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약학사전 약전완성본) 1.자율신경계~14개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임상에서 주로 쓰는 약을 중점으로 밤 새면서 만듬. (작용기전+부작용+응용+적응증 등)
본 내용은
"
약리학 약학사전 약전완성본) 1.자율신경계~14개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임상에서 주로 쓰는 약을 중점으로 밤 새면서 만듬. (작용기전+부작용+응용+적응증 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7
문서 내 토픽
  • 1. 콜린성 효능약
    콜린성 효능약은 acetylchlinesterase의 활성 부위에 결합해 acetylcholine의 가수분해를 상격적, 비사경적으로 차단해 acetylcholine의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를 통해 중증 근무력증, 녹내장, 요저류, 알츠하이머 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관지분비 증가, 설사, 부정맥, 빈뇨, 시력 저하, 두통,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방광 무력증 환자나 기관지 천식 환자에게는 사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2. 콜린성 길항약
    콜린성 길항약은 무스칼린 수용체와 결합해 acetylcholine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부교감신경을 억제합니다. 이를 통해 위경련, 소화성 궤양, 서맥, 멀미, 산동, 천식, 파킨슨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졸림, 구갈, 시야 흐림, 눈부심, 배뇨 곤란,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녹내장 환자나 고혈압 환자,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는 사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3. 진정 수면약
    진정 수면약에는 Barbiturates계 약물과 Benzodiazepine계 약물이 있습니다. Barbiturates계 약물은 Cl- 통로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켜 GABA의 작용을 증가시키고, Benzodiazepine계 약물은 간 microsomal 효소 유도를 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불면증, 진정, 근이완 등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졸음, 초조, 혼돈, 악몽, 기침, 딸꾹질, 환각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Barbiturates계 약물은 과량 투여 시 사망할 수 있고, Benzodiazepine계 약물은 기관지 폐 질환 환자나 항히스타민약과 병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 4. 각성 흥분약
    각성 흥분약은 GABA에 의해 매개되는 chloride의 세포 내 유입을 억제하거나, 척수에서 억제성 신경 전달물질로 알려진 glycine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합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콜린성 효능약
    콜린성 효능약은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증가시켜 신경계 기능을 향상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신경계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콜린성 효능약은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감수성을 높여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증강시킵니다. 이를 통해 인지기능, 기억력, 주의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으로 구토, 설사, 복통, 두통, 어지러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2. 콜린성 길항약
    콜린성 길항약은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콜린성 길항약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신경계 기능을 억제합니다. 이를 통해 근육 긴장도 감소, 진정 효과, 기억력 저하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으로 구강건조, 시력 저하, 배뇨 장애, 변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3. 진정 수면약
    진정 수면약은 불면증, 수면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대표적인 진정 수면약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비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멜라토닌 수용체 작용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빠른 수면 유도, 수면 유지, 수면의 질 향상 등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의존성, 기억력 저하, 낮 시간 졸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각성 흥분약
    각성 흥분약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각성 상태를 유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과도한 졸음, 나르콜렙시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각성 흥분약에는 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모다피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활성을 증가시켜 각성 상태를 유발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중독성, 불안, 흥분, 두통, 식욕 감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