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또는 어깨 관절의 손상검사(Special Test) 중 4가지를 조사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
무릎 또는 어깨 관절의 손상검사(Special Test) 중 4가지를 조사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4
문서 내 토픽
-
1. 전방비인대 검사(Anterior Drawer Test)무릎관절 내 십자 형태의 전방인대는 정강이뼈(경골)와 허벅지 뼈(넓적다리뼈)를 기준으로 앞쪽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전방십자인대의 불안정성에 대하여 검사한다. 검사 대상자는 침대에 바른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발바닥을 침대 바닥에 대고 무릎을 90도 각도, 엉덩이는 45도 각도가 되도록 굴곡을 준다. 검사자는 대상자의 발등 위에 올라앉아 발바닥을 고정하고, 엄지손가락은 무릎관절의 앞쪽에 위치시킨 후 정강이뼈를 앞쪽으로 천천히 잡아당긴다. 정강이뼈, 즉 경골을 앞쪽으로 당겼을 때 5mm 미만 전방으로 전위할 때 1도 손상, 5~10mm 미만은 2도 손상, 10mm 초과하면 3도 손상임을 예측할 수 있다.
-
2. 맥머레이 검사(McMurray Test)무릎반달연골은 관절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무릎의 충격흡수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손상되면 신경을 건드려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 반달 연골의 손상이 있는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검사 대상자는 침대에 바른 자세로 누운 후, 발바닥을 침대에 대지 않은 채로 무릎의 각도를 90도가 되도록 한다. 검사자의 한 손은 대상자의 발꿈치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대상자의 무릎관절 위에 둔다. 안쪽 반달을 검사하기 위해 대상자의 무릎을 완전히 굽히고 정강이뼈를 외회전시킨 상태에서 외반 압박하면서 무릎을 편다. 가쪽 반달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정강이뼈를 내회전시킨 상태에서 외반압력하면서 무릎을 편다. 검사 시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안쪽과 바깥쪽의 관절에서 뚝 소리가 나면 양성이다.
-
3. 아플레이 압박검사(Apley Compression Test)무릎의 통증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중 반달 연골은 관절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무릎의 충격흡수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반달 연골의 손상이 있는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검사 대상자는 배와 가슴을 침대에 대고 엎드린다. 이때 발바닥을 하늘을 향하도록 하면서 무릎을 90도 각도로 굴곡을 준다. 검사자는 대상자의 무릎을 고정한 후 한 손은 대상자의 발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발목을 잡는다. 검사자는 대상자의 뒤꿈치를 압박하며 경골의 내회전과 외회전을 시킨다. 대퇴골에 대해 경골을 내회전하고 외회전할 때 통증을 느끼면 양성이다.
-
4. 외측측부인대 손상검사(Varus Stress Test)무릎관절의 외측에 있는 외측측부인대는 경골과 대퇴골이 바깥쪽으로 휘지 않도록 관절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외측측부인대의 불안정성에 대해 검사한다. 대상자는 침대에 바르게 누운 상태에서 15~2-도 각도로 무릎을 굴곡을 준다. 검사자의 한 손은 대상자의 무릎 안쪽 관절에 대고, 다른 한 손으로는 가쪽 정강이뼈 아랫부분을 감싼다. 무릎 안쪽의 손과 가쪽에 고정한 손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무릎의 관절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경우, 혹은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 양성이다.
-
1. 전방비인대 검사(Anterior Drawer Test)전방비인대 검사는 무릎 관절의 전방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무릎 관절의 전방 전위 정도를 확인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 여부를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검사 시 환자의 무릎을 90도 굽힌 상태에서 정강뼈를 전방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며, 정상적인 경우 약 5-10mm 정도의 전방 전위가 관찰됩니다. 하지만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는 경우 이 전방 전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도가 높아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2. 맥머레이 검사(McMurray Test)맥머레이 검사는 무릎 관절의 내측 또는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무릎 관절을 최대로 굽힌 상태에서 정강뼈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무릎을 펴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때 반월상 연골 손상이 있는 경우 특징적인 '딸깍' 소리와 함께 통증이 유발됩니다. 맥머레이 검사는 반월상 연골 손상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지만, 검사 시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검사 결과는 다른 영상 검사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
3. 아플레이 압박검사(Apley Compression Test)아플레이 압박검사는 무릎 관절의 후방 안정성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무릎 관절을 90도 굽힌 상태에서 정강뼈를 아래로 누르면서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때 후방십자인대 또는 후방 관절낭의 손상이 있는 경우 통증이 유발됩니다. 아플레이 압박검사는 후방십자인대 손상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지만, 검사 시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검사 결과는 다른 영상 검사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
4. 외측측부인대 손상검사(Varus Stress Test)외측측부인대 손상검사는 무릎 관절의 외측 안정성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무릎 관절을 30도 굽힌 상태에서 정강뼈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때 외측측부인대 손상이 있는 경우 과도한 외측 전위가 관찰됩니다. 외측측부인대 손상은 무릎 관절의 외측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관절 기능 저하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측측부인대 손상검사는 무릎 관절 손상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도가 높아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