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보의 어부가
문서 내 토픽
  • 1. 어부가
    이현보의 어부가는 모두 5수로 된 연시조입니다. 이현보의 어부가는 이후 모두 40수로 된 연시조인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현보가 지은 어부가는 고려 말엽부터 작가와 연대 미상으로 전해 내려오던 도학자의 노래를 이현보가 고쳐 만든 것입니다.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를 하는 풍류적인 생활을 그린 작품인 이현보의 어부가는 자연과 벗하여 사는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 2. 어부
    어부가에서는 어부를 핵심 소재로 하면서 양반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직업으로 어부를 꼽았습니다. 양반들은 '어부'가 자연 속에서 지내는 자연 친화적인 존재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욕심을 부리지 않고, 갈등을 겪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조선시대의 양반 문학에 등장하는 어부는 실재하는 존재라기보다는 유교적 이념과 이상을 나타낸 존재라고 봐야 하겠습니다.
  • 3. 어부가의 내용
    이현보가 지은 어부가 제1수에서는 인세(人世)를 잊은 어부의 한정을 노래 하였고, 제2수에서는 강호에 묻혀 사는 유유자적한 생활을 노래 하였습니다. 제3수에서는 자연의 참된 의미를 아는 사람이 적음을 탄식하는 내용이며, 제4수에서는 근심을 잊고 한가롭게 지내고 싶은 소망을 노래 하였습니다. 마지막 제5수에서는 임금을 그리워 하는 연군지정을 노래 하였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어부
    어부는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연의 변화와 함께 살아가며, 때로는 자연의 힘에 의해 고통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들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잘 알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어부의 모습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현보의 어부가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6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