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하나 적고 그 사례를 토론하여 봅시다
문서 내 토픽
  • 1. 방어기제
    프로이드는 자아가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을 때,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된다고 하였다. 방어기제는 심리적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동시에 개인의 충동이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방어기제 자체가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자아의 불안을 처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어기제 사용으로 인간은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원만한 대인관계를 정립함에 있어 악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 2. 투사
    나는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자주 말싸움을 하는 편이다. 내가 잘못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을 비난하면서 모든 것을 상대방의 책임으로 떠 넘기기도 했던 것 같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성인으로서 매우 무책임한 처사라고 여겨지며, 모든 책임을 상대방으로 탓으로 돌리는 것은 방어기제 유형 중 투사의 유형에 해당된다.
  • 3. 합리화
    나는 상당히 게으른 편이며 우유부단한 측면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침대에서 일어나기 귀찮아 늦잠을 자서 약속장소에 늦게 나간 적도 많았고 단순히 귀찮다는 이유로 약속을 펑크낸 적도 많았다. 그럴 때마다 나의 친구들은 나를 비난하면서 '왜 이렇게 늦게 왔냐? 너는 매일 늦냐? 늦으면 늦는다고 전화라도 하지'라는 말을 하곤 했지만, 나는 그때마다 '버스가 안오는데 어떻하니? 돈도 없는데 그렇다고 택시타고 올수는 없잖아?'라고 말하면서, 나의 잘못된 행동을 정당화시켰던 것이다. 이는 방어기제 유형 중 합리화 유형에 속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방어기제
    방어기제는 개인이 자신을 보호하고 자아를 유지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전략입니다. 이는 개인이 스트레스나 불안을 경감시키고 자존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방어기제가 지나치게 사용되면 현실 인식이 왜곡되고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방어기제 사용을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 패턴을 인식하고 적절한 수준에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투사
    투사는 자신의 내적 갈등이나 감정을 외부로 전가하는 심리적 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특성을 회피하고 타인에게 전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사 행동은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사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3. 합리화
    합리화는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정당화하는 심리적 기제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합리화는 현실 인식을 왜곡시키고 자기 성찰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합리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타인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자신의 행동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하나 적고 그 사례를 토론하여 봅시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1