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프로그램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현재 영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특징을 브론펜 브레너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문서 내 토픽
  • 1. 브론펜 브레너의 사회문화적 접근(생태학적 접근)
    브론펜 브레너는 '맥락 속의 발달' 혹은 '발달의 생태학'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태학적 접근에서는 가족과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와 같이 인간이 몸담는 생태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며 이들 환경체계 및 개인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인간발달의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그는 유아의 발달이 이루는 주변 세계와 더 넓은 세계 사이에서 관계를 이해하려 했고, 유아들의 주변 세계에 대해서 해석과 그 해석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집중했다.
  • 2. 미시체계(microsystem)
    미시체계는 가정환경과 학교 환경과 같이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체계이다. 어머니와 아동의 의사소통 그리고 또래 집단에서 인기도와 같은 가정과 학교 그리고 친구사이의 관계 등을 말한다. 미시체계는 발달하는 아동 및 사회 사이의 직접적이며 복잡한 관계를 의미한다.
  • 3. 중간체계(mesosystem)
    중간체계 분석은 미시체계 수준의 분석과 더불어 아동이 다양한 장면에 걸쳐서 전이하는 것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아동들이 장기화된 입원 체류로 전이되는 것을 조사했는데, 부모의 방문 허용 정도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고통 정도가 달랐다. 이를 통해 친근한 장면에 있던 대상이 아동들을 따라 낯선 장면으로 오게 되면, 다른 장면으로의 전이가 아동들에게 상처가 덜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4. 외체계(exosystem)
    외체계는 개인이 직접적으로 관련성은 없지만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구조인 환경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모의 직업, 손위형제가 다니는 학교, 학급과 이웃의 특징, 학교와 지역사회 사이의 관계 등이 해당된다. 외체계 분석의 요지는 부모들과 아동들의 행동이 수많은 비직접적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 5. 거시체계(macrosystem)
    거시체계는 개인이 속한 사회와 하위문화의 이념 그리고 제도의 유형으로 사회문화적 규범처럼 커다란 체계를 말하고, 개인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거시체계는 문화적이고, 정치적이며, 사회적이고 법률적, 종교적이며, 경제적, 교육적 가치와 공공정책의 핵심을 구성하게 된다. 개인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가장 근본적이며, 중대한 변화를 초래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브론펜 브레너의 사회문화적 접근(생태학적 접근)
    브론펜 브레너의 사회문화적 접근(생태학적 접근)은 개인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 접근은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체계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개인의 발달이 이러한 체계들의 영향 아래에서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특히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 각 체계 간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발달을 단순히 개인 내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발달을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 2. 미시체계(microsystem)
    미시체계는 개인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장 가까운 환경을 의미합니다. 가족, 학교, 또래집단 등이 대표적인 미시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시체계는 개인의 발달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행동, 태도, 가치관 등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가족은 개인의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등은 개인의 성격 형성, 정서 발달, 사회성 발달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시체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3. 중간체계(mesosystem)
    중간체계는 개인이 속한 두 개 이상의 미시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과 학교, 학교와 또래집단 등의 관계가 중간체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중간체계는 개인의 발달에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가정과 학교 간의 긍정적인 연계와 협력은 개인의 학업 성취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며, 반대로 가정과 학교 간의 갈등은 개인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체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개인의 발달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가정-학교 간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외체계(exosystem)
    외체계는 개인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개인의 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직장, 지역사회 기관, 대중매체 등이 외체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외체계는 개인의 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부모의 직장 환경, 지역사회의 교육 및 복지 정책, 대중매체의 영향력 등은 개인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체계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특히 사회 정책 및 제도가 개인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거시체계(macrosystem)
    거시체계는 사회, 문화, 이념, 가치관 등 개인을 둘러싼 가장 넓은 범위의 환경체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거시체계는 개인의 발달에 간접적이지만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사회의 문화적 가치관, 정치 이념, 경제 체제 등은 개인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거시체계의 변화는 개인의 발달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문화적 가치관의 변화, 정치 체제의 변화, 경제 체제의 변화 등은 개인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시체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 프로그램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현재 영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특징을 브론펜 브레너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3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