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신규서비스에 대한 규제 필요성과 방향
본 내용은
"
OTT 신규서비스에 대한 규제 필요성과 방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2
문서 내 토픽
  • 1. OTT 서비스
    OTT 서비스는 별도의 셋톱박스 없이 인터넷을 통해 TV를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OTT 서비스는 기존의 콘텐츠 유통구조를 바꾸고 있으며, 인터넷과 모바일 등을 통한 OTT 서비스 기업들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기존 방송사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OTT 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 미디어 이용 행태도 바꿔놓고 있습니다.
  • 2. 국내 OTT 시장
    국내 OTT 시장 규모도 성장세입니다. 2015년 3187억원, 2016년 4884억원에서 2020년에는 7801억원으로 커질 전망입니다. 국내 OTT 시장에는 KBS 등 4개 지상파 방송사가 투자해 만든 'pooq', CJ ENM의 '티빙', 네이버의 '브이라이브', 카카오의 '카카오페이지', 프로그램스의 '왓챠플레이', SK브로드밴드의 '옥수수', KT의 '올레TV 모바일', LGU+의 'LTE 비디오 포털', '아프리카 TV' 등 다양한 사업자가 있지만, 아직 지배적 사업자가 없는 상황입니다.
  • 3.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2013년부터 자체 제작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 등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약 700여개의 자체 제작 콘텐츠 '넷플릭스 오리지널'을 제작해왔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OTT 서비스
    OTT(Over-The-Top)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OTT 서비스는 전통적인 케이블TV나 위성TV와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권을 넓혀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OTT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기존 미디어 산업의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규제와 정책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OTT 서비스의 과도한 이용은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국내 OTT 시장
    국내 OTT 시장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OTT 플랫폼으로는 wavve, tving, Seezn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OTT 시장은 글로벌 OTT 기업인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과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OTT 기업들은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다양한 결제 옵션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 OTT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정책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OTT 서비스 기업입니다. 넷플릭스는 방대한 콘텐츠 라이브러리와 사용자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제작 콘텐츠 투자를 통해 차별화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며 글로벌 OTT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지역별 콘텐츠 차이, 높은 구독료, 저작권 문제 등 다양한 이슈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는 현지화 전략, 다양한 결제 옵션 제공, 저작권 문제 해결 등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넷플릭스의 행보가 OTT 시장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