편화되면 실내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장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레이저로 피난 경로 시각화
    레이저를 활용한 피난 경로 시각화 기술은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피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피난 경로를 실시간으로 벽면이나 바닥에 투사함으로써 사용자의 대피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습니다. 특히 시각적 장애가 있거나 연기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레이저 경로 표시를 통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합니다. 또한 이 기술은 기존 피난 유도등 시스템과 연동되어 보다 효과적인 대피 지원이 가능합니다. 향후 이 기술이 다양한 건물과 시설물에 적용되면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방향 유도 웨어러블 레이저 밴드
    방향 유도 웨어러블 레이저 밴드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에 레이저 포인터를 탑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투사함으로써 이동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내외 환경에서 길 찾기, 실내 내비게이션, 증강현실 기반 안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시각 장애인이나 운전자와 같이 시각적 정보에 의존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이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정확성과 사용성이 향상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